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Meanings and Processes about Scientific Observation in the Science Education

과학교육에서 제시하는 과학적 관찰의 의미와 과정에 대한 분석

  • Published : 2009.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process of scientific observation. Hence, this study reviewed and discussed meanings and process of scientific observation described in philosophy,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Major researches on scientific observation are focused on a characteristic and type of scientific observation behavior. These research can suggest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observation facts generated by observer. But it cannot show what is the meaning and process of scientific observation, it should be provide to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 in this study, scientific observation is affected by observer's subjective factors, such as experience, background knowledge, interpretation(not inference) and observation skill. All factor are integrated as an intellectual framework, and it is able to be changed by the observed facts. On the other hand, inference is excluded on scientific observation, but it have constantly affect on intellectual framework through feedback. This study on scientific observation provides a scaffold in various activities of scientific observation to be provided to students.

과학적 관찰은 과학 탐구 및 과학적 지식생성과정에 있어 기초적이며,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써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과학적 관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비해 학습자에게 제시되어야 하는 과학적 관찰의 의미와 과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과학적 관찰에 대한 대다수의 연구들은 관찰행동과 관찰사실의 특징과 유형을 알아보기 위한 것들로써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관찰활동이 어떻게 구조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데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전의 체계적이고 다양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과학적 관찰의 의미와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과학적 관찰이란 대상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감각 정보를 수용하여 관찰자의 주관적 요소로 구성된 지적틀을 통해 정보를 인식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관찰행동을 통해 인식된 정보는 관찰자의 주관적 요소에 해당하는 지적틀을 통해 관찰사실로 생성되어 추론과 독립적으로 지적틀에 영향을 미치거나, 추론에 의해 변환되어 지적틀에 영향을 주게 된다. 결국, 관찰자의 지적틀은 과학적 관찰에 의해 계속적으로 변화됨으로써, 이후에 수행되는 관찰행동과 관찰 사실 생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과학적 관찰활동은 학습자의 주관적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며, 추론과 연계된 관찰활동이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대상에 대한 관찰뿐만 아니라, 지속적 관찰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지적틀이 변화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주, 이준기, 신동훈, 이효녕(2006). 생명현상의 관찰과 명화감상에서 나타나는 생물교육학자들의 두뇌활성 : fMRI연구. 중등교육연구, 54(3), 475-502
  2. 권용주, 이준기, 신동훈, 정진수(2007). 기공과 새우 과제에서 초중등 교사들이 생성한 관찰의 분석 및 관찰력 지수의 개발. 중등교육연구, 55(3), 83-112
  3.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박윤복(2005). 생명현상에 대한 초중등 과학교사의 관찰에서 나타난 과학적 관찰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431-439
  4. 권용주, 최상주, 박윤복, 정진수(2003). 대학생들의 귀납적 탐구에서 나타난 과학적 사고의 유형과 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86-298
  5. 김도욱(1996). 지식중심의 과학교수 학습을 탐구중심의 교수학습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관찰 특성에 대한 인식 변화의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15(1), 107-122
  6. 김영신, 정지숙, 윤기영(2006). 초등학교 과학 영재아와 일반 학생의 관찰방법과 행동비교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32-438
  7. 김정길, 김해경(1991). 국민학교 학생들의 관찰능력에 관한 연구(I) : 반성화강암과 역암의 관찰에 대하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0(2), 175-182
  8. 박명희, 박윤복, 권용주(2005). 초등학생의 어항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관찰의 유형과 그 변화.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4), 345-350
  9. 박재호, 문정대, 조운복, 황수진, 이영주, 심정애, 성정희, 김영, 박종길(1989). 관찰과 실험에서 기구의 조작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9(2), 29-45
  10. 박종원, 김익균(1999). 과학적 관찰의 의미와 탐구과정에서 학생들의 관찰행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487-500
  11. 송판섭, 한광래(1995). 촛불실험을 이용한 국민학교(3~6학년) 아동들의 관찰능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1), 73-84
  12. 신동훈, 신정주, 권용주(2006). 생명현상에 관한 초등학교 관찰수업 과정과 관찰 유형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5(4), 339-351
  13. 이봉우, 김희경(2007). 외국 과학교육과정의 관찰과 측정 기준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6(1), 87-96
  14. 이봉우, 박보화, 김희경(2007). 우리나라 3-10학년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기초탐구과정 분석 : 관찰및 측정 탐구요소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5), 421-431
  15. 이혜원, 양일호, 조현준(2005). 초${\cdot}\alpha$중학생의 관찰, 예상, 가설의 이해.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3), 236-241
  16. 한광래(2003). 메뚜기를 이용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관찰능력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2(1),121-129
  17. Ausubel, D. P., Novak, J. D. & Hanesian, H.(197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2nd Ed. Holt, Reinhart and Winston, New York
  18. Russell, B. (1965). On the Philosophy of Science. Indianapolis, Indiana: The Bobbs-Merrill company, Inc
  19. Brickhouse, N. W. (1994). Children's observation, ideas, and the development of classroom theories about ligh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6), 639-656 https://doi.org/10.1002/tea.3660310606
  20. Driver, R., Gott, R., Johnson, S., Worsley, C., & Wylie, F. (1982). Science in schools Age 15 : Report No.1., London : H.M.S.O
  21. Edwards, P. (1978). The Encyclopedia of Philosophy. Cold Spring, NY: Crowell Collier and Macmillan, Inc
  22. Hanson, N. R. (1961). Patterns of discovery : An inquiry into the conceptual foundations of sci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Heath, T. (1980). Observation, perception and education. Science Education, 2(2), 155-160 https://doi.org/10.1080/0140528800020206
  24. Hungerford, H. R. (1969). A test to measure observation and comparison skills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53(1), 61-66 https://doi.org/10.1002/sce.3730530115
  25. Jeong, J. S. (2006). The Validation of the Observing Abduction Model by Using the Task of Animal Figure Recognition. The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34(2), 288-296
  26. Kitchener, R. F. (1999). The conduct of inquiry : An Introduction to Logic and Scientific Method.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7. Kwon, Y. J., Jeong, J. S. & Park, Y. B. (2006). Roles of abductive reasoning and prior belief in children's generation of hypothesis about pendulum motion. Science & Education, 15, 643-656 https://doi.org/10.1007/s11191-004-6407-x
  28.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4
  29. Martin, M. (1985). Concepts of Science Education: A Philosophical Analysis.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30. Nagel, E. (1971). Observation and Theory in Science. Baltimore, MD: The Johns Hopkins Press
  31. Norris, S. (1987). The roles of observation in science: A response to wills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4(8), 773-780 https://doi.org/10.1002/tea.3660240811
  32. Novak, J. D. & Musonda, D. (1991). A twelve-year longitudinal study of science concept learn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8, 117-153 https://doi.org/10.3102/00028312028001117
  33. Reese, W. L. (1980), Dictionary of Philosophy and Religion: Eastern and Western Thought. NJ: Humanities Press Inc
  34. Reese, W. L. (1980), Dictionary of Philosophy and Religion: Eastern and Western Thought. NJ: Humanities Press Inc
  35. Runes, D. D. (1984). Dictionary of Philosophy. NJ: Rowman & Allanheld
  36. Segal, S. (1966). Secondary education and the philosophy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50(1), 91-95 https://doi.org/10.1002/sce.3730500125
  37. Tomera, A. N. (1974). Transfer and Retention of Transfer of the Science Process of Observation and Comparison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Education, 58(2), 195-203 https://doi.org/10.1002/sce.3730580209
  38. Tomkins, S. P., & Tunnicliffe, S. D. (2001). Looking for ideas: observation, interpretation and hypothesis-making by 12-year-old pupils undertaking science investig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8), 791-813 https://doi.org/10.1080/09500690119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