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Design for Promotio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 Focusing on utilization of local cultural resources -

문화관광축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전략 연구(제 1보) - 지역문화자원 활용을 중심으로 -

  • Chung, Kyung-Hee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College of Human 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Mi-Sook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College of Human 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 정경희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 이미숙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생활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9.08.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some pieces of prior information to eventually develop high value-added fashion cultural products design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to promote the cultural tourism festiva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carried out the investigation of cultural product stores and visitors' questionnaire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estivals which were selected as cultural tourism festival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from 2000 to 2008. Of them, six festivals were finally selected but food festival was exclu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ore survey was conduced to analyze the situation of the product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The most frequent product was accessories. And a T-shirt was found to be sold every festival probably because it was the most popular item and basic item which people could buy without burden. While the most diverse kinds of products were found in the Andong, the Jinju and Gangjin were found not to develop various products. In the design motif used for cultural products, most products did not use festival or local image. The highest use of the festival and local image was found in Gangjin and Muju. The Andong and Chungju were found to sell very common products buying anywhere rather than product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or image. In the material of cultural products, most products use metal. And In the price of cultural products, 10,000-30,000 won was found highest. Second, the purchase condition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visitors were examined. The visiting goal and companion of visitors was found to vary with the type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The types of visitors were also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choice of items in the purchase of cultural products sold in the festival. Only one third of respondents responded buying one and more cultural products. The purchase rate was found high in the festival where cultural product items were various and there were many products symbolizing festival or region. The most purchased item was a mobile phone hanger and the amount of purchasing cultural products was 10,000-30,000 won. The reason not to purchase cultural products was dissatisfaction with utility, originality, possibility of a present, symbolism, and price.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in the purchase of cultural products was design, followed by symbolism, price, originality, and innovation. The highly preferred product group included clothing, miscellaneous goods, and accessories. Specifically, T-shirt was found highes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design strategy for the cultural products development should consider both regional and festival images. The items and designs of the cultural products should reflect visitors' characteristics and the price zone should be varied.

Keywords

References

  1. 김효정, 김윤영, 윤주, 윤희정, 김보영 (2007). 문화를 통한 지역개발 사례 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 3
  2. 이무용 (2003).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문화정치론적 연구: 서울 홍대지역 클럽문화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
  3. 윤홍열 (2007). 지역문화축제 브랜드 디자인의 상징표현이 미치는 영향성과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
  4. 김민영, 박정화, 조용현 (2007). 관광지 특성, 개인적 의미와 기념품 선택 속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31(3), p. 78
  5. 남현우, 이재익, 오연주, 임영순 (2008). 지역 아이덴티티를 이용한 문화관광상품 개발 모델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3), p. 172
  6. Porter, M. (1996). What is strategy. Harvard Business Review, 74(6), pp. 61-78
  7. 김유경 (2007). 국가브랜드 개성의 차원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여름, p. 90에서 재인용.
  8. 김언배, 고경희, 김세원, 길태윤, 양성원 (2000). 한국전통문양을 활용한 문화상품개발에 관한 연구: 국립 경주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2), pp. 77-90
  9. 권미오 (2002). 전통문양을 응용한 문화상품의 개발과 홍보의 전개, 출판잡지연구, 1(2), pp. 161-178
  10. 최승연, 정경희, 이미숙, 신윤숙 (2006). 전통 조각보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10), pp. 91-100
  11. 현선희 (2006). 한국 전통문양을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이재민 (2003).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한 패션문화 상품개발 연구: 함평의 나비 캐릭터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미령, 김상률 (2006). 유용생물자원을 이용한 천연염료의 개발 및 문화상품전개: 함평나비축제를 위한 관광기념품 개발에 관한 연구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6), pp. 665-671
  14. 남현우, 이재익, 오연주, 임영순 (2008). 앞의 책, pp. 170-181
  15. 이준화 (2008). 문화관광상품으로서의 기념품 디자인 콘텐츠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미숙, 정경희 (2008). 함평나비축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관광상품 개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3), pp. 403-414
  17. 정대승 (2007). 문화관광축제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함평나비축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8
  18. 민병호 (2000). 한국문화 축제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4
  19. 이유범 (1997). 지역축제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방향, 배재대학교 사회과학연구, 14. p. 75
  20. 문화관광부 (2006). 문화관광축제 변화와 성과. 서울: 문화관광부, pp. 104-115
  21. 손대현, 박상현 (2000). 메가이벤트의 방문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12(2), pp. 150-151
  22. 한국관광공사 (1994). 이벤트산업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관광공사, pp. 11-18
  23. 문화체육부 (1996). 한국의 지역축제. 서울: 문화체육부, pp. 98-118
  24. 정강환 (1996). 이벤트 관광전략: 축제와 지역 활성화. 서울: 일신사, pp. 83-86
  25. 박근수 (2004). 축제 유형별 브랜드개성의 차이를 활용한 대전엑스포과학공원 활성화 방안. 관광학연구, 28(2), pp. 255-265
  26. 문화연대 (2003). 축제평가보고서, 서울: 문화연대, p. 584
  27. 문화관광부. 앞의 책, pp. 154-155
  28. 이무용 (2005). 서울 축제발전 및 체제적 지원방안 연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p. 162-192
  29. 김미라 (2006). 지자체의 대표축제 개발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청원군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축제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2-84
  30. 조은주 (2000). 지역축제 개선점과 활성화에 관한 연구: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사례 분석.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71-77
  31. 이무용 (2005). 앞의 책, p. 179
  32. 문화관광부, 앞의 책, p. 80
  33. OUTBACK QUEENSLAND TOURISM AWARDS. retrieved 2008, October 10. from http://www.outbackqld.com.au/membership/tourism-awards
  34. FESTIVALS & EVENTS ONTARIO FEO ACHIEVEMENT AWARDS. retrieved 2008, October 10. from http://www.festivalsandeventsontario.ca
  35. 류정아 (2006). 한우 지역축제 조사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총괄보고서. 서울: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pp. 150-153
  36. 서미아 (1985). 의복의 무늬 기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3. pp. 207-226
  37. 이인자 (1998). 직물문양 차이에 따른 이미지 지각, 생활문화.예술논집, 21(1), pp. 41-54
  38. 장수경 (1994). 한국 전통 문양의 유형에 따른 분류에 관한연구. 복식문화연구, 2(2), pp. 283-295
  39. 최혜정 (1989).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문양과 상정성에 관한 고찰. 복식, 13, pp. 51-72
  40. 축제 방문객 특성 및 실태, 문화상품 선호도는 병목척도와 자유기술, 문화상품 선택 중요도는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41. 방문객이 구매한 문화상품 중 문화상품 현황 조사에서 나타나지 않은 문화상품들은 공식 문화상품 점포이외의 점포에서 판매하고 있어 조사대상에서 제외된 상품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