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Satisfaction in Wando Changpogo Festival

완도 장보고축제의 만족도 분석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terminant factors of satisfaction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from clusters in the category of overall state of satisfaction, the thought of revisiting, and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with the case of Wando Changpogo Festival. Changpogo Festival has been held since 1996 with the theme of 'Changpogo', gained great acknowledgment from television drama, 'Haeshin', and this year of 2009 is its fourteenth. The study analyzed questionnaire which is made up of items on satisfaction factors of 18 local festival visitors. Results from factor analysis are 1) the contents and the souvenir of the festival, 2) work for publicity, 3) tour for near place and convenient facilities. Likewise, results from cluster analysis are 1) a cluster of the contents and the souvenir of the festival, 2) a cluster of tour for near place and convenient facilities, 3) a cluster of work for publicity. In conclusion, there are similar degrees in difference between clusters, but especially the 'tour for near place and convenient facilities' factor has higher score than the others. Therefore, this factor should be cared with great importance.

본 연구는 완도군에서 개최하는 완도 장보고축제를 사례로 지역축제 방문객의 만족인자를 도출하고, 각 군집별로 전반적 만족, 재방문, 추천의사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완도 장보고축제는 1996년 '장보고'라는 테마의 등장을 알린 이후, 2005년 드라마 '해신'의 성공에 따라 전국적인 인지도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2009년 현재 14회째 개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8개의 지역축제 방문객 만족인자 항목을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인자분석 후 3개의 인자가 도출되었으며, 군집분석 후 3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지역축제 만족군집 유형별로 전반적 만족과 재방문, 그리고 추천의사에 있어 모두 유의한 평균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주변 관광과 편의시설군'이 전반적 만족과 재방문, 추천의사 모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지역축제 방문객의 만족인자 중에서 주변 관광과 편의시설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승익,오상운,고경실,조문수, 2007, '지역주민의 지역축제 평가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애착도, 지역축제 영향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1(4), 177-198
  2. 김숙희, 2008, 완도 장보고축제의 문화원형 활용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김희철,김민철,부창산, 2007, '제주 방어축제의 재방문요인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6), 712-723
  4. 문성종,김민철,부창산, 2008,' 제주 들불 축제 평가속성의 만족 및 지불의사 영향 연구,' 호텔경영학연구,17(3), 157-173
  5.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문화향수 실태조사
  6. 서철현, 2001, '지역축제에 대한 사후이미지가 방문객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16(2),14-18
  7. 서휘석,이동기, 2000, '물리적 환경이 지역축제의 만족과 재방문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34(1), 229-240
  8. 안경모,장윤지,김주연, 2007, '세계도자비엔날레 참가자의 평가와 만족, 재참가 의사에 관한 연구,' 컨벤션 연구, 7(2), 93-105
  9. 오수진,이정희, 2007, '지역축제의 서비스 품질요인과 방문객 만족도 및 재방문에 관한 연구,' 이벤트컨벤션연구, 3(1), 1-17
  10. 완도군, 2009 완도 장보고축제 방문객 분석 및 평가 보고서
  11. 이낙귀, 2009,' 지역축제 방문객의 만족도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횡성한우축제를 중심으로,' 관광학 연구, 33(3), 205-226
  12. 이정록, 2005,' 문화관광축제의 공간확산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8(3), 431-445
  13. 이정록,안종현, 2004,'지역축제 방문객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3), 642-653
  14. 이준엽, 2003, '지역축제방문동기 세분화 및 만족의 차이,' 관광,레저연구, 14(3), 143-156
  15. 장양례, 2005, '축제 평가 속성이 방문객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화관광연구, 7(2), 163-180
  16. 장양례,김해영, 2007, '지역주민과 외지 방문객의 축제참여 동기와 만족, 충성도 비교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6), 724-737
  17. 차석빈,김홍범,김우곤,윤지환,오흥철, 2001, 다변량분석의 이론과 실제, 학현사
  18. 황종규,엄홍석,이명석, 2005, '지역축제 방문자 만족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17(2),313-335
  19. Anderson, E. W., Fornell, C., and Lehmann, D. R., 1994,Customer satisfaction, market share, and profitability: finding from Sweden, Journal of Marketing, 58(July), 53-66
  20. Dann, G., 1978, Tourist satisfaction: A highly complex variable, Annals of Tourism Research, 5(4), 440-443 https://doi.org/10.1016/0160-7383(78)90323-7
  21. Lounsbury, J. W. and Polik, J. R., 1992, Leisure needs and vacation satisfaction, Leisure Sciences, 14(2),105-120 https://doi.org/10.1080/01490409209513161
  22. Oliver, R. L., 1981,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es in retail settings, Journal of Retailing, 57(3), 25-48
  23. Pizam, A., Neumann, Y., and Reichel, A., 1978, Dimentions of tourist satisfaction with a destination area, Annals of Tourism Research, 5(3), 314-322 https://doi.org/10.1016/0160-7383(78)901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