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USN Technologies for Safety Management Monitoring of Architectural Construction Sites

건축공사현장의 안전관리 모니터링을 위한 USN 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9.08.20

Abstract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the highest death rate related to safety accidents of any industry. Furthermore, in contrast to other industries, where the death rate related to safety accidents has been steadily declining, both the death toll and the number of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ve been on the rise. Construction accidents occur when various risks increase in an intertwined way to reach a tipping point; a moment when such factors cannot be tolerated any longer Conventional safety management methods have restrictions in terms of their ability to fully prevent all types of safety accidents. This research considers ways in which USN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safety management on a construction site, and derives a method of applying USN technology for safety management monitoring. The tasks related to safety management on construction sites, as well as the occurrence of accidents, are first analyze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accidents, the factors that must be a priority and the factors that can be a lower priority are derived. Finally, the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on a construction site to which USN technology is applied is presented. It is expected that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on construction sites by applying this cutting-edge USN technology.

건설산업은 전체산업분야들 중에서 가장 많은 재해사망자를 발생시키는 산업분야이다. 또한 재해건수와 재해자수가 감소하고 있는 타 산업분야와는 달리, 건설산업에서는 매년 재해건수와 재해자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건설재해는 다양한 잠재 요인들이 서로 연관 축적되다가 한계에 이르게 되면 어느 한 순간에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특징과 함께 다양한 재해가 연속적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안전관리방법 만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에는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공사현장에서의 안전관리에 USN기술의 접목 가능성을 검토하고, 안전관리 모니터링을 위한 USN기술 적용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기존 건설공사현장에서의 안전관리 업무를 분석하고, 재해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건설공사현장의 재해 특성을 분석하여 건설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의 중점관리요소와 차순위 관리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USN기술을 적용한 건축공사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과 모니터링 시스템의 흐름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첨단 USN기술의 건설분야 접목을 통하여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남상엽 외 2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도서출판 상학당, 2006. 11
  2. 노동부, 2007년 산업재해 발생현황 분석, 2008
  3. 대한산업안전협회, 안전기술, 2008.10
  4. 대한산업안전협회, 안전기술, 2008.11
  5. 대한산업안전협회, 안전기술, 2008.12
  6. 대한산업안전협회, 안전기술, 2009.3
  7. 텔레메틱스.USN연구단, u-센서망시스템 구조설계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6. 6
  8. (재)한국건설안전기술원, 건설 안전 시공.점검 체계 모형 개발 연구, 건설부, 1992.12
  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공사 품질.안전관리 통합시스템 구축 연구, 건설교통부, 2000.11
  10. Kyoon-Tai Kim, Jae-Goo Ha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Slope Monitoring System Based onUbiquitous Sensor Network, ISARC-2008, Lithuania, 2008.6

Cited by

  1. Economic Analysis of USN-Based Data Acquisition Systems in Tall Building Construction vol.9, pp.8, 2017, https://doi.org/10.3390/su9081360
  2. Application for Measurement of Curing Temperature of Concrete in a Construction Site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vol.11, pp.3, 2011, https://doi.org/10.5345/JKIC.2011.06.3.283
  3. Analysis of fire-accident factors using big-data analysis method for construction areas 2017, https://doi.org/10.1007/s12205-017-07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