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Filling Material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ermeable Polymer Concrete

충전재가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 최재진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유혁진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Received : 2009.08.24
  • Accepted : 2010.01.26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illing material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ermeable polymer concrete. The filling materials were ground calcium carbonate,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 In this experiment, permeable polymer concrete mixtures with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ntents from 5 to 7 weight %, filler/resin ratio of 0~2.0 and crushed coarse aggregate passing 15 mm sieve were prepared and coefficient of permeability, void ratio,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were tested. As the test results, increase in the strength and decrease in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the permeable polymer concrete were generally observed with increasing the resin contents and filler/resin ratio.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of the permeable polymer concrete were in the range of 8.0 to 35.0 MPa and 2.0 to 9.0 MPa respectively and the highest strength was shown at the mixtures with 7 weight %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ntents, 2.0 ratio of filler/resin and filler of ground calcium carbonate. On the other hand, in the level of 20 MPa compressive strength, the mixtures with filler of fly ash was shown as the most economic permeable polymer concrete.

본 연구에서는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용 충전재로서 중질탄산칼슘, 고로슬래그미분말 및 플라이 애시를 사용하고 이들 충전재의 종류와 사용량이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실험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질량비로 5~7%, 충전재/수지 비를 0~2.0 그리고 나머지는 15 mm 체를 통과하는 굵은 골재로 하여 배합을 정하고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투수계수, 공극률, 압축강도 및 휨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수지의 사용량 및 충전재/수지 비의 증가에 따라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투수계수는 감소되고 압축 및 휨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압축강도 8.0~35.0 MPa과 휨강도 2.0~9.0 MPa의 범위를 나타냈다. 가장 높은 압축강도와 휨강도를 나타낸 것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사용량 7%, 충전재/수지 비 2.0의 중질탄산칼슘 사용 배합이었다. 한편 압축강도 20 MPa 수준의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에서는 충전재로서 플라이 애시를 사용할 때가 가장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환, 김용로, 박정호, 김무한(2003) 현장타설 녹화 콘크리트에 의한 하천호안, 한국콘크리트학회지, 한국콘크리트학회, 제15권 제3호, pp. 80-86.
  2. 문한영, 김성수, 정호섭(1999) 전기로슬래그 골재를 투수성콘크리트 포장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9권 제1호, pp. 111-121.
  3. 안영희, 최경영(2002) 녹화용 다공질 식재 블록의 개발, 한국환경 복원녹화기술학회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제5권 제4호, pp. 1-9.
  4. 윤길봉, 황인성, 이병렬, 전찬기, 양성환, 한천구(2002)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골재 입도 분포의 영향, 한국콘크리트학회 2002년도 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pp. 111-116.
  5. 이윤수, 주명기(2002) 투수성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기공적 성질,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제14권 제3호, pp. 402-408.
  6. 최재진, 황의환(2002)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물리적 성질,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제14권 제1호, pp. 41-48.
  7. 安岐裕ほか (1988) 透水性コンクリト鋪裝の適用性に關する實驗,道路建設, pp. 52-56.
  8. Gowripalan, N., Yang, S.H., and Han, C.G. (2003) A funda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meable polymer concrete for balcony bricks, Proceedings of the Fourth ASPIC, pp. 185-194.
  9. Kawakami, M., Tokushige, H., and Matsuoka, S. (2002) Physical properties of porous polymer concrete using recycled plastic aggregates, Cement Science and Concrete Technology, Vol. 55, pp. 645-650.
  10. Sung, C.Y. (2006) Engineering properties of permeable polymer concrete using bottom ash and recycled coarse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48, No. 7, pp. 25-31. https://doi.org/10.5389/KSAE.2006.48.7.025
  11. Tamai, M. and Tanaka, M. (1996) A study on ecological concrete with continuous void, Concrete in the Service of Mankind- Concrete for Environment Enhancement and Protection, Edited by R.K. Dhir and T.D. Dyer, E & FN Sp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