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여성 노인의 가족형태와 삶의 질

The Quality of Life with family structure among the aged women who living in rural areas

  • 최종천 (성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윤정 (한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 투고 : 2009.05.21
  • 심사 : 2009.09.15
  • 발행 : 2009.09.30

초록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any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living together in the family for the aged women who live in the rural are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brief. First, those aged women who live alone showed a higher ratio of works like farming with less average income and less perception of living standards but better ADL than those of the aged women who live together with their family. Second,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o identify factors to predict the patterns of living together in the family for the aged women in the rural areas, those aged women who live alone showed more cases of farming, higher ADL level, higher degree of economical preparations and more perception of intimacy with their offspring than those of aged women who live together with their family. Unlike these results, those aged women who live together with their family have less average income, more phone calls with their neighbor and higher quality of life that those of aged women who live alone. Third, as a result of impact variables in the quality of life by the pattern of living together in the family for the aged women in the rural areas, those aged women who live together their family showed higher quality of life with better preparations for the health, emotion and economy for their aged life, and with less number of offspring and more frequency of phone calls with their neighbor. In addition, those aged women who live along in the rural areas showed higher quality of life with better emotional preparations, better economic preparations, more number of offspring, more friendly with their neighbor and more emotional support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보선. (2004). 제주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4(2), 145-162.
  2. 권중돈, & 조주연 (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3. 김숙경. (2004). 농촌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23(봄호), 179-200.
  4. 김오남. (2003). 농촌노인의 건강수준,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8(2), 5-22.
  5. 김윤정. (2008). 노년기 사회적 관계와 정신건강, 한국학술정보원.
  6. 김은경. (2002). 농촌 여성노인의 문제 및 복지정책을 위한 제언, 노인복지연구, 16, 175-191.
  7. 김은영. (2002). 장기요양서비스의 경제성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정석, & 김익기. (2000). 세대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한국노년학, 20(2), 155-168.
  9. 김태현. 김동배, 김미혜, 이영진, & 김애순 (1999).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II), 한국노년학, 19(1), 61-81.
  10. 김현미. (2007). 어촌지역 여성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농촌진흥청. (2005). 농촌생활지표.
  12. 박광희, & 한혜경 (2002).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연구, 11, 43-61.
  13. 박기남. (2004). 노년기 삶이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24, 13-29.
  14. 박승희. (2000). 농촌노인들의 욕구충족과 욕구생성의 실태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사회학, 34, 1007-1036.
  15. 배문조, & 전귀연. (2004).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2(7), 89-103.
  16. 배상희. (2007). 농어촌 여성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의 교환정도와 우울간의 관계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배진희. (2004).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사회복지정책, 20, 211.
  18. 손신영. (2006).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6(3), 601-615.
  19. 심정자. (2004). 여성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안경숙. (2005). 노인부부가구. 노인독신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1), 1-19.
  21. 유광수, & 박현선 (2003).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상태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3(4), 163-179.
  22. 오승환, & 윤동성 (2006).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2, 119-147.
  23. 오영희, 석재은, 권중돈, 김정석, 박영란, & 임정기 (2005).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4. 원영희. (1995). 동별거 형태가 한국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5, 2, 97-116.
  25. 이순길. (2005). 한국 여성노인의 사회관계망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26. 이정화, 한경혜, 박공주, & 이한기 (2003). 사회적 환경으로서의 지원망 특성이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농촌계획, 9(3), 1-7.
  27. 정경희, 오영희, 석재은, 도세록, 김찬우, 이윤경, & 김희경 (2005).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28. 정순둘. (2003). 저소득 노인의 가족동거여부와 삶의 만족도, 한국가족복지학, 11호, 59-78.
  29. 정정임. (2001). 노인의 가치와 노후생활 준비에 관한 의식 연구. 광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정혜정, & 이동숙. (2000). 부부단독가구 노인과 자녀동거 가구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2), 67-91.
  31. 최윤희, & 김윤정. (2004).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4, 197-213.
  32. 최은영. (2005). 사회적 지지망이 독거노인의 우울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최혜경. (1985).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가족부양체계를 중심으로한 인과모형의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한경혜, & 윤순덕. (2001). 자녀와의 동. 별거가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1(2), 163-178.
  35. 한경혜, & 홍진국. (2000). 세대간 사회적 지원의 교환과 노인의 심리적 복지. 가족과 문화, 12(2), 55-80.
  36. 한정자. (2002). 농촌지역 노인복지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농림부.
  37. 허선영. (2003).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생활만족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허준수. (2004).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4, 127-151.
  39. Atcheley, R, C. (1989). A continuity theory of normal aging. The Gerontologist, 29, 183-190. https://doi.org/10.1093/geront/29.2.183
  40. Day, A. & Day, L. (1993), Living arrangements and successful ageing among ever-married American white women 77-87 years of age. Ageing and Society, 3, 365-387.
  41. Diener, E., Emmons, R. A., Larso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42. Hobbs, F. B., & Damon, B. C. (1996). 65+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C: U. S. Bereau of the Census, Current Population Rep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