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aving Technique using Polymer Epoxy Resin Materials

고분자 에폭시 수지혼합물을 이용한 포장기술 연구

  • Received : 2008.12.11
  • Accepted : 2008.12.23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thin paving technique using polymer epoxy resin materials which is considered as a durable pavement materials. The mechanic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polymer epoxy resin materials were also evaluated to confirm the validity as a pavement materials. To estimate the performanc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bending tests and bonding tests were performed using freeze-thaw and ultra-violet rays to accelerate the aging of materials. In addition, HYUNStay, a commercial structural analysis program for cable-stayed bridges,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 of paving materials between the polymer epoxy resin materials and the conventional ones on the reduction of cable tension and on the stability of the main tower.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it is noted that the thin paving technique using polymer epoxy resin materials can improve the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pavem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본 연구는 내구성능이 우수한 에폭시 재료를 활용한 박층포장 공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에폭시 재료의 물리적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내시험과 에폭시 포장의 내구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결융해 및 자외선 촉진화 과정을 거친 시료에 대해 휨강도 시험과 부착강도 시험을 실시하여 포장재료로서의 공용성능을 확인하였으며, HYUNStay 사장교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2진도대교에 에폭시 포장을 실시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케이블 장력감소 및 주탑의 안정성을 일반 아스팔트 혼합물 과 비교하였다. 실험 및 해석결과 박층의 에폭시 포장재료가 기존포장면과의 부착력이 우수하고 변형과 파손에 대한 저항성 이 기존 포장재료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도로현장에 적용할 경우, 공용성능 및 공용년한의 향상이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헌, 이종명, 홍창우, 윤경구(2001)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의 투수성 및 동결융해 저항 특성,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제13권 5호, pp. 484-490.
  2. 김낙석, 조명환, 김완상, 조신행(2007) 배수성 포장 및 덧씌우기 포장용 Tack Coat 개발 기획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 김성수, 최춘식, 남용혁(2003) 콘크리트의 내구성 증진을 위한 코팅재의 성능 평가, 한국구조물진단학회 논문집, 한국구조물 진단학회, 제7권 4호, pp. 99-107.
  4. 김여수, 방인호, 하노영, 이재호, 최정호(2002) 쇄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용 재료의 동결융해 저항성,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한국지반환경공학회, 제3권 2호, pp. 35-47.
  5. 김지선(2006) 예방적 유지보수를 고려한 초박층 포장의 성능 및 공용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산업대학교.
  6. 민우석(2006) 동아시아지역 오존전량과 유해자외선의 특성 분석 및 수치예보,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7. 박태순(2006) 예방적 유지보수를 위한 새로운 아스팔트 포장공법(초박층 폴리머 슬러리실 공법), 한국도로학회지, 한국도로학회, 제8권 3호, pp. 17-24.
  8. 임현태(2007) Hyunstay를 이용한 사장교의 시공단계 해석 및 선형관리, 한국전산구조공학회지, 한국전산구조공학회, 제20권 4호, pp. 36-43.
  9. Roberts, F.L., Kandhal, P.S., Brown, E. R., Lee, D.Y., and Kennedy, T. W.,(1996) Hot Mix Asphalt Materials, Mixture Design and Construction, NAPA Education Foundation.
  10. Gregory, A.S., Galr, C.P., James, A.M., Patrik, B.U., and Howard, L.M. (2002)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a Test Method to Evaluate Bond Strength of Bituminous Tack Coats, FL/DOT/SMO/02-459, Florida DOT, Flori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