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pace Design of a Public Library in Ubiquitous Life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공도서관 공간설계에 관한 연구

  • 한희정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0.11.15
  • Accepted : 2010.11.30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With the advent of uniquitous life, changes of users' demands make a public library accomplish roles and functions of a complex service center providing information, education and culture service. As a multi-function center, a public library provides various services based on physical and digital space in ubiquitous environment. Information commons is a basement of physical space in an u-Library. Especially, with the advent of ubiquitous environment, design and use of physical space will be a critical issue for a public library to perform its role and function as a multiple complicated space. This study derives facilities and component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formation commons in a public library as a physical space. To perform the goals, this study focuses on the newest trends and requirements through literature study, case study and survey.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components of facility and principles of design to implement information commons as a physical space in a public library.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와 함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요구의 변화는 정보제공기관, 문화서비스기관 및 교육기관으로써 역할과 기능을 수행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목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공도서관은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을 기반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공간적 기반에 있어서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은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물리적인 공간 기반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의 도래와 함께, 물리적 공간의 효과적인 설계 및 활용은 멀티복합공간으로서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수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의 물리적 공간으로써 정보공유공간의 설계와 구축을 위한 설계 및 시설요소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사례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흐름과 요구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공공도서관의 물리적 공간으로써 정보공유공간의 구축을 위한 시설요소 및 설계원칙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철완. 2004. 미래의 공공도서관을 위한 제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3): 65-78.
  2. 김용. 2009. 유비쿼터스 사회환경에서의 도서관 기능 및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3): 97-114.
  3. 김우영, 이경훈, 김광현. 2001. 분류법을 통해 본 도서관 공간조직의 흐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11): 91-98.
  4. 김재윤. 2003. <유비쿼터스 컴퓨팅: 비즈니스 모델과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5. 김정희. 2007. <사회적 패러다임에 따른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6. 김지현, 박희령, 김용성. 2007. 유비쿼터스 기술 적용에 따른 현대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7): 43-50.
  7. 박성신. 2007. ‘제3의 공간' 개념을 적용한 공간 디자인의 마케팅 효과: 이동통신사 체험 매장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16: 175-186.
  8. 박인규. 2007. 일본 도심 공공도서관의 가족이용자의 체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3): 455-475. https://doi.org/10.16981/kliss.38.3.200709.455
  9. 오경은, 김기영. 2008. 문헌분류방식에 따른 도서탐색용이성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4): 25-42. https://doi.org/10.3743/KOSIM.2008.25.4.025
  10. 이병혜. 2005. 유비쿼터스 혁명과 제3공간에 대한 문명론적 접근. <문명연지>, 6(2): 5-32.
  11. 이상복, 이정미, 곽철완, 박현주. 2009. 공공도서관의 인포메이션커먼스(Information Commons) 적용 기본구상.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2): 91-108.
  12. 장아리, 황연숙. 2007. 공공도서관의 실내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6(6): 172-180.
  13. 장아리. 2008. <지역주민의 요구를 고려한 공공 도서관의 실내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대학원.
  14. 정강훈, 노태학, 최일. 2006. 사회적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6(1): 333-336.
  15. 정미경, 남태우. 2007. 도서관 통합서비스 모델로서의 Information Commons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347-363. https://doi.org/10.4275/KSLIS.2007.41.4.347
  16. 정미경. 2008. 학교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109-146. https://doi.org/10.4275/KSLIS.2008.42.2.109
  17. 정재영. 2007a. 대학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정보공유공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67-87.
  18. 정재영. 2007b. 대학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 적용 모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3): 201-221. https://doi.org/10.16981/kliss.38.3.200709.201
  19. 정재영. 2009. Information Commons 기반 하이 브리드(Hybrid) 도서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2): 59-73.
  20. 주명진, 임영환. 2007. 공공도서관의 열람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27(1): 221-224.
  21. 차미경. 2006. 유비쿼터스 시대 도서관 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325-343.
  22. 고려대학교 학술정보관. .
  23. 성균관대학교 학술정보관. .
  24. 연세대학교 학술정보관. .
  25. Bailey, Russell and Barbara Tierney. 2002. "Information Commons Redux: Concept, Evolution and Transcending the Tragedy of the Commons." The Journal of Academic Lirbarianship, 28(5): 277-286. https://doi.org/10.1016/S0099-1333(02)00319-1
  26. Beagle, Donald. 1999. "Conceptualizing an information common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5(2): 82-89. https://doi.org/10.1016/S0099-1333(99)80003-2
  27. Beagle, Donald. 2006. The Information Commons Handbook. New York: Neal-Schuman Publishing, Inc.
  28. Church, Jennifer. 2005. "The evolving information commons." Library Hi Tech, 23(1): 75-81. https://doi.org/10.1108/07378830510586711
  29. Cowgill, Allison, Joan Beam and Lindsey Wess. 2001. "Implementing an information commons in a university library."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7(6): 432-439. https://doi.org/10.1016/S0099-1333(01)00257-9
  30. Gill, Philip. 2002. <공공도서관 서비스 개발을 위한 IFLS/UNESCO 가이드라인>. 장혜란 역.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31. Kranich, Nancy. 2004. The Information Commons: A Public Policy Report. The Free Expression Policy project, p.Ⅰ. .
  32. Seattle Public Library. .
  33. Sendai Mediatheque. .
  34. Spencer, Mary Ellen. 2006. "Evolving a new model: the information commons." Reference Service Review, 34(2): 242-247. https://doi.org/10.1108/00907320610669470
  35. Weiser, Mark. 1991. "The Computer for the 21st Century." Scientific American, 265(3): 94-104.
  36. White, Peggy, Susan Beatty, and Darlene Warren. 2004. "Information Commons." In Encyclopedi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ew York: Marcel Dekker.

Cited by

  1. A Study on Analysis of Remodeling Target Institution for Larchiveum Spatial Planning vol.30, pp.2,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3.30.2.143
  2.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Commons in the Public Library: Focus on the Physical Space of Neutinamu Library vol.43, pp.1, 2012, https://doi.org/10.1633/JIM.2012.43.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