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lack Waxy Hybrid Corn, "Heukjinjuchal" with Good Eating Quality

고품질 검정 찰옥수수 신품종 "흑진주찰"

  • 정태욱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
  • 송송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손범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정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백성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정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선림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
  • 김시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성국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박기진 (강원도농업기술원) ;
  • 신현만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 허창석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Received : 2009.12.04
  • Published : 20091200

Abstract

A single cross hybrid, Heukjinjuchal, is a black color waxy corn (Zea mays L.) developed by the maize breeding team at NICS in 2008. Heukjinjuchal was produced by crossing two inbred lines, KBW24 as seed parent and KBW2 as pollen parent. Ear length and ear diameter of Heukjinjuchal was 16.0 cm and 4.4 cm, respectively. The ratio of kernel set length/ear length was 89%, similar with that of a check hybrid, Chalok1. It is resistant to Northern corn leaf blight disease and also lodging tolerant. Fresh ear yield of Heukjinjuchal comparable with those of a check hybrid, Chalok1 in regional yield trials for three years. Seed production of this hybrid is relatively easy because of well overlapping period of silking and pollen dispersal between the two parents. This cultivar would be well adaptable to the whole country.

흑진주찰(수원찰57호)은 자식계통 KBW24을 종자친으로하고 KBW2를 화분친으로 하여 교잡된 단교잡종이며 고품질 검정찰옥수수이다. 흑진주찰은 2003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06~'08년 3년 동안 전국 5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8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결정되었다. 이 품종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흑진주찰의 출사일수는 74일로 중만숙종에 속하며 이삭 길이가 16.0 cm로 찰옥1호와 비슷하다. 2. 품질특성에 있어서 흑진주찰은 과피두께가 얇고 경도가 낮아 씹힘성이 부드러우며 관능검사에서 전체적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내재해성 및 내병성에 있어서 흑진주찰은 그을음무늬병에 강하고 도복에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4. 흑진주찰의 수량성은 3년, 5개 지역 지역적응시험 결과 평균 수량성은 찰옥1호와 비슷하였다. 5. 모 부본 재식비율을 2:1, 3:1로 모, 부본 동시 파종하여 채종시험을 한 결과, 흑진주찰의 모본 출사기와 부본의 화분 비산기간이 잘 일치하였으며 채종량은 모, 부본 2:1 파종이 ha당 1,220 kg이고 3:1은 1,4900 kg으로 3:1이 높게 나타났다. 6. 흑진주찰은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하지만 강풍을 동반한 집중 호우 시 포장 배수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촌진흥청. 2008. 2008년도 하계작물 신품종개발공동연구 보고서
  2. 농촌진흥청. 2008. 2008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 결과
  3. 정태욱, 박남규, 김선림, 문현귀, 손범영, 김시주. 2005. 고품질 찰옥수수 육종을 위한 식미관련 특성검정 보고서
  4. 정태욱, 문현귀, 손범영, 김시주. 2007. 유색 찰옥수수 우수 교잡종 선발에 대한 생산성 및 지적시험 보고서
  5. 김선림, 김이훈, 손영구, 송정춘, 황종진, 허한순. 1999. 검정 찰옥수수 종실에서 안토시아닌색소 분리 및 동정. 한국육종학회지 31(4):408-415
  6. 최봉호, 이원구, 백만기, 이희봉, 박승의. 1993. 식용 찰옥수수의 질김성에 관한 연구. 농업논문집(농업산학협동) 35:33-44
  7. 이인섭, 최봉호, 이원구, 이희봉. 1993. 찰옥수수 과피 두께에 관한 유전. 한국작물학회지 38(6):489-494
  8. 박기진, 박종열, 류시환, 고병대, 서정식, 민황기. 2004. 찰옥수수 육성 자식계통의 주요 형질간 상관. 한국작물학회 추계 학술발표회(경북대). 한국작물학회지 49(별2) p288
  9. Purdy, J.L. and P.L. Crane. 1967. Influence of pericarp on differential drying rate in mature corn. Crop Sci. 7:379-381 https://doi.org/10.2135/cropsci1967.0011183X00070004003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