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and Analysis of Women Faces in 20s' and Women Faces in 60s Through Women faces's Measured value

여성 얼굴의 측정치를 통한 20대와 60대의 비교 분석

  • Kim, Ae-Ky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Kyung-Hee (Research Institute of Ecology for the Elderly,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애경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
  • 이경희 (부산대학교 노인 생활 환경 연구소)
  • Received : 2010.07.16
  • Accepted : 2010.09.05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thesis analyzes the proportion and disproportion of faces through visual analysis and measured value for women faces in 20s and 60s.. The proportion of bizygion breadth and face height is 1 : 1.34 in 20s and 1 : 1.39 in 60s which shows face height is ling in 60s, and 0.85 : 1 : 1 for upper face length, middle face length and lower face length in 20s which shows the proportion of upper face length and lower face length are long while they are 0.84 : 1 : 1.06 in 60s which shows lower face length is long and upper face length is short. If the proportion of the face is more than $2^{\circ}$ which is severe imbalance, angle of eyes is 8% in 20s, 13% in 60s, and angle of nasal is 11% in 20s, 29% in 60s, angle of mouse is 11% in 20s and 40% in 60s, showing imbalance of 60s is severe. As above, It shows that face height is longer in 60s than in 20s and lower face is long among others because face's change due to aging. Also, We able to know that face's imbalance is severer in 60s than in 20s.

이 논문에서는 20대와 60대를 얼굴의 측정치와 시각적 분석을 통해 얼굴의 비율과 불균형을 분석하였다. 얼굴폭과 얼굴길이의 비율이 20대는 1 : 1.34, 60대는 1 : 1.39로 나타나 60대 여성의 얼굴길이가 길며, 상안 부길이, 중안부길이, 하안부길이의 비율에서 20대는 0.85 : 1 : 1로 중안부길이와 하안부의 길이가 같은 반면, 60대는 0.84 : 1 : 1.06으로 하안부길이가 길고 상안부길이가 짧다. 얼굴의 균형감은 $2^{\circ}$이상의 심한 불균형인 경우 눈초리각도가 20대에서 8%, 60대에서 13%, 코각도가 20대에서 11%, 60대에서 29%, 구각각도에서 20대가11%, 60대에서 40%로 나타나, 60대의 불균형이 심각하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20대에 비해 60대의 얼굴이 전체적으로 길며, 그중에서도 하안부가 길게 나타난 것은 노화로 인해 얼굴이 변화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얼굴의 불균형이 20대에 비해 60대에서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애경, 이경희 (2005). 얼굴의 조형적 특성에 따른 유형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6), 650-656.
  2. 문남원 (2000). 시각적 판단에 의한 얼굴유형 분류와 계측 특성 연구. 복식문화연구, 8(1), 133-144.
  3. 문영보 (1991). 의복 및 얼굴변인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박수진, 한재현, 정찬섭 (2002). 얼굴의 물리적 특징 분석 및 얼굴 관련 감성 어휘 분석. 한국 인지과학회지, 12(3), 1-10.
  5. 박종섭, 함기선, 윤정길, 조용진 (1990). 한국인의 안 선호 경향에 관한 조사. 대한성형외과학회지, 17(2), 196-200.
  6. 박종섭, 함기선, 조용진 (1989). 안면인상에 대한 계측학적 연구. 대한성형외과학회지, 16(6), 920-925.
  7. 송미영 (2006). 얼굴의 형태적 특성과 메이크업에 따른 얼굴 이미지 연구. 경성대 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위성신, 함기선, 이재웅, 조용진 (1981). 한국미인의 생체계측학적 연구. 대한성형외과학회지, 8(2), 283-289.
  9. 윤관현 (2003). 한국인 얼굴의 해부학적 분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경성, 한덕웅 (2003). 젊은 남성들은 어떤 얼굴모습의 여성에게 매력을 느끼는가?.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7(2), 73-83.
  11. 이경식 (1962). 한국인 여자청년의 생체계측학적 연구. 최신의학, 5(3), 87-94.
  12. 이동진, 김우경, 김수신, 백세민, 정전은 (1989). 한국성인 여성의 안면부에 대한사진계측학적 연구. 대한성형외과학회지, 16(3), 423-432.
  13. 이화순 (1992). 한국여성의 메이크업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조경덕 (2004). 얼굴의 물리적 특성과 성격인상, 한국감성과학회지, 7(2), 195-201.
  15. 조대환, 조용진, 함기선 (1989). 한국청년들의 미추관에 대한 생체계측학적 분석. 대한성형외과학회지, 16(6), 926-931.
  16. 한재현, 정찬섭 (1998). 얼굴표정에 의한 내적상태 추정. 한국감성과학회지, 1(1), 41-58.
  17. Ekman, P. & Friesen, W. (1969) Nonverval leakage clues to deception. Psychiatry, 32, 88-106.
  18. Fink, B., Grammar, K., & Thornhill, R. (2001) Human facial attractiveness in relation to skin texture and color. Journal of Comparative Psychology, 115(1), 9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