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conomic Effects of Wide-Regional Zones Port Logistic Industry

광역권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paper analyses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economic effects of wide-regional zones port logistic industry. The analysis on regional economic impacts is conducted in two ways, among which one is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final demand of the industry on regional economy and the other is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industry's production activity with using input-output analysis.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de-regional zones port logistic industry has lower value-added rate relative to other industries. Busan-Ulsan regional zone has relatively higher value-added rate than other regional zones. Second, the economic effects of final demand and production activity of the industry are found to be the largest in Jeolla regional zone and the lowest in Sudo regional zone.

본 연구는 우리나라 광역권 항만산업의 경제적 기여도 및 효율성을 분석하여 국가전체적인 항만시설 및 항만산업 투자 등에 있어 정부의 권역별 항만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003년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최종수요 및 항만산업 생산활동을 기준으로 생산, 부가가치, 취업 등의 유발계수를 도출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분석대상 권역의 항만산업은 구조상으로 볼 때 생산액 비중, 입지계수, 부가가치율 등과 같은 주요 경쟁력 지표와 경제적 파급효과에 있어 타 산업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상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권별로 최종수요에 의한 유발효과와 항만산업의 외생화를 통한 항만산업 생산활동에 의한 유발효과 분석 모두에서 전라권이 생산유발, 부가가치유발, 취업유발효과에서 가장 우위에 있으며, 부울경권은 부가가치유발과 취업유발효과에서 약간의 우위를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도권 항만산업은 생산액과 입지계수의 우위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기여도에서는 분석대상 지역 중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 효과 등이 가장 열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로 볼 때 정부는 항만산업자체가 주도적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핵심 서비스산업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권역별로 항만산업의 경제적 기여도 등 실태를 정확히 분석하여 투자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항만배후단지와 연계한 항만물류산업단지의 조성과 육성 등을 위한 정책적 지원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승준 외, “공공부문 자원재활용사업의 국민경제적 효과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11권, 제3호, 한국환경경제학회, 2002.9, p. 472.
  2. 김상춘.최봉호, “항만 액체화물 처리의 경제적파급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집, 제24집, 제1호, 한국항만경제학회, 2008.6.
  3. 김안호, 기성래,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집, 제21집, 제4호, 한국항만경제학회, 2005.12.
  4. 배기형, “물류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물류학회지, 제18권 1호, 한국물류학회, 2008.3.
  5. 유승훈 외, “투입산출표의 외생화를 이용한 전파방송산업의 산업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17권, 제14호, 한국산업경제학회, 2004.10, p. 1595.
  6. 유승훈,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심층수 산업화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0권, 제4호, 한국산업경제학회, 2007.
  7. 이양호 외, “부산지역 항만물류산업의 클러스트 분석,” 국제상학, 제19권, 제2호, 한국국제상학회, 2006.
  8. 이학헌,“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국제경쟁력 결정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해운학회지, 제20호, 한국해운학회, 1995.8.
  9. 정봉민, “항만산업의 국민경제적 기여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15권, 한국항만경제학회, 1999.8, p. 2.
  10. 정봉민 외, “해운, 항만산업의 국가경제기여도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보고서, 2004.
  11. 통계청, 운수업통계조사보고서, 각 년도.
  12. 한국은행, 지역산업연관표, 2007.
  13.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2004.
  14. 해양수산부, 해양수산통계연보, 각 년도.
  15. Brown, D.M., and F.Giarrantani,"The Use of Input-Output as a simple Econometric Model,"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1, 1979.
  16. Miller, R. and P. Blair,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 Prentice-Hall,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