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Formation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Received : 2009.09.08
  • Accepted : 2009.12.05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formation by using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 (DASTT-C). One-hundred eighty-two sophomores and 183 seniors were selected from the departments of science and non-science education in three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DASTT-C was administered to the sophomores at the beginning of the Spring Semester, and to the seniors at the beginning of the Fall Semester.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of the seniors were more student-centered than those of the sophomores in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ASTT-C scores of the sophomores and the seniors in the department of non-science education. Many sophomores answered that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ir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were teaching-learning experienc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many seniors cited the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in science education courses as well as direct or indirect teaching-learning experiences in teaching practices regardless of the department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DASTT-C(Drawing-A-Science-Teacher-Test Checklist)를 이용하여 국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조사했다. 3개 교육대학을 선정한 후, 과학 심화전공과 비과학 심화전공의 2학년 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1학기 초에, 4학년 학생 183명들을 대상으로 2학기 초에 DASST-C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과학 심화전공의 경우 2학년 보다 4학년 학생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가 더 학생 중심에 가까웠다. 그러나 비과학 심화전공의 경우에는 2학년과 4학년 학생들의 DASTT-C 점수 차이가 전체 및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심화전공과 관계없이 2학년 학생들은 초 중등 교육과정에서의 교수 학습 경험을 제시했으나, 4학년 학생들의 경우에는 과학교육 관련 과목의 내용이나 교수 방식, 교육실습에서의 실제 수업이나 참관 경험 등을 제시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훈식, 김명순 (2008).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64-470.
  2. 강훈식, 신석진, 차정호, 한재영, 노태희 (2007). 현행 예비 화학교사 교육과정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51(2), 193-200.
  3.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과학.
  4. 김성수 (2006).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교육의 비교 연구: 교육 과정 및 교과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정민, 여성희, 심규철. (2007). 초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 교사의 과학 및 과학 교육에 대한 신념. 초등과학교육, 26(5), 489-498.
  6. 노석구 (1997).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교육과정내용 비교 및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과학교육논총, 9, 39-58.
  7. 방선욱 (2002). 구성주의적 교육관의 이론적 함의와 적용 가능성 고찰. 교육과학연구, 15(1), 43-64.
  8. 이미경, 김주훈 (2004). 우리나라, 미국, 영국, 일본, 싱가포르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082-1093.
  9. 조영남 (2003). 초등 교사를 위한 구성주의 교수학습 환경 개발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6(1), 179-205.
  10. 조희형, 최경희 (2002).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20-836.
  11. 주은정, 이수영. 김재근. 이지영 (2009). 초등학교3학년의 과학자와 과학 학습에 대한 이미지 분석. 초등과학교육, 28(1), 35-45.
  12. Baviskar, S. N., Hartle, R. T., & Whitney, T. (2009). Essential criteria to characterize constructivist teaching: Derived from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pplied to five constructivist-teaching method articl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4), 541-550. https://doi.org/10.1080/09500690701731121
  13. Finson, K. D. (2001). Investigat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self efficacy relative to self-image as a science teacher.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3(1), 31-42. https://doi.org/10.1007/BF03176931
  14. Finson, K. D., Thomas, J., & Pedersen, J. (2006). Comparing science teaching styles to students'perceptions of scientist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6(1), 8-15.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6.tb18066.x
  15. Louca, P., Rigas, P., & Valanides, N. (2002). Primary student teachers'conceptions of science teaching. In A. Papastylianou (Ed.)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ience Education (pp. 242-248). Nicosia, Cyprus: ARLO Ltd.
  16. Loucks-Horsley, S., Hewson, P. W., Love, N., & Stiles, K. E. (1998). Desig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science and mathematics. Thousand Oaks, CA:Corwin Press.
  17. Philippou, G., & Christou, C. (2002). A stud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primary teachers. In G. C. Leder, E. Pehkonen, & G. Torner (Eds.), Belief: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s education? (pp. 211-231).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8. Shireen-Desouza, J. M., & Czerniak, C. M. (2003). Study of science teachers'attitudes toward and beliefs about collaborative reflective practic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4(2), 75-96. https://doi.org/10.1023/A:1023653911246
  19. Skott, J. (2009). Contextualising the notion of 'belief enactment'.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2(1), 27-46. https://doi.org/10.1007/s10857-008-9093-9
  20. Thomas, J. A., & Pedersen, J. E. (2003). Reforming element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What about extant teaching belief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3(7), 319-330.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3.tb18209.x
  21. Thomas, J. A., Pedersen, J. E., & Finson, K. (2001). Validating the Draw-A-Science- Teacher-Test Checklist (DASTT-C): Exploring mental models and teacher belief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2(3), 295-310. https://doi.org/10.1023/A:1014216328867
  22. Weber, S., & Mitchell, C. (1996). Drawing ourselves into teaching: Studying the images that shape and distort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ing Education, 12(3), 303-313. https://doi.org/10.1016/0742-051X(95)00040-Q
  23. Wilson, S., & Cooney, T. (2002). Mathematics teacher change and development, In G. C. Leder, E. Pehkonen, & G. Torner (Eds.), Beliefs: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s education? (pp. 127-147).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Cited by

  1. 교육실습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vol.30, pp.2,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2.261
  2.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대한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ol.30, pp.4,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4.519
  3. Analysis of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eaching Perspectives: Comparison between the Results of 2007 and 2010 vol.52, pp.3, 2013, https://doi.org/10.15812/ter.52.3.201312.464
  4. 예비 화학 교사의 논의와 글쓰기가 강조된 탐구 중심 과학 수업 계획과 수행: 어려움과 극복과정을 중심으로 vol.60, pp.5, 2016, https://doi.org/10.5012/jkcs.2016.60.5.342
  5. 미래 과학교육에 대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인식 vol.36, pp.1, 2017, https://doi.org/10.15267/keses.2017.36.1.085
  6.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교수목표 지향성과 과학 수업 이미지 사이의 관계 vol.37, pp.4, 2010, https://doi.org/10.15267/keses.2018.37.4.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