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ssment of Hwapo riverine wetland function using Hydrogeomorphic Approach

HGM을 이용한 화포천 습지의 기능평가

  • 윤선화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 공학부) ;
  • 김덕길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 공학부) ;
  • 김형수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 공학부) ;
  • 곽재원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 공학부)
  • Received : 2009.08.19
  • Accepted : 2009.11.10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A wetland is an ecosystem which has high species diversity, rich nutritional substances and high productivity. In this study we used the HGM(Hydrogeomorphic) approach among various evaluation models for the assessment of the Hwapo riverine wetland function. HGM is a method which estimates the functional index of a study wetland by comparing it with a reference wetland. In this study the Woopo wetland which is registered in the Ramsar Convention was selected as a reference wetland to assess the functional index of the Hwapo wetland. As the results, we obtained the functional index values over 0.6 for most indices of the Hwapo riverine wetland. Therefore we found that the Hwapo riverine wetland shows relatively high functional index values comparing with the Woopo wetland and it has valuable hydrological, biochemical, plant habitat, and animal habitat functions.

습지는 종 다양성이 높고 영양물질이 풍부하며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로서 수문학적으로나 생태학적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습지 기능을 평가하는데 이용되는 다양한 평가 방법중 하나인 HGM (Hydrogeomorphic)을 적용하여 화포습지에 대한 기능평가를 실시하였다. HGM방법은 하나의 기준습지를 선정한 후 대상습지와의 비교를 통해 습지의 기능을 지수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우포늪을 기준습지로 선정하여 화포천 습지의 기능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기능이 0.6점 이상으로 우포늪과 비교하여 비교적 긍정적인 기능지수의 값을 보여주었다. 이는 화포천 습지가 수문학적, 생지화학적, 식물서식처, 동물서식처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보전 및 관리를 한다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정(2006) 우포늪에서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식생 구조, 현존식생도 및 1차 생산,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2. 강수진(2004) 습지기능을 고려한 한국 내륙습지의 간이 평가 기법 개발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 구본학(2001) 우포늪의 서식처 기능 평가 연구: 수정 HGM (Hydrogeomorphic)기법의 적용, 논문집 - 자연과학편, 제27집, 혜천대학, pp. 487-503.
  4. 구본학, 김귀곤(2001) RAM(일반기능평가기법)을 이용한 내륙습지 기능평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제4권, 제3호, pp. 38-48.
  5. 국립환경과학원(2006) 습지보호지역 정밀조사 :낙동강하구, 우포늪,무제치늪.
  6. 김재철(2008) 토평천 유역 하천변 습지 조성에 따른 습지지속가능성 평가 및 우포늪에 미치는 수문 학적 영향평가,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7. 양병호, 조운식, 구본학(2005) 댐 저수지 내 습지 유형 및 기능 평가 연구 : 보령호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확회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제8권, 제6호, pp. 80-91.
  8. 한국수자원공사(2009) 댐습지의 기능과 가치평가 방법의 개발 : 보령댐을 중심으로.
  9. 한성백(2006) 화포천 화포습지의 수질정화능 평가,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10. 환경부(2001) 한국의 생태계 보호지역 : 생태계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11. 환경부(2002) 전국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 : 화포습지, 하벌습지, 2001.
  12. 환경부(2006) 2006전국내륙습지 정밀조사 : 산들늪.화포늪.장척지.금강호.
  13. 袁軍, 呂憲國 (2004) 濕地功能評價硏究進展. 濕地科學(중국), Vol.2, No. 2, pp. 153-160.
  14. 趙士洞 (2001) 新千年生態系統評估一背景, 任務和建議. 第四紀硏究 (중국), Vol. 21, No. 4, pp. 330-336.
  15. 崔麗娟, 張曼胤, 王義飛(2006) 濕地功能硏究進展. 世界林業硏究(중국), Vol. 19, No. 3, pp. 18-21.
  16. Brinson, M.M., Rheinhardt, R.D., Hauer, F.R., Lee, L.C., Nutter, W.L., Smith, R.D., and Whigham, D. (1995) A Guidebook for Application of Hydrogeomorphic Assessments to Riverine Wetlands, US Army Corps of Engineers.
  17. Miller, R.E. and Gunsalus, B.E. (1999) Wetland Rapid Assessment Procedure. Technical Publication REG-001, Natural Recource Management Division, Regulation Department, South Florida Water management District, West Palm Beach, Florida.
  18. Sutula, M.A., Stein, E.D., Collins, J.N., Elizabeth Fetscher, A., and Ross Clark (2006) A practical guide for the development of a wetland assessment method: the california experience,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2 , Issue 1, pp. 157-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