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Sports Coping of Student Athletes

학생운동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스포츠대처의 관계

  • Received : 2010.11.11
  • Accepted : 2010.12.16
  • Published : 2010.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self-management and sports coping of student athlet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446 student athletes in Seoul and Incheon who were registered in Korean Olympic Committee before they participated the 2010 National Athletic Meet. Athlete Self-Management Questionnaires and Athlete's Sports Coping Scale Questionnaires as The investigation tools were used for the data collection. The data, which was collected by using SPSS 17.0, was analysed with t-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of the class over self-management and sports coping. Second, a difference in sports career existed between self-management and sports coping. Third, self-management affected sports coping of student athlete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운동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한 체육회에 등록된 서울, 인천 학생운동선수 446명을 대상으로 전국체육대회 참가 전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사용된 조사도구로는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 질문지와 스포츠 대처척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t-검정, 요인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 간 자기관리와 스포츠대처행동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대체로 대학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경력에 따른 자기관리와 스포츠대처행동은 운동경력이 높을수록 고유행동, 몸관리, 문제중심적 대처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운동선수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행동의 관계는 회피를 제외한 나머지 요인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문제중심적 대처가 정신력, 고유행동관리, 훈련관리, 몸관리로부터 영향을 받고, 정서중심적 대처는 정신력관리, 생활관리, 고유행동관리, 훈련관리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이외에 생활관리가 초연에 영향을 끼치고, 정신력, 고유행동관리, 몸관리가 회피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량, 이동현, “복싱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 및 스포츠대처전략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48권, 제5호, pp.139-148, 2009.
  2. 김병준,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의 측정," 체육과학연구, 제14권, 제4호, pp.125-140, 2003.
  3. 김용규, “체조선수의 선수성숙도와 자기관리 및 스포츠심리기술의 인과관계," 체육과학연구원, 제18권, 제2호, pp.94-103, 2007.
  4. 김용규, “펜싱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 그리고 스포츠대처의 인과모형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47권, 제5호, pp.143-152, 2008.
  5. 유진, 박성준, “스포츠 대처 척도의 개발과 구조적 타당화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제37권, 제2호, pp.151-168, 1998.
  6. 장동수, 이기세, “사격선수들의 역경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7권, 제6호, pp.415-426, 2006.
  7. 정청희, 김병준, Sport 심리학의 이해, 금광출판사, 1999.
  8. 최관용, “국가대표 여자 유도선수의 경기력 형성에 기여하는 지도자요인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1999.
  9. 허정훈, “운동선수 자기관리 검사지(ASMQ)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4권, 제2호, pp.95-109, 2003.
  10. 허정훈, 김병준, 유진, “대학운동선수들의 자기관리 전략: 평소연습과 시합상황의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제40권, 제1호, pp.187-198, 2001.
  11. 허정훈, 유진, “국가대표 선수들의 자기관리 전략: 질적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5권, 제3호, pp.27-52, 2004.
  12. R. B. Alderman, Psychological behavior in sport, Toronto: Saunders Pub., 1974.
  13. A. V. Carron, Social psychology of sport, Ithaca, N. Y. : Mouvement Pub., 1980.
  14. B. J. Cratty, Psychological and physical activit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697.
  15. R. T. Jones, R. E. Nelson, and A. E. Kazdin, “The role of external variables in self reinforcement: A review, Behavior Modification," Vol.l, pp.147-178
  16. W. H. Cormier, and L. S. Comier, Interviewing Strategies for Helper, 1985.
  17.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NewYork, 1984.
  18. T. Orlick, and J. Partington, “Mental links to excellence," The Sport Psychologist, Vol.2, pp.105-130, 1998.
  19. R. E. Pearlin and A, J. Sehooler, Organizational Stress and Preventive Management, McGrawhill, 1978.
  20. K. Porter and J. Foste, The Mental Athlete Inner Training for peak performance, WM.C. Brown pub., 1986.
  21. R. N. Singer, Coaching, athletics, and psychology, NY: McGraw-Hill,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