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Experimental Method of Smoldering Ground Fire in Forest Fire

뒷불 특성에 관한 실험방법 연구

  • 김동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
  • 김장환 (호서대학교 안전보건학과) ;
  • 김응식 (호서대학교 안전보건학과)
  • Received : 2009.09.30
  • Accepted : 2010.12.10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A smoldering ground fire can be a probable cause of reignition of surface fire when transmitted from Fermentation layer to Humus layer with temperature higher than that of ignitio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experimental methodology on the potential risk of a smoldering ground fire, which is similar to the real surface fuel bed, and its combustion characteristics. The fuel model design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3 layers such as Litter layer, Fermentation layer and Humus layer and 8 Thermocouples are set through 3 layer at each boundary and in between to detect the temperature change and duration of smoldering and propagation velocity.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ignition conditions in the boundary between L layer and F layer determined transmission and non-transmisstion to F-H layer. In addition, range of critical humidity at which a smoldering ground fire was transmitted in a material layer was 33~44% and when temperature exceeds $350^{\circ}C$, likelihood of transmission of a smoldering ground fire was high. In the research, the experimental model for multi-layer smoldering ground fire is suggested and information about propagation of smoldering fire, possibility of reignition according to moisture content, propagation velocity and temperature change are obtained, Also, the built-up methods were established to help analyze basic characteristics of smoldering ground fire.

산불 형태 중에서 뒷불은 지표층 내부의 발화점 이상 온도가 분해층에서 부식층으로 전이되어 뒷불이 발생 할 수 있는 형태로 잠재적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뒷불의 현장과 유사한 지표층 구조로 설정하여 실험을 통해 뒷불의 잠재적 위험성과 연소특성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시료는 침엽수종 소나무 낙엽층과 활엽수종 굴참나무 낙엽층으로, 실제 산림내의 지표층 구조인 낙엽층, 분해층, 부식층로 구분하여 재현하였다. 8개의 열전대(K-type)를 층별 경계면과 그 사이에 배치하여 전이온도, 지속시간, 전파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F-H층으로 전이되는 경우와 전이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는 L층과 F층 경계면의 발화조건이며, 유기물층의 뒷불 전이 임계습도는 35~44% 사이에 존재하며, 온도는 $350^{\circ}C$ 이상시 뒷불 전이가 일어날 확률이 아주 높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층구조의 뒷불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훈소의 층간 전이현상, 함수율에 따른 발화여부, 전파속도 및 시간에 따른 경계면의 온도변화 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뒷불의 연소특성을 규명할 수 있는 실험방법을 확립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장환, 김응식, 이명보, 김동현, 박형주, "지표화 연료의 열량분석에 관한 실험방법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2, No.3, pp.258-264(2008).
  2. 박형주, 김응식, 김장환, 김동현, "복사열을 이용한 소나무와 굴참나무 낙엽의 연소특성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1, No.3, pp.44-46(2007).
  3. 김응식, 김장환, 김동현, 박형주, 김정훈, "밀도에 따른 지표 연료의 연소실험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4, No.1, pp.1-7(2010).
  4. 김동현, 구교상, 이영근, 이명보, "화왕산 억새연소실험을 통한 초지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발표회, pp.238-243(2006).
  5. 채희문, 이찬용, "모의실험에 의한 풍속변화에 따른 산불 확산속도와 강도 분석", 한국농림기상학회, Vol.5, No.4, pp.213-217(2003).
  6. 채희문, 이찬용, "산불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임지내 산림연료와 경사도에 관한 연구",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5, No.3, pp.179-184(2003).
  7. 김동현, 고재선, 최세환, 김광일, "고성산불지역에서의 화재조사와 주요수목의 열량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13, No.1, pp.31-36 (1999).
  8. 김응식, 이시영, 김홍, 송종훈, 김수영, "유동장 해석을 통한 산불확산예측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Vol.87, No.4, pp.528-534(1998).
  9. 김응식, "산불연소 확산 예측모델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 개발", 산림청(1997).
  10. 이시영, 염육철, 정연하, "산불의 연소진행속도 및 연소물의 내화성 연구", 한국임학회, 하계총회 학술발표회, pp.85-86(1991).
  11. W.T. Simpson, "Drying and Control of Moisture Content and Dimensional Changes", Wood Handbook-Wood as an Engineering Material, Forest Product Labortory U.S.D.A. Forest Service Madison, Wisconsin, Chapter 12, pp.1-21(1987)
  12. James G. Quintiere, "Principles of Fire Behavior", Delmar Publishers, pp150-168(2004).
  13. J.L. Dupuym, J. Marechal, and D. Morvan, "Fires from a Cylindrical Forest Fuel Burner: Combustion Dynamics and Flame Properities", pp.65-76(2003).
  14. B.J. McCaffrey, "Purely Buoyant Diffusion Flames: Some Experimental Results",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Report No. NBSIR79-1910(1979).
  15. G. Heskestad, "Fire Safety", J.5 pp.109(1983). https://doi.org/10.1016/0379-7112(83)900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