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upled Operation of the Lake Youngsan, Yeongam and Kumho for the Flood Stage Control in the Downstream of the Youngsan River

영산강 하류부 홍수위 조절을 위한 영산호-영암호-금호호 연계운영

  • 김대근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동옥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01.15
  • Accepted : 2010.03.12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o examine how the width of connecting channels, the width of the Kumho lock gate, and the opening/shutting criteria of the Yeongam connecting channel lock gate affect the flood stage of Lake Yeongsan, Lake Yeongam, and Lake Kumho, located in the lower reaches of the Yeongsan River, unsteady flood routing was performed by connecting the three lakes into a single interlinked system. The coupled operation of the three lakes was found to have little effect when the widths of the lock gates and the Yeongam and Kumho connecting channels are set at the current level. The most effective way to lower the water level in Lake Yeongsan was to widen the Yeongam connecting channel, but this caused the water level in Lake Yeongam to rise. To lower the increased water level in Lake Yeongam by utilizing the water storage capacity of Lake Kumho, it was necessary to widen both the Kumho lock gate and the Kumho connecting channel. It was found that the optimum opening/shutting criterion for the Yeongam connecting channel lock gate is approximately EL.(+)0.8 m under the simulated conditions used in this study and the criterion allows of maximal lowering of the water levels in Lake Yeongam and Lake Kumho while maintaining a near-constant water level in Lake Yeongsan.

연락수로의 확폭, 금호호 배수갑문의 확폭, 영암연락수로 제수문의 개폐기준이 영산강 하류부에 위치하는 영산호 영암호 금호호의 홍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3개의 호수를 하나의 연계시스템으로 구성하여 부정류 해석을 수행하였다. 3개 호수의 배수갑문, 영암 및 금호연락수로의 제원이 현상태인 조건에서 3개 호수의 연계운영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산호의 내수위를 낮추기 위해서는 영암연락수로를 확폭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이는 영암호의 내수위 상승을 유발한다. 상승한 영암호의 내수위를 금호호의 저류능력을 활용하여 낮추기 위해서는 금호호 배수갑문과 금호연락수로를 함께 확폭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모의조건에서, 영산호의 내수위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영암호와 금호호의 내수위를 최대로 낮출 수 있는 영암연락수로 제수문의 개폐기준은 약 EL.(+)0.8 m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환(1996) 하구언 및 방조제 건설에 따른 목포해역의 환경변화.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6권 제II-6호, pp. 611-619.
  2.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2004) 해수유동모의에서 조간대 모의의 필요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3B호, pp. 259-265.
  3. 건설교통부 영산강홍수통제소(1997) 영산강 하구둑이 홍수예경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검토 및 연계운영 방안 개발.
  4. 건설교통부(1998) 영산강 하천정비기본계획(보완).
  5. 건설교통부(2007) 영산강 유역종합치수계획 자문보고서.
  6. 건설교통부 국립지리원(1982) 연안해역 기본조사 보고서-화원지구.
  7. 김대근, 이재형 (2008) 영산강 하류부 홍수조절을 위한 영산호-영암호 연계운영 방안,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3B호, pp. 297-306.
  8. 농업기반공사(2002) 영산강 농업종합개발사업지.
  9. 목포시(2005) 목포시 지역방재계획 학술연구용역 보고서.
  10. 박선중, 김대근, 안순섭, 강주환(2007) 조석의 영향을 받는 영산강 하류부의 수리학적 홍수추적.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2B호, pp. 201-209.
  11. 장수형, 윤재영, 윤용남, 김원석 (2006a) 제내지와 하도를 연계한 하천유역의 홍수유출해석 : I. 제내지 침수해석에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18호, pp. 79-88.
  12. 징수형, 윤재영, 윤용남, 김원석 (2006b) 제내지와 하도를 연계한 하천유역의 홍수유출해석 : II. 하구호 유출해석에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1B호, pp. 89-98.
  13. 정재욱, 이재응, 김진영, 윤세의 (2004)상류유역 개발에 따른 하류부 침수피해 영향 분석 -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4권 제2호, pp. 1-12.
  14. 한국농어촌공사(2009) 영산강하구둑 구조개선사업 관련 수리수문 분석.
  15. Barkau, R.L. (1993) One-Dimensional Unsteady Flow Through a Full Network of Open Channels - User 's Manual. Report CPD-66, USACE HEC 609 Second Street, Davis, 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