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tion in Vegetation Area caused by Topographical Change at Jinudo in the Nakdong Estuary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내 지형변동에 따른 식생면적의 변화

  • Ryu, Sung-Hoon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In-Cheol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So-Young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In order to analysis the variation in vegetation area caused by topographical change at Jinudo in the Nakdong estuary, we used aerial photographs of Jinudo from 1998 to 2006. To extract an accuracy shoreline from these aerial photographs, a tide calibration was performed. We also estimated the annual variation in topographic area and vegetation area, and then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y a correlatio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calibrated shoreline distance of Jinudo from 1998 to 2006 was estimated to have a range of (-)1,927 cm to (+)4,671 cm. 2) Annual changes in the topographic area and vegetation area in Jinudo have been increasing gradually from 1998,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opographic area and vegetation area is 0.97. 3) The estimated topographic areas were with following order: southern (III), eastern (IV), northern (II) and western (I), while for the vegetation area, the order was southern (III), northern (II), eastern (IV) and western (I). 4) The vegetation area of the southern region (III) of Jinudo had the largest size among the regions, and was calculated to be $4.3{\sim}5.4$ times larger than the eastern region (IV).

Keywords

References

  1. 김구연, 이찬우, 윤해순, 주기재 (2005). "낙동강 하구의 수생관속 식물의 분포 변화와 수금류(고니류)의 먹이식물인 세모고랭이의 성장 변화", 한국생태학회지, 제28권, 제5호, pp 335-345
  2. 김성환 (2005).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연안사주의 지형변화", 대한지리학회지, 제40권, 제4호, pp 416-427
  3. 김재중, 김기철, 이정만 (1995). "낙동강 하구에서의 부유사 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제9권, 제1호, pp 120-131
  4. 반용부 (1986).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과 표층 퇴적물 분석,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부산광역시 강서구청 (2004). 낙동강 하구 오염해역 및 소형선 통항로 확보 준설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pp 133-138
  6. 부산발전연구원 (2007). 지속가능한 낙동강하구역 관리방안, 부산 발전연구원, p 56
  7. 오건환 (1999). "낙동강 삼각주 말단의 지형 변화", 한국제사기학회지, 제13권, 제1호, pp 67-68
  8.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이인철 (2006). "해도분석을 통한 낙동강 하구 사주 면적의 시․공간 변화",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0권, 제6호, pp 54-56
  9. 윤한삼, 유창일, 류청로, 이인철 (2005a).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주변의 퇴적환경 변화",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44-49
  10. 윤한삼, 전용호, 이인철, 김헌태, 류청로 (2005b).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배후 조간대지역의 해양파랑 수치모의", 어항어촌연구, 제7권, pp 29-38
  11. 윤한삼, 유창일, 강윤구, 류청로 (2007).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발달에 관한 문헌 고찰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1권, 제2호, pp 22-34
  12. 이인철, 유창일, 윤한삼 (2007). "낙동강 부정형적 사주발달과 환경인자간의 상관성 비교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10권, 제1호, pp 13-20
  13. 이인철, 임성필, 윤한삼, 김헌태 (2008). "낙동강 하구역 사주지형 변동과 부유사(SS)수송량 산정 - 진우도를 중심으로", 해양환경공학회지, 제11권, 제2호, pp 70-77
  14. 정승진, 김규한, 편종근 (2004). "항공사진을 이용한 장기해안선 변화 조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pp 10-17
  15. 최철웅, 김연수, 서용철 (2005). "정사항공사진과 해양조사측량을 이용한 해안선변화 탐지에 관한 연구: 포락지 중심으로",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제17권, 제2호, pp 61-69
  16. 한국수자원공사 (2007). http://busan.kwater.or.kr
  17. 해양수산부 (2003). 대체습지조성 중장기 계획 수립용역(I), 해양수산부, p 156
  18. Baily, B. and Nowell, D. (1996). "Techniques for Monitoring Costal Change : A Review and Case Study", Ocean & Coastal Manage, Vol 32, No 2, pp 85-95 https://doi.org/10.1016/S0964-5691(96)00058-0
  19. Moore, L.J. (2000). "Shoreline Mapping Techniques", Jounal of Coastal Research, Vol 16, No 1, pp 11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