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Forest Using Triangular Fuzzy Number

삼각퍼지수를 활용한 학교숲 만족도 분석

  • Lee, Seul-G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ang, Jung-Sun (Dept. of Pohang, The Forest for Life) ;
  • Jung, Sung-G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You, Ju-H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Wooded areas that are a part of school campuses are one type of urban forest. Most schools located in an urban environment make an excellent setting for a forest in terms of location and area. These kinds of wooded spaces also make the city greener and healthier. As a place where students spend a great deal of time, schools can also be a venu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 creation of wooded areas in schools currently has focused on the end result only; by ignoring student needs and participation, these areas have no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 environmental education. Previous studies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have quantified subjective qualitative data via Likert Scale. There has been, however, a problem in quantifying the more ambiguous subjective data. Therefore, this paper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ose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wooded areas of their school campus using Fuzzy Theory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buk-do. A change was observed in terms of the ranking of arithmetic mean values of 'school peculiarity' and 'emotion evolution' and center of gravity, which has adopted Fuzzy Theory, proving that Fuzzy Theory could rationally objectify qualitative data such as human thoughts. In terms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forests(regression coefficient), 'school uniqueness(0.159)' was the highest, followed by 'many trees(0.142),' 'importance of nature(0.136)' and 'emotion evolution(0.130).' This paper may therefore be useful as basic data for objective questionnaire surveys and the development of school forests.

학교숲은 도시숲의 유형중 하나이다. 도시학교는 적당한 거리에 적당한 면적을 유지하고 있어 학교숲의 조성은 도시에 많은 숲이 조성되는 효과를 준다. 또한, 학교는 학생들이 오랜 시간 머무르는 장소로 학생들의 환경교육의 장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조성된 학교숲은 학생들의 요구나 참여가 배제된 채 결과 중심의 사업이 되고 있어 학생들의 환경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하는 기존연구의 경우, 리커트척도를 활용하여 주관적 판단인 정성적 자료를 정량화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나, 인간의 주관적 판단은 모호한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정량화하는데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숲에 대한 객관적인 만족도 평가를 위해 퍼지이론을 활용하여, 학교숲 만족도에 미치는 항목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특색'과 '정서 함양' 항목의 산술평균값의 순위와 퍼지이론을 도입한 무게중심값의 순위가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퍼지이론이 인간의 사고와 같은 정성적 자료를 합리적으로 객관화 할 수 있다는 증거가 된다. 또한 학교숲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교 특색' 항목의 회귀계수값이 0.15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수량 많음(0.142)', '자연 소중(0.136)', '정서 함양(0.120)'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설문의 객관적 분석방법과 학교숲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지하, 윤용한, 박봉주, 김원태(2008) 학교숲 조성공사가 만족도 및 환경교육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 회지 11(4): 57-66
  2. 김수봉, 정응호, 전은정(2006) 학교공원 조성에 대한 학교구성원과 지역주민의 의식조사. 환경과학논집 11(1): 219-230
  3. 김인호, 주신하, 안동만(2000)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13(1): 122-132
  4. 김정원, 김영숙(2006) 자연체험프로그램이 유아의 친환경적 태도와 과학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지 116: 435-457
  5. 김후경, 이현택(2005) 대구광역시 초등학교 소공원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3(3): 78-83
  6. 김한도(2007)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경남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7. 박찬정(2004) 퍼지모형을 이용한 기업의 경쟁력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관리회계연구 4(2): 61-83
  8. 백재봉, 회송현, 민성환, 강현미(2006) 경남지역 학교숲 조성 주체의 선호도 조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 264-268
  9. 생명의숲(2007) 학교숲 성과 및 경제적 가치 평가. 생명의숲 연구보고서
  10. 변재상, 윤희정, 김인호(2008) 학교숲 이용실태 및 성과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6(1): 49-61
  11. 유동선, 이교원(1998) 기초 퍼지 이론. 서울: 교우사
  12. 유주한(2005) 퍼지이론을 도입한 생태계 평가지표 선정 및 우선순위결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윤희정, 변재상, 김인호(2008) 학교숲 속성별 가치평가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3): 29-38
  14. 이재영, 김아연(2005) 학교숲이 초등학생의 학교와 자연에 대한 인식 에 미치는 효과. 환경교육 18(2): 90-100
  15. 장선진, 박종민(2005) 체험활동을 통한 초등학생의 환경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4): 15-24
  16. 장세웅, 이상효, 김재준(2009) 인지요인이 공동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5(3): 207-214
  17. 정현모(2001) 학교숲의 환경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지리․환경 교육 9(2): 125-137
  18. Zadeh, L. A.(1973) Outline of a new approach to the analysis of complex systems and decision process. IEEE Trans. System, Man, and Cybernetics 3(1): 28-44
  19. Zimmer. A. C.(1985) Verbal versus numerical processing. in Scholz. R. (ed.), Individual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ty. Amsterdam. North-Holland
  20. http://www.fore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