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Exercise Capacity on Exercise Flow and Exercise Addiction in Pilates and Yoga Participants

필라테스와 요가참여자의 운동능력이 운동몰입과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10.11.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exercise capacity on exercise flow and exercise addiction in Pilates and Yoga participants. Total 211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200 samples were finally used after eliminating 11 incomplete samples. The data was analyzed by one-way ANOV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15.0 and AMOS 7.0 programs. Factor analysis showed that exercise flow had 2 dimensions: cognitive flow and behavioral flow. Also, exercise addiction had 4 dimensions: motivation of exercise, social problem, withdraw symptoms, need for exerci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First, Participants in the upper half of exercise capacity showed high scores on cognitive flow and exercise flow. Second, Participants in the upper half of cognitive and behavioral flow showed high scores on exercise flow. Third, Exercise capacit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gnitive and behavioral flow, motivation of exercise and withdraw symptoms. Also, cognitive flow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motivation of exercise and withdraw symptoms, behavioral flow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motivation of exercise and social problem.

본 연구는 필라테스 및 요가 참여자의 운동능력 인지가 운동몰입과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필라테스 및 요가 참여자의 운동능력 고 집단이 저나 중 집단에 비해 인지몰입이 높았으며, 운동중독의 경우에도 운동능력 고 집단이 저나 중 집단에 비해 운동동기, 사회문제, 금단증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필라테스 및 요가 참여자의 인지몰입 수준이 높은 고 집단이 운동동기, 사회문제, 금단증세, 운동욕구 등이 모두 높게 나타났고, 행위몰입의 경우에도 고 집단이 운동동기, 사회문제, 금단증세, 운동욕구 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운동능력은 운동중독 하위요인인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능력은 운동중독 하위 요인 중 운동동기, 금단증세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인지몰입은 운동동기와 금단증세, 행위몰입은 운동동기와 사회문제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욱(2002). 생활체육참가자의 운동중독과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1(5), 59-70.
  2. 강신욱(2003).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중독과 자기의식 및 사회적응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1(5), 59-71.
  3. 권인명, 김정한, 정진화, 김정하(2003). 주부들의 테니스 참가가 운동몰입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8(1), 201-211.
  4. 김석일(2004).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서울.
  5. 김석일(2009). 댄스스포츠 선수의 운동능력, 스포츠재미 및 스포츠대처의 인과모형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8, 1137-1153.
  6. 김석일, 유 진(2007). 복싱선수의 스포츠대처전략과 성공지각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8(4), 43-59.
  7. 김성문, 장진우, 윤상문(2008). 생활체육 참가가 스포츠 몰입 및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2, 585-593.
  8. 김수겸(2006). 생활체육참여자의 운동몰입, 심리적 행복감, 운동 중독의 관계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7(6), 451-460.
  9. 김홍설(2004). 기혼여성의 스포츠센터 참가와 운동몰입경험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5(3), 89-96.
  10. 김희은(2006). 생활무용 참여자의 여가 참여만족과 제약에 관한 질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경남.
  11. 남윤미(2009). 성인여성 생활무용 참여자의 참여정도와 몰입 및 운동중독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원.
  12. 백순기(2003). 현대무용참가와 자기능력지각, 무용몰입 경험 및 전공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3. 소영호(2007). 생활체육 참가자의 참가정도와 감각추구 성향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8(3), 21-36.
  14. 송기현, 허진영(2010). 생활체육 참여자의 각성추구성향과 운동몰입 및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1), 93-102.
  15. 신승엽(2010). 골프연습장 참여자의 여가몰입, 운동중독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1), 19-31.
  16. 양명환(1998). 볼링중독성향과 심리적 행복감. 한국체육학회지, 37(4), 217-222.
  17. 오제권(2007). 생활체육참여자들의 운동몰입이 운동중독,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
  18. 오현옥(2006). 댄스스포츠 참가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행복한 삶의 인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9. 유 진(1997). 스포츠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20. 이재신, 이민영(2008). 댓글 읽기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42, 249-279.
  21. 이종길(1992).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2. 이하얀, 손재현(2006). 기혼여성의 댄스스포츠 참여에 따른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0(2), 47-58.
  23. 이학식, 임지훈(2007).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6.0. 서울: 학지사.
  24. 임세영(2006). 에어로빅체조선수들의 몰입이 운동중독과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서울.
  25. 장진우, 강효민(2007). 지역사회 스포츠클럽 참가종목과 활동몰입 및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6(2), 85-94.
  26. 전상완(2007). 레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몰입과 운동중독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서울.
  27. 전상완, 양종훈(2009). 생활체육 참여자의 여가몰입과 운동중독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 1155-1168.
  28. 정용각(1997).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참여동기, 각성추구, 정서의 요인이 스포츠 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부산.
  29. 정용각, 한희정(2000). 볼링선수와 동호인의 참여동기에 관한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4, 395-410.
  30. 정은숙, 송은주, 임수원(2005). 동호인마라톤 참가자의 운동 중독과정과 경험. 한국체육학회지, 44(4), 605-615.
  31. 정지영(2007). 인라인 스케이트 동호회 참가자들의 운동중독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32. 황세연(2008).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중독현상과 사회적응.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경기.
  33.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F: Jossey-Bass.
  34.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Gerontology
  35. Flanagan, J. (1978). A reach approach to improving our quality of life. American Psychology, 33, 138-147.
  36. Glasser, W. (1976). Positive addiction. New York: Harper and Row.
  37. Hardy, L., Jones, G., & Gould, D. (1996). Understanding psychological preparation for sport: Theory and practice of elite performers. John Wiley & Sons.
  38. Kelly, J. R. (1983). Leisure style: A hidden core. Leisure Science, 5, 321-327. https://doi.org/10.1080/01490408309513012
  39. Kostrubala, T. (1976). The joy of running. Philadelphia: J. B. Lippincott.
  40. Larson, R. (1978). Thirty years of research on the subjective well being of older Americans. Journal of Gerontology, 33, 109-125. https://doi.org/10.1093/geronj/33.1.109
  41. McGuire, F. (1984). A factor analytic study of leisure constraints in advanced adulthood. Leisure Science, 6, 313-326. https://doi.org/10.1080/01490408409513038
  42. Mihalko, S. L., & Mcauley, E. (1996). Strength training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and physical educa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4(1), 56-68.
  43. Ragheb, M., & Criffith, C. (1982).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of old person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4, 295-306.
  44. Sachs, M. (1981). Running addiction. In M. H. Sachs and M. L. Sachs(Eds.). Psychology of running. 116-121. Champaign, IL: Human Kinetics.
  45. Scanlan, T. K., Simons, J. P., Carpenter, P. J., Schmidt, G. W., & Keeler, B. (1993). The sport commitment model: Measurement development for the youth-sport domain.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5, 16-38.
  46. Sonstroem, R. J., & Morgan, W. P. (1989). Exercise and self-esteem: Rational and model.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1, 329-337.
  47. Wankel, L. M. (1993). The important of enjoyment to adherence and psychological benefits from physical ac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4, 151-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