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 in Southeast Coastal Waters of Korea, 2008

2008년 남해동부해역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 특성

  • 임월애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
  • 이영식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
  • 박종규 (군산대학교 해양학과)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o characterize the initiation, propagation and terminat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the southeast coastal waters of Korea, 2008, we analyzed the data set of phytoplankton composition, physical and chemical water properties, and meterological data. C. polykrikoides bloom in 2008 were long lasting and restricted to the coastal area with a low density. Our results indicate that C. polykrikoides blooms were affected by the atypical cold waters occurring in east-south coastal water in the early July. The cold water masses probably protected the free living cells of C. polykrikoides from entering into the coastal area from offshore waters as a pelagic seed population. The low density blooms of small scale established possibly by the germination of C. polykrikoides cyst in shallow coastal bottom could have not spread over because of the weak wind and low nutrient concentrations caused by severe drought in July and September.

2008년 한반도 남해동부해역에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발생, 진행 및 소멸현상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물리 화학적 환경요소와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008년 C. polykrikoides 적조는 7월말에 조기 발생하여 저밀도로 장기간 연안해역에 집중되어 발생하였다. 7월 초부터 동해남부해역에서 발생한 냉수대의 영향으로 외해로부터 C. polykrikoides 가입이 어려웠으며, 연안 저층의 포자(cyst) 발아에 의한 적조발생 이후 약한 바람 및 가뭄으로 인한 낮은 영양염 농도로 적조가 확산 성장하지 못하고 연안해역에 제한되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산과학원, 2005a. 2004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 상황. pp.154
  2. 국립수산과학원, 2005b. 2005년도 한국연얀의 적조발생 상황. pp. 95.
  3. 국립수산과학원, 2007. 2000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 상황. pp. 97.
  4. 국립수산과학원, 2008. 2007년도 한국연얀의 적조발생 상황. pp. 127
  5. 국립수산과학원, 2009. 2008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 상황. pp. 154
  6. 권철휘, 조규대, 2002. 한국 남해안에서 Cochlodinium 적조 확산모델. 한수지, 35: 568-577
  7. 서영상, 장이현, 황재동, 2001. 하계 동해연안역에서 발생하는 냉수역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 한수지, 34: 435-444
  8. 양재삼, 최현용, 정해진, 정주영, 박종규, 2000 전남 고흥 해역의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1. 물리. 화학적인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5: 16-26
  9. 유영두, 정해진, 심재형, 박재연, 이경재, 이원호, 권효근, 배세진, 박종규, 2002. 전북 새만금 남쪽해역의 유해성 적조 발생 연구 1. 199년도 여름-가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7: 129-139
  10. 이동규, 권재일, 한상복, 1998. 감포-울기 연안해역에서 발생하는 냉수대 현상과 해상풍과의 관계. 한수지, 31: 359-371
  11. 임윌애, 2004. 한국 남해 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119
  12. 임윌애, 강창근, 김숙양, 이삼근, 김학균, 정익교, 2003. 여름철 남해도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단기 변화 .AIgae 18: 49-58 https://doi.org/10.4490/ALGAE.2003.18.1.049
  13. 임윌애, 이영식, 이삼근, 이재영, 2007. 2006년 여름 남해동부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2: 370-379
  14. 임월애, 이영식, 이삼근, 2008. 2007년 남해동부해역의 Cochlodinium polykrikoid. 적조발생과 소멸에 미치는 환경특성 .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3: 325-332
  15. 임월애, 이창규, 2004. 초여름 남해 동부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분포와 세포 특징.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9:106-109
  16. 임윌애, 정창수, 이창규, 조용철, 이삼근, 김학균, 정익교, 2002. 2000년 여 름 남해 안에 나타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우점 적조의 발생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7: 68-77
  17. 정창수, 최우정, 김학균, 정영균, 김정배, 임월애, 1999. 1998년도 남해도 인근수역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동물성플랑크톤의 분포특성. 수진연구보고, 57: 153-161
  18. 최현용, 2001.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년하계 해황 및 적조소멸과의 관계.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 49-62
  19. Kim C.J, H.G Kim, C.H. Kim and H.M. Oh, 2007. Life cycle of the ichthyotoxic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in Korean coastal waters. Harmful AIgae, 6: 104-111 https://doi.org/10.1016/j.hal.2006.07.004
  20. Kim C.H., H.J. Cho, J.B. Shin, C.H. Moon and K. Matsuoka, 2002. Regeneration from hyaline cyst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mnodiniales, dinophyceae). A red tide organism along the Korean coast. Phycologia, 41: 667-669 https://doi.org/10.2216/i0031-8884-41-6-667.1
  21. Lee J.C., 1983. Variations of sea level and sea surface temperature associated with wind induced upwelling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in summer. J. Oceanol. Soc. Korea. 18: 1-14
  22. Lee, D.K., 2008.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and eco-physical condition in the South Sea of Korea. Harmful AIgae, 7: 318-323 https://doi.org/10.1016/j.hal.2007.12.014
  23. Park T.G, Y.T. Park and Y. Lee, 2009. Detect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and Gyrodinium impudicum(Dinophyceae) in sediment samples from Korea using real-time PCR. Harmful AIgae (ln press)
  24. Parsons, R.R., M. Takahashi and B. Hargrave, 1984. Biological Oceanographic Process. 3rd ed., Pergamon Press, pp. 143-157
  25. Seung Y.H., 1984. A numerical experiment of the effect of coastline geomeπy on the upwelling a10ng the east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19: 24-30
  26. SPSS Inc, 2003. SPSS base 12.0 User’s Guide. Chicago, IL, USA
  27. Tomas, C.R., 1997.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Academic press, 853pp
  28. Yamaji, I., 1984. Illustration of marine plankton of Japan. 3rd ed. Hoikusha Pub. Co., 158pp
  29. Yuki, K. and S. Yoshimatsu, 1989. Two fish-killing species of Cochlodinium form Harima-Nada, Setolnland Sea, Japan. In; Red Tides: Biology, Environmental Science, and Toxicology, edited by T. Okaichi, D.M. Anderson and T. Nemoto, EIsevier, New York, pp 451-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