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Ecological Instream Flow Considering the River Characteristics and Fish Habitat in the Downstream of Yongdam Reservoir

용담댐 하류의 어류서식처를 고려한 생태학적 유지유량 산정

  • Jang, Chang-La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National Chungju University) ;
  • Shin, Jae-Ki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장창래 (충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 신재기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Ecological instream flow was quantitatively calculated based on the river characteristics and fish habitat in the downstream of Yongdam Reservoir. The river bed and width did not change from 1988 before the am construction to 2004 after the dam construction, but the bed sediment size was attenuated a little in 2004. According to result that investigate fishes, 4 family 11 species including Acheilognathus koreensis were collected. Among them, Zacceo koreanus of cyprinidae was dominant, and Coreoleuciscus splendidus did sub-dominant.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es were estimated for two fish species Zacco koreanus and Coreoleuciscus splendidus using Physical Habitat Simulation System (PHABSIM) considering the river characteristics. In Gamdong and Daeti sites, the optimal ecological flow for Z. koreanus and C. splendidus were $13.90\sim12.60\;m^3\;s^{-1}$ and $15.50\sim11.60\;m^3\;s^{-1}$,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optimal flow for the two species in Bunam site were $7.00\;m^3\;s^{-1}$. The ecological instream flow in the downstream of Yongdam Reservoir was between normal and high flow rate.

본 연구는 용담댐 직하류 하천정비가 시행되고 있는 구간에서 하도특성과 어류 서식처를 고려하여 생태학적 유지유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댐 건설 전과 후의 하도특성 변화에서 1988년부터 2004년까지 최심하상고 및 하폭의 변동이 거의 없이 안정적이었지만, 하상토 입경은 2004년에 조금 가늘어지고 있다. 어류를 조사한 결과, 칼납자루 등 4과 11종이 채집되었다. 그 중에서 잉어과 참갈겨니가 우점하였고, 쉬리가 아우점하였다. PHABSIM모형을 이용하여 하도특성을 고려한 서식처 적합도(HSC) 지수를 모의한 결과, 감동지구와 대티지구에서 참갈겨니의 최적유량은 $13.90\sim12.60\;m^3\;s^{-1}$범위이며, 쉬리의 최적유량은 $15.50\sim11.60\;m^3\;s^{-1}$범위이었다. 부남지구에서, 참갈겨니의 최적유량은 $7.00\;m^3\;s^{-1}$이며, 쉬리의 최적유량은 $7.00\;m^3\;s^{-1}$이었으며, 용담 유황자료와 비교한 결과 평수량과 풍수량 사이에 해당하는 유량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1999. 금강수계 하천수 사용실태 조사 및 하천유지유량 산정 보고서
  2.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2004. 금강상류(초강함류점-용담댐) 하천정비기본계획 (보완)
  3. 건설부.1988. 금강수계종함정비계획 (11) 보고서
  4. 김규호.1999. 하천 어류 서식 환경의 평가와 최적유량 산정,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학위논문
  5. 김규호, 조원천, 전병호.2000. 수량, 수질 모의치를 이용한 어류서식 조건 유지에 필요한 적정유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3(1): 3-14
  6. 성영두, 박봉진, 주기재, 정관수.2005. 하천의 어류 서식환경을 고려한 생태학적 추천유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8(7): 545-554 https://doi.org/10.3741/JKWRA.2005.38.7.545
  7. 우효섭, 이진원, 김규호.1998. 물고기 서식처를 고려한 하천유지유량 결정방법의 개발:· 금강 본류에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8(4): 339-350
  8. 전라북도 1989. 금강하천정비기본계획.
  9. 전라북도.1996. 금강, 진안천하천정비기본계획
  10. 최흥식, 최준걸.2009. 원주천의 어류군집 건전화를 위한 하도의 서식구조 특성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9(3B): 311-317
  11. 한국수자원공사. 1995. 하천유지유량 결정방법의 개발 빛 적용. IPD-95-2 , 연구보고서
  12. 허준옥, 김정곤 2009. 용담댐 하류의 하천건강성 평가 및 어류 서식처를 고려한 최적 생태유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2(6): 481-491 https://doi.org/10.3741/JKWRA.2009.42.6.481
  13. 日本國士交通省. 2001. 정상유량 검토의 지침 (안), 하천국 하천환경과
  14. Allan, J.D. 1995. Steam Ecology : Structure and Function of Running Waters, Chapman and Hall, New York, NY
  15. Kondolf, G.M. and P.R. Wilcock. 1996. The flushing flow problem: Defining and evaluating objectives. Water Resources Research 32: 2589-2599 https://doi.org/10.1029/96WR00898
  16. Stalnaker, C.B., B.L. Lamb, J. Henrikson, K. Bovee and J. Bartholow. 1995. The 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 a primer for IFIM. Biological report 29,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National Biological Service, Washington, D.C. 20240
  17. US Geological Survey-Midcontinent Ecological Science Center. 2001. PHABSIM for Windows - User’s Manual and Exercises, Open file report 01-340,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18. Washington Department of Fish and Wildlife. 2008. Instream Flow Study Guidelines: Technical and Habitat Suitability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