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Crude Protein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Levels on Intake, Digestibility, Nitrogen and Energy Utilization in Growing Dairy Goats

CP와 TDN 수준이 육성기 유산양의 건물섭취량, 소화율과 질소 및 에너지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creases of nutrient level of TMR on dry matter intake, digestibility, nitrogen and energy balance in growing dairy goats (Saanen). Twelve growing dairy goats weighing 17.5k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MRs; low energy-low crude protein (CP) TMR (control; A), high energy-low CP TMR (B), low energy-high CP TMR (C) and high energy-high CP TMR (D). The content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and CP in the control diet were 67% and 11%. The TDN content of the high energy TMR was 73.7% and the CP content of the high CP TMR was 13%. Dry matter intake was highest in D, and significantly higher in B than in C (p<0.05). Digestibility for dry matter and cell contents increased in proportion to dry matter intake. NDF digestibility was higher in D than in A, while ADF digestibility was higher in A and C than in B, but was not significant. Digestible nitrogen, apparently digested nitrogen and retained nitrogen were correlated with intake, and significantly higher in B than in C (p<0.05). Digestible energy and metabolizable energy were highest in D, and significantly higher in B than in C (p<0.05).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D or B were better than C for high intake, digestibility, nitrogen and energy utilization.

유산양의 에너지 및 단백질 이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구(A), TDN 증량구(B), 조단백질 증량구(C) 그리고 TDN 및 조단백질 증량구(D)로 구분하여 섭취량, 소화율과 질소 및 에너지 이용성을 시험하였다. 공시축은 유산양(Saanen, 평균체중 17.5kg, female) 12두를 공시하였고, 2008년 10월 20일부터 11월 9일까지 충남대학교 부설동물사육장에서 수행하였다. 건물 섭취량은 D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B구가 C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섭취율을 보였다(p<0.05). 건물 소화율 및 세포내용물의 소화율은 A구에 비하여 영양성분을 증량한 B구와 C구 및 D구가 모두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p<0.05), D구가 가장 높고 B구가 C구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NDF소화율은 A구에 비하여 영양성분을 증량한 처리구들에서 모두 높았고, ADF소화율은 A구와 C구가 B구와 D구보다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는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가소화 및 대사질소량은 섭취량과 유사한 경향으로 D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C구 보다는 B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p<0.05). 가소화에너지와 대사에너지도 D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C구 보다는 B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들은 조단백질만을 증량하는 것보다는 TDN 수준과 함께 조단백질수준을 증량시켜주거나 또는 TDN 수준을 증량시키는 것이 건물소화율 및 질소이용성과 에너지이용성을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진, 하정기, 장판형. 1977. 한국재래산양의 산육성에 대한 연구. 경상대학교 논문집. 16(1):103-111
  2. 강병호, 이인덕, 이형석. 2009. 유산양의 조사료채식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초지조사료지. 29(1):63-72 https://doi.org/10.5333/KGFS.2009.29.1.063
  3. 김용국, 김종우. 1982. 몇가지 관목류의 유산양 1위내 건물 소화시험. 한국낙농학회지. 4(3):157-160
  4. 농림부. 2008. 농림통계연보
  5. 안병홍, 이병오, 곽종형, 강희신, 고영두, 신종욱, 강정부. 1990. 한국 재래산양의 사양기술 개발에 관한연구, I. 사료의 에너지 수준이 한국재래산양의 비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축산진흥연구소보. 17:33-42
  6. 이인덕, 이중해, 이형석. 1995. Alfalf를 첨가한 갈참수엽급여 산양의 섭취량, 소화율과 질소 및 에너지이용에 관한 연구. 한초지. 15(4):291-296
  7. 이인덕, 이형석. 2007. 여러 가지 조사료를 급여한 유산양(Saanen)의 채식습성에 관한 연구. 한초지. 27(4):313-322 https://doi.org/10.5333/KGFS.2007.27.4.313
  8. 정기웅, 조악환, 황보순, 이성훈, 송해범. 2008. 사료급여체계가 재래종 및 교잡종 흑염소의 영얀소 이용율, 질소축적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초지조사료지. 28(4):341-350 https://doi.org/10.5333/KGFS.2008.28.4.341
  9. 조익환, 황보순, 전기현, 송해범, 안종호, 이주삼. 1997. 조사료원이 한국 재래사양의 섭취량과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7(1):82-88
  10. 황보순, 최순호, 이성훈, 김상우, 김영근, 상병돈, 조익환. 2007. 섬유질배합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이 임신초기 흑염소의 건물섭취량, 소화율 및 질소출납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7(2):93-100 https://doi.org/10.5333/KGFS.2007.27.2.093
  11. AOAC. 1999.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2. Atti, N., H. Rouissi and M. Mahouachi. 2004 . The effect of dietaly crude protein level on growth, carcass and meat composition of male goat kids in Tunisia. Small Rumin. Res. 54:89-97 https://doi.org/10.1016/j.smallrumres.2003.09.010
  13. Crampton, F.W. and L.A. Maynard. 1938. The relation of cellulose and lignin content to the nutritive value of animal feeds. J. Nut. 15:383-395 https://doi.org/10.1093/jn/15.4.383
  14. Ensminger, M.E., J.E. Oldfield and W.W. Heinemann. 1991. Feeds & Nutrition. Agriservice Foundation. Clovis, California, USA
  15. Gail Luttmann. 1986. Raising Milk Goats Successfully. Williamson Books. 43-52
  16.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 Handbook. No. 379. ARS. USDA. Washington, DC
  17. Hornick, J.L., van C. Eenaeme, O. Gerard, L. Dufrasne and L. Istasse. 2000. Mechanisms of reduced and compensatory growth. Dom. Anim. Endocrinol. 19:121-132 https://doi.org/10.1016/S0739-7240(00)00072-2
  18. Huston, J.E., B.S. Rector, W.C.. Ellis and M.L. Allen. 1986. Dynamics of digestion in cattle, sheep, goats and deer. J. Anim. Sci. 62:208-215 https://doi.org/10.2527/jas1986.621208x
  19. Jia, Z.H., T. Sahlu, J.M. Fernandez, S.P. Hart and T.H. Teh. 1995. Effect of dietary protein level on performance of Angora and cashmere-producing Spanish goats. Small Rumin. Res. 16:113-119 https://doi.org/10.1016/0921-4488(95)00616-S
  20. Moon, S.H., B.T. Jeon and H. Hirota. 1995. Nitrogen and energy balance in goats receiving rations of rye hay with unchopped or chopped from at two stages of growth. Korean J. Anim. Sci., 37(1)79-86
  21. NRC. 1981. Nutrient requirements of goat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22. Osuagwuh, A.I.A. and A.O. Akinsoyinu. 1990. Efficiency of nitrogen utilization by pregnant West African dwarf goats fed various levels of crude protein in the diet. Small Rumin. Res. 3:363-371 https://doi.org/10.1016/0921-4488(90)90017-Z
  23. Parkash, S. and R. Jenness. 1968.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goat milk: A review. Dairy Sci. Abstr. 30:67-102
  24. SAS. 2002.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9th ed. SAS Institute, Inc., Cary, NC
  25. Van Soest, P.J. 1982. Nutritional ecology of the ruminant. Q&B Books. Corvallis, OR, p. 374
  26. Van Soest, P.J. 1994. Nutritional ecology of the ruminant. 2nd ed.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