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Studying the Theory of Science Education for Teacher Selection Test

예비 과학교사들이 임용시험의 과학교육학 내용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

  • Received : 2010.02.11
  • Accepted : 2010.04.20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studying the theory of science education for teacher selection test were studied. At first, questions of the internet cafe for preparing the teacher selection test from January 2008 to June 2009 were analyzed in terms of content area. A survey was also administered to 39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took the teacher selection test. The rubric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As a result, the most frequent question areas were 'philosophy and history of science' and 'theories and models of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In the survey with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 most difficult content area was the philosophy of science. The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also one of the most difficult areas.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이 임용시험의 과학교육학 내용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우선 중등교사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한 인터넷 카페의 게시판에 2008년 1월부터 2009년 6월 사이에 게시된 질문들의 내용 영역을 분석하였다. 또한, 임용시험을 마친 예비교사 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내용 영역 분석에 사용한 평가틀은 한국교육과정 평가원과 한국과학교육학회에서 개발한 것이었다. 인터넷 카페의 질문을 분석한 결과, '과학철학과 과학사'와 '과학교수학습이론과 수업모형'에 대한 질문이 가장 많았다. 설문 조사 결과, 예비교사들은 과학철학 관련 내용이 가장 어렵다고 응답하였고, 과학 교수학습 이론이나 수업모형의 적용이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아(2005). 중∙고등학교 교사 임용시험 공통과학과 출제문항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한결(2009). 최근 5년간 중등 지구과학 교원 임용고사 현황과 문항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박선희, 심규철(2006). 중등 생물 교사 임용 시험의 과학 교육 관련 문항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2), 246-256.
  4. 박성혜(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예측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71-683.
  5. 박승재, 박종윤, 강순희, 허명(1994). 중등과학교 사 임용시험의 개선을 위한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356-365.
  6. 윤재룡(2003). 중등영어교원 임용고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문항 분석과 경향의 흐름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7. 이미영(2007). 인터넷 카페에 게시된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육론에 대한 질문 분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8. 이양락(2004). 2002 및 2003학년도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결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532-543.
  9. 임청환(2003).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발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4(4), 235-249.
  10. 정범모(1981). 교육과 교육학, 서울: 배영사.
  11. 조주환, 김상달(1997).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양성과 임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지구과학회지, 18(6), 464-472.
  12. 최영준(2006). 중등과학교사 임용시험에서 과학교육론의 출제경향 분석. 교육연구, 2(1), 99-112.
  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과학교육학회(2008). 표시과목 공통과학의 교사 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14. Maskill, R., & de Jesus, H. P. (1997). Pupils' questions, alternative frameworks and the design of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7), 781-799. https://doi.org/10.1080/0950069970190704

Cited by

  1.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문항에 나타난 과학교육학 이론의 분석 vol.33, pp.4,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4.794
  2. 예비과학교사에게 필요한 과학교육학 이론에 대한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과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의 연관성 vol.33, pp.4,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4.826
  3. PCK에 근거한 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과학과 문항 분석 vol.39, pp.5,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5.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