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Observation Knowledge Generation Using the Scientific Observation Strategy in 6th Grade Students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과학수업에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관찰지식 생성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09.03.31
  • Accepted : 2009.12.18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bservation knowledge generation based on a scientific observation strategy in 6th grade students. In this study, we selected the topics related to the observation in elementary science curricula and developed worksheets and guidelines such that subjects accomplished the systematic observation based on the method and strategy of the observation knowledge generation. Seventy-five 6thgraders, 38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37 for the control group, were chosen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the science lessons with 14 sessions based on the generation of various scientific observation types, whereas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traditional lesson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 candle-burning task was set for subjects to test the effect of the lessons of scientific observation knowledge gene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ore effective in the generation of various observations than subjects in the traditional one. The observation abil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statistically to have a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richness and the diversity. In addition, they showed higher scores in the scientific observation ability task than the control one. Therefore, the systematic lesson strategy in scientific observation is presumably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ability of scientific observation knowledge generation.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관찰지식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관찰과 관련된 수업주제를 선정하고, 관찰의 방법과 대상에 따라 체계적인 관찰이 이루어지도록 학습지와 스토리보드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8명, 통제집단 37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14차시에 걸쳐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실험집단과 동일한 주제와 차시에 걸쳐 전통적 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 수업처치 전후에 촛불 관찰 과제로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해 다양한 관찰 지식을 생성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생성된 관찰 사실들에 대한 관찰 지식의 수와 다양도 측면에서 학생들의 관찰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 수업 처치 후 실험집단의 관찰지식의 수와 다양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보였다. 또한 절대 관찰력 지수에서도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관찰력 지수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과학적 관찰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 전략은 학생들의 과학적 관찰 지식 생성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주, 이준기, 신동훈, 정진수 (2007). 기공과 새우 과제에서 초.중등 교사들이 생성한 관찰의 분석 및 관찰력 지수의 개발. 중등교육연구, 55(3), 83-112.
  2.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박윤복 (2005). 생명현상에 대한 초.중등 과학교사의 관찰에서 나타난 과학적 관찰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431-439.
  3. 권용주, 정진수, 이준기, 이일선 (2007). 과학적탐구사고력 향상을 위한 과학지식의 생성과 평가. 서울: 메이드.
  4. 권용주, 최상주, 박윤복, 정진수 (2003). 대학생들의 귀납적 탐구에서 나타난 과학적 사고의 유형과 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86-298.
  5. 김정길, 김해경 (1992). 국민학교 학생들의 관찰능력에 관한 연구(1)-반성화강암과 역암의 관찰에 대하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0(2), 175-182.
  6. 박명희, 박윤복, 권용주 (2005). 초등학생들의 어항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관찰의 유형과 그 변화.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4), 345-350.
  7. 박윤자, 한광래, 고한중 (2001). 초등학교 학생들의 동백잎에 관한 관찰 능력. 과학교육연구 논문집, 23, 23-38.
  8. 박종원, 김익균 (1999). 과학적 관찰의 의미와 탐구과정에서 학생들의 관찰 행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487-500.
  9. 송판섭, 한광래 (1995). 촛불실험을 이용한 국민학교(3∼6학년) 아동들의 관찰능력 분석. 초등과학교육학회지, 14(1), 73-84.
  10. 신동훈, 신정주, 권용주 (2006). 생명현상에 관한 초등학교 관찰 수업의 과정과 관찰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5(4), 339-351.
  11. 하소현, 곽대오, 성민웅 (2001). 초.중.고등학교 탐구 기능 요소에 대한 6차와 7차 교육과정의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02-113.
  12. AAAS(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1990). Science A Process Approach II. Huson, N.H: Delta Edu. Inc.
  13. Chadwick, B. & Barlow, S. (1994). Science in prespective: Book 1. Marrickvill, Australia: Science Press.
  14. Hanson, N. R. (1961). Patterns of discovery: An inquiry into the conceptual foundations of sci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Haslamm, F. & Gunstone, R. (1996). Observation in science classes: Students' beliefs about its nature and purpos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69th, St. Louis, MO, April),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ED 396 909.
  16. Heimler, C. H. (1986). Principles of science: book one. Columbus, OH : Charles E. Merril Publishing Company.
  17. Hodson, D. (1986). The nature of scientific observation. School Science Review. 68, 28-35.
  18. Klahr, D., Fay, A. L., & Dunbar, K. (1993).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experimental heuristics. Cognitive Psychology, 25, 111-146. https://doi.org/10.1006/cogp.1993.1003
  19.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 Wadsworth Academic Press, Inc.
  20. Martin, M. (1972). Concepts of science education: A philosophical analysis. London: Scott, Foresman and Company.
  21. Morgan, C. T. & King, R. A. (1975) Introduction to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22.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3. Norris, S. P. (1985). The philosophical basis of observation i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2(9), 817-833. https://doi.org/10.1002/tea.3660220905
  24. Ostlund, K. L. (1992). Science process skills: Assessing hands-on student performance. Menlo Park, CA :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25. Simpson, R. D., & Anderson, N. D. (1981). Science, students, and schools ; A guide for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Cited by

  1. 초등과학 생명현상 탐구를 위한 과학적 관찰 디지털 교재 개발 및 적용 vol.45, pp.2, 2017,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2.259
  2. The Effect of Question-generating Reinforcement on Elementary Students’ Observational Knowledge in a HAVRUTA Teaching Class vol.46, pp.4, 2018, https://doi.org/10.15717/bioedu.2018.46.4.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