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Housing Viewpoint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한.중 대학생의 주거관에 대한 비교 연구

  • 안옥희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 조영미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 학가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Published : 2009.08.25

Abstract

Today, we are living while interchanging with various countries in multilateral measures and residential culture have been changed while interchanging in the same manner. In order to become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residential environment designer in this environment, we must understand the housing viewpoint of residents in that country first.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obtain the useful materials for residential environment design of Korea and China by comparing the housing viewpoint between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Korean students. A survey using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05 Korean students and 193 Chinese students (Chinese race) from Y University on a random sampling basis. The result of survey is as follows. First, as both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have a similar tendency on previous house type, current house type, and desired house typ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y are similar each other in the experience and preference of house type. Second,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onsider and as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of residence, but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onsider more functions of residence than Korean students. And, both Korean and Chinese students consider a living room as the most important space among housing spaces, but Chinese consider a private room more importantly than Korean. Thir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have stronger desire to possess houses, and desire to purchase houses with larger and more rooms at earlier time than Korean university students. Fourth, when selecting the house, Chinese university students give a higher consideration in terms such as , , , , and than Korean university students. Fifth, satisfaction level of Korean students on current houses was average as a whole, and most Chinese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houses. Sixth, as both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have higher level of consideration in the items such as safety>, , , , , , , , , , and compared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thought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ose items in housing planning.

Keywords

References

  1. 경향신문 2008년 1월 14일자 기사
  2. 고도임.윤복자.박남희.류영순(1997), 중국 용정지방 달라재 전통농 가 정지간과 생활행위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지, 8(3), 1-12
  3. 김경표(1996), 중국 동북부지역 불사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 및 중국 중원지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 85-94
  4. 김병희(2006), 한.중가치관의차이에 따른 국제광고표현 전략연구, 광고연구, 제70호, 9-40(재인용)
  5. 김성우.이원석(2001), 중국 요녕성 만주족, 한족, 조선족 민가 사이의 상호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11), 117-124
  6. 김승제(2002), 중국 조선족 용흥촌의 마을구성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8), 33-40
  7. 김종영(2004), 중국 연변 조선족과 한족의 집합주택 평면 구성 비교연구 -연길시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5(4), 55-63
  8. 김준봉.김성우.이 훈.박은정(2000), 중국 연변 조선족 전통민가의 형식적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7), 79-86
  9. 김태황.강민석(2001), 중국 건설시장의 환경 변화와 진출 전략,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0. 김현지.서희숙.이상홍(2006), 한.중 현대 집합주거 주동형식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11), 143-150
  11. 리광철.이상현(2008),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한국과 중국의 아파트평면 공간구성방식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9), 37-46
  12. 박남희.고도임(1998), 중국 용정지방 달라재 전통농가 작업 행위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지, 9(3), 119-131
  13. 박남희.고도임(1998), 중국 용정지방 달라재 전통농가 작업 행위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지, 9(3), 119-131
  14. 박한철.부척량(1999), 중국의 대학 건축교육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5(4), 89-96
  15. 심우갑.강상훈.조재모(2000), 한.중.일 집합주택 주호평면의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6(11), 53-62
  16. 신경주(2003), 주거학, 수학사
  17. 안옥희.정미란.김순경(1999), 대학생의 주거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1), 67-78
  18. 이왕기.최효승(1990), 중국 고대 건축생산 기술에 관한 연구(I)-선태시대와 한대의 건축연장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4), 105-113
  19. 이일영(2007), 중국 도시의 부동산 시장제도 형성과 시장구조,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 전망, 69, 291-323
  20. 이자영(2006), 모녀의 주거관 세대 전승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정미란, 안옥희(2001), 한일여대생의 주거관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2(4), 163-171
  22. 최수웅(1997), 중국의 주택시장 현황과 진출여건,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3. 최장순.홍대형(1998), 중국 복건성 객가족의 토루주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10), 165-175
  24. 한필원(1997), 중국 북경 사합원의 공간구성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11), 193-202
  25.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