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using Real-Time Hydrologic Observed Data from the Jungnang Stream Basin

실시간 수문관측자료에 의한 돌발 홍수예경보 시스템 -중랑천 유역을 중심으로-

  • Lee, Jong-Tae (School of Civi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 Seo, Kyung-A (School of Civi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 Hur, Sung-Chul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We suggest a simple and practical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which can predict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a river in a small to medium-size watershed where flash flooding occurs in a short time. We first choose the flood defense target points, through evaluation of the flood risk of dike overflow and lowland inundation. Using data on rainfall, and on the water levels at the observed and prediction points, we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 and derive a regression formula from which we can predict the flood level at the target points. We calculate flood water levels through a calibrated flood simulation model for various rainfall scenarios, to overcome the shortage of real water stage data, and these results as basic population data are used to derive a regression formula. The values calculated from the regression formula are modified by the weather condition factor, and the system can finally predict the flood stages at the target points for every leading time. We als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rediction procedure for real flood events of the Jungnang Stream basin, and find the forecasting values to have close agreement with the surveyed data. We therefore expect that this suggested warning scheme could contribute usefully to the setting up of a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for a small to medium-size river basin.

본 연구에서는 도달시간이 짧은 중소하천유역에서 돌발홍수 발생시 강우에 따른 하천의 수위변화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예측하는 홍수예경보 모형을 제시하고 그 적정성을 중랑천 유역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제방안전도 평가와 침수위험구역 조사를 통해 홍수방어목표지점으로 선정하였다. 강우량 및 관측지점수위와 홍수방어 목표지점 수위와의 상관성 분석을 하였으며, 이로부터 홍수방어목표(예보지점)지점의 수위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회귀모형을 산정하였다. 이 때 기초자료로서의 실제강우 조건에 따른 실측 수위자료는 그 범위와 조건의 수가 너무 작음으로, 이를 대신하여 다양한 강우시나리오별 유출분석을 통하여 홍수위들을 산정하고 이를 상관성 분석의 모집단 자료로 사용하였다. 산정된 회귀모형으로부터 적정 선행예보시간에 대한 수위를 산정하고 기상보정계수를 고려하여 예측수위를 보정 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예측수위가 주위보수위(Flood watching level; 계획홍수량의 50 %의 수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예경보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실제 호우사항에 대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05). 전국 PMF도 재작성 보고서
  2. 배덕효, 김형섭, 이종태, 김이현(2005). 중랑천 시험유역 수문자료집 2005,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사업단, FFC04-05.
  3. 배덕효, 김형섭, 이종태, 김이현(2006). 중랑천 시험유역 수문자료집 2006,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사업단, FFC05-05.
  4. 배덕효, 김형섭, 이종태, 김이현(2007). 중랑천 시험유역 수문자료집 2007,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사업단, FFC06-03.
  5. 서울특별시(2007) 대학과 연계한 하천관리에 대한 연구용역(2단계 2차), 연구보고서
  6. 서울특별시(2008) 대학과 연계한 하천관리에 대한 연구용역(2단계 3차), 연구보고서
  7. 신현석, 강두기, 김홍태, 송영현(2007) "실 수문관측을 통한 해안도시홍수 경보발령기준안 검정."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336-340.
  8. 신현석, 박용운, 김홍태(2005) "SWMM과 HEC-RAS 모형을 이용한 해안 도시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816-820.
  9. 이범희 (2006) "도시 홍수 예경보 시스템의 특징과 구성방향에 관하여."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9권, 제1호, pp. 50-54.
  10. US Army Corps of Engineers, HEC (2002). HEC-RAS River Analysis System User's Manual.
  11. Peter B. Andrysiak Jr. and David R. Maidment (2000). Visual Floodplain Modeling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Center for Research in Water Resources, InterSys, RiverTools Visual 2.0 Manual.

Cited by

  1.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Flow Nomograph for the Real-time Flood Forecasting in Cheonggye Stream vol.45, pp.11, 2012, https://doi.org/10.3741/JKWRA.2012.45.11.1107
  2. Development of Flood Nomograph for Inundation Forecasting in Urban Districts vol.13, pp.3, 2013, https://doi.org/10.9798/KOSHAM.2013.13.3.037
  3. A Study on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Flash Flood Index vol.15, pp.6, 2015, https://doi.org/10.9798/KOSHAM.2015.15.6.189
  4.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for Abrupt Natural Disaster using rainfall prediction data and Ubiquitous Sensor Network(USN) vol.21, pp.3, 2015, https://doi.org/10.7851/ksrp.2015.21.3.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