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ffect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Pandemic Influenza A (H1N1)

신종인플루엔자 유행시 대학생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Received : 2010.07.19
  • Accepted : 2010.11.04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pandemic Influenza A (H1N1).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83 students in H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 September, 200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18.0. Result: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regarding knowledge of Influenza A (H1N1) was 34.6%. Risk perception and compliance of health behavior were very poor, $17.92{\pm}6.26/30$ and $2.00{\pm}1.68/9$, respective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knowledge, risk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of Influenza A (H1N1) and intention of getting an influenza vaccination for this year explained 16.3% of variance in health behavior. Conclusion: An educational program focusing on strategy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of Influenza A (H1N1) w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health behavior against it.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초, 최경옥 (2002). 손씻기 교육이 간호사의 손씻기 행위와 중환자의 호흡기로의 MRSA 분리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14(1), 26-33.
  2. 김명희 (1999). 대학생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3. 김미정 (1999). 중고등학생의 건강위험지각이 건강위험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2(1), 45-56.
  4. 김보경, 정문숙, 한창현 (2002).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와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9(1), 59-85.
  5. 김은엽 (2005).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보건대학원생과 경영대학원생의 지식, 태도 및 행동 비교.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6. 김종규, 김중순 (2009). 여자 대학생의 손씻기 의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4(2), 126-135.
  7. 김종규, 박정영, 김중순 (2009). 남자 대학생의 손씻기 의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35(1), 36-44.
  8. 김주현, 김성재, 박연환 (2001). 여대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13(3), 431-440.
  9. 박계성 (2006). 서울시 보건소 보건 간호직 공무원들의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지식, 태도, 실무능력.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10. 박정숙, 박청자, 권영숙 (1996). 건강교육이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6(2), 359-371.
  11. 서연옥 (2001). 남녀 대학생의 건강행위와의 관련요인 비교연구. 학생생활연구, 8, 63-82.
  12. 양남영, 최정실 (2009). 지역거점병원 간호사의 신종인플루엔자 관련 지식, 감염관리 인지도 및 이행도, 성인간호학회지, 21(6), 593-602.
  13. 윤은자 (1997).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이행. 성인간호학회지, 9(2), 262-271.
  14. 윤현숙, 조영채 (2005). 일부 대학생들의 생활습관병에 대한예방태도와 건강행동.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2(4), 229-244.
  15. 장윤정, 이무식, 나백주, 김건엽, 배석환, 김철웅, 김은영(2007). 일부 중학생의 손씻기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4(4), 1-22.
  16. 차경숙, 유소연, 김경미, 위성헌, 신완식 (2005) 대학병원 종사자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에 관한 인식과 태도.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지, 10(2), 87-95.
  17. 최은경, 전은경 (2001). 중환자실 간호사의 손씻기 교육효과. 임상간호연구, 7(1), 171-191.
  18. 최정실, 양남영 (2010). 일부 대학생이 지각한 신종인플루엔자 A[H1N1]의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 실천도와의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22(3), 250-259.
  19. 최정실, 최주순, 박승미 (2009). 일개 도시 지역거점병원 간호사의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도와의 관계. 임상간호연구, 15(3), 85-94.
  20. Becker, M. H., Drachman, R. H., & Kirscht, J. D. (1974). A new approach to explaining sick-role behavior in lowincome population. Am J Public Health, 64, 205-216. https://doi.org/10.2105/AJPH.64.3.205
  21.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February). Influenza A(H1N1). Retrieved February 23, 2010, from http://www.cdc.go.kr
  23. Lee, R. L., & Loke, A. J. (2005).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psychosoci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Hong-Kong. Public Health Nurs, 22(3), 209-220. https://doi.org/10.1111/j.0737-1209.2005.220304.x
  24. Rubin, G. J., Amlot, R., Page, L., & Wessely, S. (2009). Public perceptions, anxiety, and behaviour change in relation to the swine flu outbreak: Cross sectional telephone survey. Br Med J, 339, 1-8.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February). Pandemic(H1N1). Retrieved February 23, 2010, from http://www.who.int/en

Cited by

  1. Knowledge of hepatitis A,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young and middle-age adults vol.28, pp.2, 2014, https://doi.org/10.5932/JKPHN.2014.28.2.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