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icrobial Pollution of Indoor Air at Elderly Care Facilities

노인요양시설의 실내공기 중 미생물 오염에 관한 연구

  • Kim, Sang-Ha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
  • Kim, Young-Kwon (Departmen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Konyang University)
  • 김상하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 ;
  • 김영권 (건양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Culture was performed by using Sheep Blood Agar Plate (BAP, Asan Pharmaceutical) and Sabouraud Dextrose Ager (SDA, Asan Pharmaceutical) along with air $IDEAL^{TM}$ (Biomerieux), which is a microbe interceptor based on inertial impaction interception, in order to investigate bioaerosol in indoor and outdoor air at five elderly care facilities in a metropolis and an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for two months from April 1 to May 31, 2007. From the culture followed by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As for the general isolation of microbes in each facility, care center S had the largest amount of microbes (263 cfu/$m^3$) isolated in a 300L room, followed by care center U having 123 cfu/$m^3$ isolated. 2. As for the number of bacteria isolated from a medium intercepting 300 L indoor, the largest amount of other unidentified or non-pathogenic Gram positive cocci (321 cfu/$m^3$) was isolated and most of the other Gram positive cocci were CNS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3. As for the number of fungi isolated from a medium intercepting 300 L in a room, the largest number of Aspergillus spp. (66) was isolated, followed by Mucor spp. (62 cfu/$m^3$), Penicillium spp. (53 cfu/$m^3$), Alternaria spp. (50), and other unidentified or non-pathogenic fungi (42 cfu/$m^3$). 4. As for the rate of indoor and outdoor pollution, the average number of interceptions was all larger indoor than outdoor; the research differentiating the amount of air into 300 L and 500 L demonstrated that the larger amount of air led to more bacteria, making no great variation in the species.

2007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2개월 동안 1개 광역도 1개 도농복합도시 지역의 노인요양시설 5곳을 대상으로 실내 외의 공기 중 바이오에어로졸 조사하기 위해 관성충돌 채취법을 적용한 미생물 채취기인 air $IDEAL^{TM}$(Biomerieux)를 이용하여 면양혈액한천배지와 Sabouraud Dextrose Ager를 사용하여 채취하여 배양하였다. 배양하여 분리 동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시설별 전체 미생물의 분리는 300 L 실내에서 S 요양원이 263 cfu/$m^3$로 가장 많았고, U 요양원이 123 cfu/$m^3$로 가장 낮은 수가 분리되었다. 2. 실내에서 300 L를 채취한 배지에서 분리된 세균의 수는 기타 동정되지 않거나 비병원성 그람양성구균이 321개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으며, 기타 그람양성구균의 대부분은 CNS(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이었다. 3. 실내에서 300 L를 채취한 배지에서 분리된 진균의 수는 Aspergillus spp. 가 66개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으며, 다음으로 Mucor spp. 62개, Penicillium spp. 53개, Alternaria spp. 50개, 기타 동정되지 않거나 비병원성 진균들이 42개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4. 실내 외의 오염비율은 실외보다는 실내에서 모두 평균 집락수가 많았으며, 300 L와 500 L의 공기량의 차이를 둔 조사에서는 공기량이 많을수록 양적으로는 많은 세균이 검출되었지만 균종으로는 큰 변화가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산업체 작업환경에서 실내공기의 세균오염도에 관한 연구.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 논문, 1996.
  2. 김철홍, 최정윤, 손명현, 이경은, 김규언, 이기영. 서울 지역 실내외 공기 중의 곰팡이포자수 분포에 관한 다가구 조사. 소아과 천식 및 알레르기 2001;21(5): 970-976
  3. 김윤신. 한국의 실내 공기질 현황과 문제점. 제 25회 보건학종합학술대회. 서울시. 2000
  4. 최종태, 김윤신. 병원내 공기중 미생물의 농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환경위행학회지 1993; 19(1): 30-36
  5. Macher, J.M., M.W.First. Personal air sampler for measuring occupational exposures to biological hazards. Am. Ind. Hyg. Assoc. J., 45, 76, 1984 https://doi.org/10.1080/15298668491399406
  6. 안태석. 대기중의 미생물의 검출과 측정방법. 공기청정기술 2000; 13(2): 60-69
  7. 김윤신. 실내공기질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환경부 1999
  8. 배경숙. 실내 미생물 제어기술 - 주거환경의 곰팡이 대책. 제 16회 공기청정기술 세미나 1999; 73
  9. 이철민, 김윤신, 이태형, 박원석, 홍승철. 다중이용시 설내 공기중 바이오에어로졸 농도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2004; 13(3): 215-222
  10. Burge, H.A., Pierson, D.L., Groves, T.O., Strawn, K.F., and Mishra, S.K. Dynamics of airborne fungal populations in a large office building. Curr. Microbiol 2000; 40: 10-16 https://doi.org/10.1007/s002849910003
  11. Burge, H.A., Pierson, D.L., Groves, T.O., Strawn, K.F., and Mishra, S.K. Dynamics of airborne fungal populations in a large office building. Curr. Microbiol 2000; 40: 10-16 https://doi.org/10.1007/s002849910003
  12. 김윤신, 이은규, 엽무중, 김기영.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실내공기 중 미생물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002; 28(1): 85-92
  13. 정낙은, 정세윤, 정용호, 김신규, 최태열, 김춘원, 김기홍. 공기오염측정기(RCS Air Sampler)를 이용한 병원내 공기오염도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임상병리학회지 1986; 6(1): 117-123
  14. 조현종. 일부종합병원 내 영역별 공기 중 미생물평가. 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산업보건대학원 석사 논문, 1998
  15. 박천제. 병원지하공간내의 공기중 미생물 분호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97.
  16. 하권철. 미생물을 이용한 일부병원, 가정 및 일반 대기질의 평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1991; 10-12
  17. Morey, P., Otten, J., Burge, H. Airborne viable microorganism in office environments sampling protocol and Analytical procedures. Appl. Ind. Hyg. 1986; 1(1): R19

Cited by

  1. Toxin Gene Profiles and Toxin Production Ability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from Indoor Air from Lunchrooms at Child Care Centers vol.38, pp.6, 2012, https://doi.org/10.5668/JEHS.2012.38.6.510
  2. Monitoring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Air Purifier for Preventing Cross-contamination vol.31, pp.3, 2016, https://doi.org/10.13103/JFHS.2016.31.3.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