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Learning Support System based on Korea Science Academy Survey

과학영재학교의 학습 지원 체제 유용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 한국과학영재학교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9.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learning support system of Korea Science Academy and to propose improvements to it. The impact of the science learning support system on 129 gifted students in Korea Science Academy (KSA) was estimated by using Likert-type items and the multiple-choice method approach for more comprehensive evaluation. The results of our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support system of KSA appears globally useful to the students. The list of educational usefulness to the students comprises, in the decreasing order of utility, classroom work, Internet, lab activities, reading rooms, library, research meetings and clubs, academic advisors (AA), SAF (Science Academy Fair), e-learning system, and finally colloquia by invited lecturers. Second, what the gifted students hope for in the realm of learning support from KSA are learning guides by subject teachers, presentation skill program, the constructions of on/off-line learning communities, etc. It seem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in improving the learning support system, and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lanning the direction of future science-gifted education programs at the high-school level.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영재학교인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과학교육을 위한 학습 지원 체제 및 학습 환경을 진단하고 그 유용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 조사를 위하여 자체 개발한 선다형 검사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각 학년별로 학습 지원 체계의 효용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과학영재학교의 재학생 12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과학교육을 위한 학습 지원 체제는 대체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은 교과수업, 인터넷활용, 실험 및 실습실, 독서실, 자연과학도서관, 연구회활동 및 동아리, AA(Academic Advisor)제도 , SAF(Science Academy Fair), 전자교재, 외부연사 초청특강의 순으로 유용성이 높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학생들이 추가로 희망하는 학습관련 지원으로는 교과교사의 학습방법 안내, 구두발표 능력 향상 프로그램, 온 오프라인 학습공동체 구축 등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영재의 잠재적 미성취 현상을 줄이고 학생들의 학교 부적응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교 측면에서의 학습지원 체제를 개선하여 향후 고등학생 수준의 과학영재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영재학교 전자교재(2007). http://gportal. kosef.re.kr/kosefweb/index.aspx
  2. 김경대, 심재영(2008).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282-290
  3. 김영주(2006). 여성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사례. 2006년 한국영재학회 추계 학술발표대회, 55-59
  4. 김종득, 최호성, 정권순, 박은영, 김훈, 이범진 (2005). 과학영재학교 R&E 지원 사업 최종보고서. 대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5. 김진철(2005). 영재성 사고양식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6.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2009). http://www. kactl.org
  7. 배새벽(2006). 과학영재를 위한 R&E (Research and Education) 프로그램. 물리학과 첨단기술, 15(9), 36-40
  8. 배새벽, 김경대, 박선미, 심재영, 박은영, 강준구, 박덕찬(2006). 과학영재를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지원 체계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2006-6.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9. 부산과학고등학교(2004). 2004학년도 종합 Academic Advisor Workshop. 부산: 부산과학고등학교
  10. 오은순, 정미경, 김승제, 김경현(2004). 학교 교수학습도움센터 모형 개발. 열린교육연구, 12(2), 131-150
  11. 이영길(2003). 교수-학습 지원체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보건대학 논문집, 28, 55-74
  12. Emars 편집부(2006). 교육 혁신의 심볼, 한국과학영재학교. Emars
  13. 한국과학영재학교(2009). http://www.ksa. hs.kr
  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9). http://classroom.re.kr
  15. Brown, B. B., & Steinberg, L. (1990).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acceptance: Skirting the "brain-nerd"connection. Education Digest, 55(7), 55-60
  16. Cheng, P. (1993). Metacognition and giftedness: The state of the relationship. Gifted Child Quarterly, 37(3), 105-112 https://doi.org/10.1177/001698629303700302
  17. Colangelo, N. (1997). Counseling gifted students: Issues and practices. In N. Colangelo & G. A. Davie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MA: Allyn and Bacon
  18. Compton, M. F. (1982). The gifted underachiever in middle school. Roeper Review, 4, 23-25
  19. Cornelius, L. L., & Herrenkohl, L. R. (2004). Power in the classroom: How the classroom environment shape students’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with concepts. Cognition and Instruction, 22(4), 467-498 https://doi.org/10.1207/s1532690Xci2204_4
  20. Davis, G. A., & Rimm, S. B. (199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Boston: Allyn and Bacon
  21. Drucker, P. F. (1993). Post-capitalist society. New York: Harper Collins
  22. Freeman, J. (1994). Gifted school performance and creativity. Roeper Review,17(1), 15-20 https://doi.org/10.1080/02783199409553611
  23. Kevin, R. K. (1991). A profile of the career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young gifted adolescents: Examining gender and multicultural differences. Roeper Review, 91(13), 202-207 https://doi.org/10.1080/02783199109553359
  24. KSA R&E Center (2007). 2007 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 in KSA. Busan: Korea Science Academy
  25. Phelps, C. E. (1991). Identity formation in career development for gifted women. Roeper Review, 13(3), 140-141 https://doi.org/10.1080/02783199109553339
  26. Redding, R. (1990). Learning preferences and skill patterns among underachieving gifted adolescents. Gifted Child Quarterly, 34(2), 72-75 https://doi.org/10.1177/001698629003400204
  27. Shim, K.-C. & Kim Y.-S. (2005). Science gifted learning program: Research and education model. J. Korea Assoc. Res. Sci. Edu, 25(6), 636-641
  28. Toffler, A. (1990). Powershift: knowledge, wealth and violence at the edge of the 21st century. New York: Bantam Books
  29. Whitmore, J. R. (1980). Giftedness, conflict, and underachievement. Boston: Allen and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