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en Port Management Policy Directions in the Green Growth Era - The Case of Gwangyang Port in Republic of Korea -

녹색성장시대에 환경친화적 항만관리정책의 발전방향 - 광양항을 중심으로 -

  • 정봉현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지역개발학)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current conditions of transport demand and its environmental problems in Gwangyang Port(GP), and to suggest crucial directions for Gwangyang Green Port(GGP) in Korea.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main sections: concept of green growth and green port; the analysis of transport demand and environment situations in GP; policy directions for GGP. This study is mainly conducted by a literature review of related papers, an analysis of secondary data & papers, and interviews with port experts. This study presents important policy directions for successfully managing GGP in Korea as follows: modal shifts plan for green transport and logistics system in GP; energy-saving techniques in GP's berth operation;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ort operation methods in GP; construction of GP waterfront facilities; environmentally friendly disposal of maritime waste matters;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port environment master plan. This study will make a big contribution to the building of green port policy and the providing of professional informations to government officials.

본 논문은 광양항을 사례로 수송수요와 항만환경의 실태를 분석하고, 환경친화적인 항만관리정책의 방향을 항만운영과 계획 측면에서 강구하는 데 있다. 중요한 논문내용은 녹색성장과 환경친화적 항만의 개요, 광양항 수송 환경실태의 분석, 환경친화적 광양항 관리정책의 방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 광양항을 환경친화적인 녹색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항만운영 계획 측면에서 합리적인 항만관리정책의 방향이 정립되어야 한다. 항만운영의 측면에서 환경 친화적인 정책방향은 환경친화적 항만물류수송체계의 전환, 항만컨테이너 운영부두의 에너지 절감, 환경친화적 항만운영기술의 적용 등을 들 수 있다. 항만계획의 입장에서 환경친화적 항만정책의 방향으로는 환경친화적 항만친수공간의 조성, 해양폐기물의 환경친화적 처리와 항만환경계획의 수립 시행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는 항만과 환경의 상호간 영향에 대한 계량분석, 환경친화적 항만정책효과의 분석 등에 한계점을 가지고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계획과 운영 측면에서 환경친화적 항만정책의 영향평가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창민, 서남해안 해안폐기물 발생현황 및 대응방안, 리전인포 통권129호, 전남발전연구원, 2008.6.
  2. 경남발전연구원, 저탄소 녹색성장과 경남의 대응방안, 이슈분석, 2009-02, 2009. 1.
  3. 김성수.김동주, 전남 연안환경의 특성 및 보존방안, 리전인포 통권148호, 전남발전연구원, 2009.1.
  4. 김우선, 우리나라 항만의 대기오염 및 에너지비용 절감정책 필요, 해양수산동향 제1215호, 2006.4, pp. 1-7.
  5. 김우선외 2인, 컨테이너 터미널 에너지비용 절감방안 연구, 수시연구 200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7.12.
  6. 김우선외 3인, 친환경 항만운영기술 적용 및 실행방안연구, 정책연구 2008-9,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8.12.
  7. 김철승.정재용.박영수, 여수 광양항 출입항로의 해상교통환경 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0권, 1호, 2006, pp. 1-8.
  8. 김학소, 우리나라 항만개발의 녹색성장 방향, 광양항 Green Eco-port조성 대토론회 논문집, 광양항활성화 시민행동.광양자치포럼(사), 월드마린센터 국제회의장, 2009.5, pp. 1-14.
  9. 맹준호 외 6인, 해양매립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의 효율적인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KEI RE-2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5.
  10. 박영수.김종수.박진수, 해상교통공학적 고려요소를 이용한 광양항의 장래 교통량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1권, 6호, 2007, pp. 447-454.
  11. 백경훈, 부산항 수질환경보전을 위한 환경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연구2004-25, 부산발전연구원, 2005.6.
  12. 이성우, 우리나라 녹색성장전략과 연계한 광양항 Green Eco-port조성전략, 광양항 Green Eco-port조성 대토론회 논문집, 광양항활성화 시민행동.광양자치포럼(사), 월드마린센터 국제회의장, 2009.5, pp. 16-57.
  13. 송계의, 항만의 환경오염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집, 제1호, 2007.3, pp. 95-113.
  14. 전형진.고현정, 국가 친환경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Modal Shift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 2008-6,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8.12.
  15. 정봉현, 국제항만 친수공간의 개발유형 설정과 정책방향: 광양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권, 제3호, 2008, pp. 1-26.
  16. 정현, 항만에서의 환경오염과 환경친화적 항만 “그린 포트”의 건설, 기술사 제31권, 3호, 한국기술사회, 1998, pp. 52-59.
  17. 최동현.최재선, 바다쓰레기 관리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해양정책연구, 제13권, 제2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8, pp. 17-54.
  18. 허윤석.김율성, 21C 종합항만을 위한 부산항의 추진과제 평가,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2권, 제1호, 2008, pp. 57-63.
  19. 국토해양부 http://www.mltm.go.kr/
  20. 광양항 http://www.portgy.com
  21. 녹색성장위원회 http://www.greengrowth.or.kr
  22. 녹색연합 http://www.greenkorea.org/
  23. 여수지방해양항만청 http://yeosu.mltm.go.kr
  24. 한국컨테이너 부두공단 http://www.kc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