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Chukwooki and Modern data Using Annual Maximum Rainfall Event Series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이용한 측우기자료 및 현대자료의 비교

  • 박민규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 유철상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 김현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Received : 2008.11.27
  • Accepted : 2010.01.26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In this study, Chukwooki and modern data were compared using annual maximum rainfall event series. Annual maximum series for specified rainfall duration in modern frequency analysis can not be constructed from Chukwooki data, so the concept of independent rainfall event is introduced to compare Chukwooki and modern data. Annual maximum rainfall event is determined by applying the bivariate exponential distribution and the parameters estimated annually are selected. The results using the annual parameter show that the hydrological meaning of the parameters is related to the variation of annual total rainfall amounts. For the whole independent rainfall events, the total rainfall and the rainfall intensity of Chukwooki data are greater than those of modern data, and rainfall duration of the two periods is similar. However modern annual maximum rainfall events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t rainfall duration is much longer, rainfall intensity is similar and the total rainfall is greater than those of Chukwooki period. The increasing trend of rainfall duration and total rainfall of the modern annual rainfall events may be regarded as the one of components of the long-term cycle.

본 연구에서는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이용하여 측우기자료와 현대자료를 비교하였다. 측우기 시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현대 빈도해석에서 필요한 특정지속기간의 연최대치 계열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두 관측기간의 비교를 위해 독립호우사상 개념을 이용해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작성하였다. 연최대호우사상은 이변량지수분포를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모수 추정을 위해 연도별 모수를 이용하는 경우가 보다 적절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는 연도별 모수를 이용할 경우의 결과가 모수의 경년별 변동성이 연강수량의 변동성과 비교해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전체적인 독립호우사상을 비교한다면 현대기록이든 측우기기록이든 강우지속기간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현대보다는 측우기 관측기록의 경우가 총강우량과 강우강도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최대 호우사상의 비교에서는 측우기에 비해 현대의 경우가 강우지속기간이 현격하게 길어지면서 강우강도는 큰 차이가 없게 나타나 총강우량에서 상당한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연최대호우사상의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현대관측기간 동안에는 강우지속기간과 총강우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측우기 관측기록과 비교시에는 일정한 주기성의 한 부분으로 보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재호, 박무종, 김중훈(2004) 비점오염원 산정을 위한 강우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04 학술발표회, 한국수자원학회, pp. 666- 670.
  2. 김 승, 신현민(1993) 서울지점 강수의 장기간 변동성향에 대한 통계학적 검증, 제34회 수공학연구발표회논문집, 한국수문학회, pp. 264-272.
  3. 김대하, 유철상, 김현준(2007) 조선왕조실록 및 측우기 기록에 나타난 주요 호우사상의 평가: 2. 정량적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7호, pp. 545-554.
  4. 유철상(2000) 서울지점 연강수량 자료에 나타난 장기 건조기의 재현 가능성에 관한 고찰,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5호, pp. 519-526.
  5. 유철상, 김보윤(2000) 서울지점 연강수량 자료에 나타난 다우해 및 과우해의 재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3호, pp. 307-314.
  6. 유철상, 김보윤, 노재경(2000) 서울지점 연강수량 자료에 나타난 다우해 및 과우해의 재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3호, pp. 307-314.
  7. 유철상, 류소라, 김정환(2002) 서울지점 월강수량자료에 나타난 가뭄의 장기 재현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3B호, pp. 281-289.
  8. 유철상, 류소라(2003) 서울지점 가뭄의 재현 및 지속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4호, pp. 561-573.
  9. 유철상, 김대하, 김현준(2007) 조선왕조실록 및 측우기 기록에 나타난 주요 호우사상의 평가: 1. 정성적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7호, pp. 533-543.
  10. 전종갑, 문병권(1997) 측우기 강우량 자료의 복원과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33권, 제4호, pp. 691-707.
  11. 정현숙(1999) 서울지역 강수량의 시계열에 나타난 시간 변동성의 해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2. 정현숙, 임규호(1994) 서울지역 월강수량과 강수일의 관계,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28권, 제2호, pp. 125-132.
  13. 정현숙, 임규호, 오재호(1999) 측우기 관측강우량 자료에 근거한 한반도 건조기에 관한 연구, 1999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47-152.
  14. Adams. B.J. and Papa, F. (2000) Urban Stormwater Management Planning with Analytical Probabilistic Models. John Wiley & Sons, INC., pp. 55-68.
  15. Akan, A.O. and Houghtalen, R.J. (2003) Urban Hydrology, Hydraulics, and Stormwater Quality - Engineering Applications and Computer Modeling. John Wiley & Sons, INC., pp. 246-249.
  16. Arnold, B.C. and Strauss, D. (1988) Bivariate distributions with exponential conditional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83, pp. 522-527. https://doi.org/10.2307/2288872
  17. Cordova, J.R. and Rodriguez-Iturbe, I. (1985) On probabilistic structure of storm surface runoff.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1, No. 5, pp. 755-763. https://doi.org/10.1029/WR021i005p00755
  18. Freund, J. (1961) A bivariate extention of the exponential distribu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56, pp. 971-977. https://doi.org/10.2307/2282007
  19. Goel, N.K., Kurothe, R.S., Mathur, B.S., and Vogel, R.M. (2000) A derived flood frequency distribution for correlated rainfall intensity and dur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28, pp. 56- 67.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145-1
  20. Gumbel, E.J. (1960) Bivariate exponential distribu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55, pp. 698-707. https://doi.org/10.2307/2281591
  21. Hayakawa, Y. (1994) The construction of new bivariate exponential distributions from a Bayesian perspective.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89, pp. 1044-1049. https://doi.org/10.2307/2290932
  22. Jung, H.S., Lim, G.H., and Oh, J.H. (2001) Interpretation of the transient variations in the time series of precipitation amounts in Seoul, Korea: Part 1. diurnal variation. Journal of Climate, Vol. 14, No. 13, pp. 2989-3004. https://doi.org/10.1175/1520-0442(2001)014<2989:IOTTVI>2.0.CO;2
  23. Kao, S.C. and Govindaraju, R.S. (2007) A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of extreme rainfall with implication for desig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2, D13119, Doi:10.1029/2007JD008522.
  24. Kotz, S., Balakrishnan, N., and Johnson, N.L. (2000) Continuous Multivariate Distributions Volume 1: Model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INC., pp. 350-362.
  25. Kurothe, R.S., Goel, N.K., and Mathur, B.S. (1997) Derived flood frequency distribution of negatively correlated rainfall intensity and dur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3, No. 9, pp. 2103-2107. https://doi.org/10.1029/97WR00812
  26. Lim, G.H. and Jung, H.S. (1992)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annual precipitations at Seoul 1771-1990. Journal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28, pp. 487-505.
  27. Michele, C.D., Salvadori, G., Canossi, M., Petaccia, A., and Rosso, R. (2005) Bivariate Statistical Approach to Check Adequacy of Dam Spillway.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10, No. 1, pp. 50-57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2005)10:1(50)
  28. Pilgrim, D.H. (1987) Australian Rainfall and Runoff - A Guide to Flood Estimation Volume 1. revised edition, The Institute of Engineers, Australia, pp. 160-161.
  29. Restrepo-Posada, P.J. and Eagleson, P.S. (1982) Identification of independent rainstorms. Journal of Hydrology, Vol. 55, pp. 303-319. https://doi.org/10.1016/0022-1694(82)90136-6
  30. Yoo, C. (2006) Long-term analysis of wet and dry years in Seoul, Korea. Journal of Hydrology, ASCE, Vol. 318, No. 1-4, pp. 24-36. https://doi.org/10.1016/j.jhydrol.2005.06.002
  31. Yue, S. and Rasmussen, P. (2002)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discussion of some useful concepts in hydrological application. Hydrological Processes, Vol. 16, pp. 2881-2898. https://doi.org/10.1002/hyp.1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