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stigation on the Difficulties dur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Open-inquiry Activities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유 탐구 활동 중에 겪은 어려움 조사

  • Received : 2010.01.08
  • Accepted : 2010.04.04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in engaging in open-inquiry activitie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22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open-inquiry products. The 22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enrolled in college openinquiry course and performed open-inquiry activities for fifteen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re-service teachers struggled with several difficulties; selection of the subject,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content knowledge, background knowledge, environment matters and self confidence about open inquiry. However, they thought open-inquiry is interesting in spite of much difficulties, and is necessary for science education.

이 연구에서는 15주 동안 자유탐구를 경험한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유탐구 중에 어떤 어려움을 겪었으며, 경험한 이후에 자유탐구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자유탐구를 경험하면서 주제 선정, 제반 여건, 외부 변인에 의한 실험 실패, 탐구 과정의 이해부족, 배경지식의 부족과 관련하여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제선정과 탐구과정의 이해부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나 현장 적용을 앞두고 있는 자유탐구와 관련된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이 연구에서는 자유탐구에 대해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들어보았다. 예비교사들 대부분은 자유 탐구 경험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자유탐구 후 과학적 호기심이 증가되었고, 탐구를 적극적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등 과학적 태도가 변화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예비교사들에게 자유탐구가 과학학습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하게 하였으며, 자유탐구를 경험한 학생들은 과학교과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뀔 것이며, 과학에 대해 흥미를 갖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2010년부터 현장에 적용되게 될 자유탐구에 대한 교사교육의 필요성과 자유탐구 지도에 대한 방향설정에 도움을 주리라 생각된다. 학생들이 자유탐구 중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그리고 자유탐구의 안정된 정착을 위해서 자유탐구에 대한 올바른 이해, 탐구과정에 대한 지도와 같은 노력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8). 과학 3-1 교사용지도서 실험본. 금성출판사:서울.
  2. 강은형 (2001). 중학생 자유주제 과학탐구의 문제 해결 유형과 탐구수준 평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곽호원 (1997). 능동적인 학습에 의한 과학탐구 활동.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6(2), 317-323.
  4. 김재우, 오원근 (1998). 중학생의 교과서 실험 수행에서 나타난 문제점: 실험 목표와 관련 변인 인식 및 인식한 목표와 도출된 결론의 관련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35-42.
  5. 김재우, 오원근 (2002). 토론 및 자기 반성 과정을 통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탐구 문제 수정 과정에 대한 사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267-275.
  6.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 (1998).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유 탐구보고서에 나타난 변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297-301.
  7. 박종호, 김재영, 배진호 (2001).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0(2), 271-280.
  8. 양일호, 김은애, 오창호 (2008). 과학고 학생의 자유 탐구 활동 중 가설 생성과 연구 설계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중등교육연구 56(3), 1-39.
  9. 양일호, 정진수, 권용주, 정진우, 허명, 오창호 (2006). 과학자의 과학지식 생성 과정에 대한 심층 면담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88-98.
  10. 윤혜경, 박승재 (1999). 확장적 과학 탐구 활동에서 중학생의 인지적 참여도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84-695.
  11. Alan Colburn (2000). An Inquiry Primer. science scope, 23(6), 42-44.
  12. Chiung-Fen Yen, Shin-Chieh Huang (1998). The authentic learning of science i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in an open-inquiry research on tree frogs.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71st, San Diego, CA, April, 19-22.
  13. Clark A. Chinn, Cindy E. (2002). Authentic inquiry: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Science Education, 86(2), 171-174. https://doi.org/10.1002/sce.10000
  14. Clark A. Chinn, Betina A. Malhotra (2001).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15. Driver, R., Asoko, H., Leach, J., Mortimer, E., & Scott, P. (1994).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researcher, 23(7), 5-12. https://doi.org/10.3102/0013189X023007005
  16. Fordham, A. (1980). Student intrinsic motivation, science teaching practices and student learning.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0, 107-117. https://doi.org/10.1007/BF02356315
  17. Germann, P., Aram, R., & Burke, G. (1996). Identifying patter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responses of seventh-grade students to the science process ckill of design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 79-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1)33:1<79::AID-TEA5>3.0.CO;2-M
  18. Ronald W. Marx, Phyllis C. Blumenfeld, Joseph S. Krajcik, Barry Fishman, Elliot Soloway, Robert Geier, Revital Tali Tal (2004). Inquiry-Based Science in the Middle Grades:Assessment of Learning in Urban Systemic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1063-1080. https://doi.org/10.1002/tea.20039
  19. Loh, B., Radinsky, J., Russel, E., Gomez, L. M., Reiser, B. J., & Edelson, D. C. (1998). The Progress Portfolio: Designing reflective tools for a classroom context. Proceedings of GHI 98, Los Angeles, CA, Reading, MA: Addison- Wesley.
  20. Moreina, M. A. (1980). A non-traditional approach to the evaluation of laboratory instruction in general physics courses.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441-448. https://doi.org/10.1080/0140528800020410
  21.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2.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Cited by

  1.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Free inquiry' of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vol.58, pp.3, 2010, https://doi.org/10.25152/ser.2010.58.3.213
  2.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formance of Open Inquiry vol.15, pp.2,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1.15.2.535
  3. 문제 중심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탐색: 중학교 1학년 과학 자유탐구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vol.31, pp.5,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5.720
  4. Actual Conditions of Free Inquiry Implementation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vol.15, pp.3, 2010, https://doi.org/10.24231/rici.2011.15.3.603
  5. 중학교 학생들의 자유탐구활동 중 주제선정단계에서 나타난 어려움 조사 vol.31, pp.8,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8.1199
  6. 요인 분석을 통한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및 기능 탐색 vol.32, pp.7,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204
  7. The Influence of Free Inquiry Instruction of Science Teacher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vol.52, pp.3, 2013, https://doi.org/10.15812/ter.52.3.201312.529
  8.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이 겪은 어려움 vol.33, pp.7,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300
  9. 과학영재의 자유탐구를 안내하는 연구단계별 질문목록 개발 vol.24, pp.1, 2014, https://doi.org/10.9722/jgte.2014.24.1.63
  10. Pre - service Biology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Nature of the Scientific Inquiry - The 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VASI) QuestIonnaire - vol.44, pp.2, 2010,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2.191
  11.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ree-Inquiry Abilities vol.55, pp.4, 2010, https://doi.org/10.15812/ter.55.4.201612.501
  12. The Effect of Problem Finding and Solving Experiences in Experiment-Based Class for Apprentice Science Teachers vol.56, pp.1, 2017, https://doi.org/10.15812/ter.56.1.201703.63
  13. A Stud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Open ‘Inquiry-Based Chemistry Laboratory’ vol.21, pp.5, 2010, https://doi.org/10.24231/rici.2017.21.5.524
  14. 개방형 탐구를 경험한 예비과학교사의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변화 vol.61, pp.5, 2010, https://doi.org/10.5012/jkcs.2017.61.5.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