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the Teaching Practice

교수 실제를 통한 초임 과학교사의 PCK 분석

  • Received : 2010.02.15
  • Accepted : 2010.06.06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beginning science teachers' PCK.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beginning science teachers were chosen in public middle school.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 record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other document data.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wo beginning science teachers' PCK had little differences; both have insufficient knowledge of science curriculum and assessment, and their PCK had quite differences in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the orientations toward teaching science. Though they were aware of students' various levels, their common teaching method focused on delivery of science text knowledge for poor understanding about student. In conclusion, the two beginning teachers' PCK were still similar with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beginning teachers' PCK, it needs to change the paradigm of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program and to expand in-service teachers training and supporting program.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 과학교사의 PCK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공립중학교에 근무하는 두 명의 초임 과학교사를 선정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수업 촬영, 반구조화된 면담, 기타 문서자료 등이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평가에 대한 지식은 약간 차이가 있지만 그 수준은 부족한 편이었으며, 교수전략과 교수 지향은 교사에 따라 매우 상이했다. 교사들은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을 인식하였지만, 학습자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부족해 두 초임과학교사의 수업은 공통적으로 과학교과서의 내용전달에 초점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두 초임교사의 PCK는 예비교사의 PCK와 비슷했다. 초임교사의 PCK 발달을 위해 예비교사 프로그램의 패러다임전환과 현직교사 연수 및 지원 프로그램의 확충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2009).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5), 580-591.
  2. 곽영순(2003). 과학과 수업 분석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84-493.
  3. 곽영순(2008). 과학과 교과교육학 지식 유형별 교사 전문성의 특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92-602.
  4. 교육부(199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5. 교육부(1997).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수학, 과학, 기술, 과정.
  6.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2004). 과학교육학개론. 서울:북스힐.
  7. 박경민(2001). 교수적 내용 지식에 대한 중등 과학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미현(2004). 과학 교사의 전공과 비전공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수업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성혜(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예측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71-683.
  10. 박성혜(2006).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수법 및 자기 효능감과 태도에 따른 교과교육학지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22-131.
  11. 박재원, 원정애, 백성혜(2007). 물속에서의 무게와 압력에 대한 초등 교사의 교수 내용 지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26(2), 226-241.
  12. 박철용, 민희정, 백성혜(2008).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 과학교사의 교수내용 지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41-648.
  13. 백성혜(2008). 화학 과목의 교사 자격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및 수업능력 평가 연구. 대한화학회 화학교육/초중등교사분과 심포지움: 중등 화학 임용 시험 체제 개선 방안, 15-37.
  14. 성숙경(2010). 수업에 대한 동료교사의 협의가 과학교사의 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107-123.
  15. 이연숙(2006). 교수학적 내용지식(PCK) 및 그 표상(PCKr)의 개념적 정의와 분석도구 개발 : 예비 과학교사의'힘과 에너지'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윤식(1999). 분석장학론. 서울:교육과학사.
  17. 이화진, 오은순, 송현정, 전효선, 조일수, 강대현, 권점례, 곽영순, 유정애, 이경언, 양윤정, 이윤, 김명화, 오상철, 홍선주, 김완수(2005). 2005 KICE 교수 학습개발센터 콘텐츠 개발∙운영 -내용교수법(PCK) 및 온라인 수업장학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5-1.
  18. 임청환(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4(4), 258-272.
  19. 전화영, 유미현, 홍훈기, 박은이(2009). 초임 중등 과학 교사의 수업 불안 실태 및 전문성 발달 노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68-78.
  20. 조희형, 고영자(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 (PCK)의 재구성과 적용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21. 최승현, 곽영순(2007).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7-3-3.
  22. Cochran, K. F., DeRuiter, J. A., & King, R. A. (1993). Pedagogical content Knowing: An integrativ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4), 263-272. https://doi.org/10.1177/0022487193044004004
  23. De Jong, O., Van Driel, J. H., & Verloop, N. (2005). Preservice Teacher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Using Particle Models in Teaching Chemist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8), 947-964. https://doi.org/10.1002/tea.20078
  24. Denzin, N. K. (1978).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New York: McGraw-Hill.
  25. Feldman, S. (1998). Teacher quality and professional unionism. In Shaping the Profession that Shape the Future, Speeches from the AFT/NEA(the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on Teacher Quality. Available at [www.aft.org/edissues/downloads/tqspeech.pdf].
  26. Gess-Newsome, J.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J. Gess-Newsome & N.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27.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8. Loughran, J. J., Mulhall, P., & Berry, A. (2004). In search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Developing ways of articulating and documenting professiona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70-391. https://doi.org/10.1002/tea.20007
  29.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luwer Academic Publishers.
  30. Marks, R. (199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om a mathematical case to a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3-11. https://doi.org/10.1177/002248719004100302
  31.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32. Mulhall, P., Berry, A., & Loughran, J.(2003). Frameworks for representing science teacher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ia-Pacific Forum on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4(2), Article 2.
  33. Mulholland, K., & Wallace, J.(2005). Growing the Tree of Teacher knowledge: Ten Years of Learning to Teach Element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7), 767-790. https://doi.org/10.1002/tea.20073
  34. NCATE (1998). Program Standards for elementary teacher preparation (review and comment edition). Washington DC: Author.
  35.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36. NSTA (1998). Standards for Science Teacher Preparation. Washington DC: Author.
  37. Tara Star., Graham, Peg., & Oppong, Nicholas K.(2007). Colleagues' roles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Result from a research study of National Board certifi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4), 368-389. https://doi.org/10.1016/j.tate.2006.12.013
  38.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39.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40. Stansbury, K., & Zimmerman, J.(2000). Lifelines to the Classroom: Designing Support for Beginning Teachers. Knowledge Brief. Washington, DC; National Center for Improving Science Education, WestED.
  41. Van Driel, J. H., De Jong, O., & Verloop, N. (2002).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86(4), 572-590. https://doi.org/10.1002/sce.10010
  42.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73-695.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8)35:6<673::AID-TEA5>3.0.CO;2-J
  43. Wenglinsky, H. (2000). How Teaching Matters: Bringing the Classroom Back into Discussions of Teacher Quality.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Cited by

  1. 중학교 과학교사의 교수지향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vol.30, pp.6,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6.719
  2. 멘토링을 통한 예비화학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변화 vol.31, pp.4,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4.621
  3. 초등 과학수업 실태 점검 및 개선 방안 연구 vol.32, pp.4, 2010, https://doi.org/10.5467/jkess.2011.32.4.422
  4. 중학교 과학교사의 교수전략을 통한 교수지향 분석 vol.56, pp.2, 2010, https://doi.org/10.5012/jkcs.2012.56.2.274
  5. 고등학교 과학 교사의 수업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vol.32, pp.5,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5.991
  6. 교사들의 아이디어 융합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역지대의 진화과정 탐색: 자율적 학습공동체'STEAM 교사 연구회' 사례연구 vol.33, pp.5,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1055
  7. A Case Study on Factors and Levels of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on their Instruction vol.17, pp.3, 2013, https://doi.org/10.24231/rici.2013.17.3.839
  8. 과학 교사의 교과내용학지식과 교과교육학지식의 연관성 분석: 지구과학 교사의 대기압 수업 사례 vol.33, pp.6,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219
  9. 끓는점 오름에 대한 내용표상화(Content Representation) 활동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PCK 특징 vol.33, pp.7,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385
  1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ddressed in Initial Physics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nd the Nature of Physics Teaching Practices vol.53, pp.1, 2010, https://doi.org/10.15812/ter.53.1.201403.112
  11. Exploration of the Features of Cross-curricular Instructional Communities in the Middle School vol.20, pp.2, 2010, https://doi.org/10.24231/rici.2016.20.2.79
  12. A Case Study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Search and Instructional Practice of Two Novic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vol.22, pp.5, 2010, https://doi.org/10.24231/rici.2018.22.5.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