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Social Impact Efficacy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Noh, Eun-Mi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Ulsan college) ;
  • Back, Jong-Uk (Department of Elderly Recuperation, Sung Duk collage)
  • 노은미 (울산과학대학 치위생과) ;
  • 백종욱 (성덕대학 노인요양재활과)
  • Received : 2010.06.07
  • Accepted : 2010.08.19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The study of the elderly and poor oral stat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mooth social life limited to give is the social alienation and isolation, promoting to having problems with a sense of the elderly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social efficacy affects whether analyzed. 1.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uthoring feel healthy food disorders, toothache, periodontal problems, tmj pain, dry mouth, bad breath symptoms such as 'sometimes' 'often' than a 'no' if you appear to be a highly subjective and social efficacy Efficacy of oral health status and social influence were more (p<0.01). 2.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f the seven kinds of sub-variable that oral health status, food authoring disorders, toothache, gum disease, jaw joint or more, dry mouth, bad breath instantly and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fficacy oral health status, ability of mastication, pain in oral, gum disease, tmj pain, dry mouth, presence of halitosis than positive (+) was correlated.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노인고령화 통계, 2009.
  2. Locker D et al.: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a population of medically compromised elderly people. Community Dent Health 19(2): 90-97, 2002.
  3. 김종배: 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과 활성화 방안. 한국보건교육학회지 4(1): 35-40, 1987.
  4. Kushnir D, Zusman SP, Robinson PG: Validation of a hebrew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J Public Health Dent 64(2): 71-75, 2004. https://doi.org/10.1111/j.1752-7325.2004.tb02730.x
  5. 최원철: 수도권 일차구강진료수령자의 영구치아 발거원인 비중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1999.
  6. Smith J, Sheiham A: How dental conditions handicap the elderl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7: 305-310, 1979. https://doi.org/10.1111/j.1600-0528.1979.tb01238.x
  7.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H. Freeman and Company 526-573, 1997.
  8. Caprara GV, Steca P: Affective and Social Self-Regulatory Efficacy Beliefs as Determinants of Positive Thinking and Happiness. European Psychologist 10(4): 275-286, 2005. https://doi.org/10.1027/1016-9040.10.4.275
  9. 손경미: 패턴 블록 활동에서의 또래협력이 유아의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999.
  10. O'Mally JM: Reseach perspective on social competence, Merrill-Palmer Quarterly 23(1): 29-44, 1977.
  11. 오상현: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자아 통합감의 관계[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001.
  12. 김남희: 지역사회 노인구강건강증진사업 기초모형개발: 서울특별시 노인복지회관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6.
  13. 원영순, 진기남: 노인의 구강건강상태와 전신건강의 상태.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3(2): 157-167, 2003.
  14. Drake CW, Beck J, Strauss RP: The accuracy of oral selfperceptions in edentate population. Spec Care Dentist 10(1): 16-20, 1990. https://doi.org/10.1111/j.1754-4505.1990.tb01081.x
  15. Atchison KA, Matthias RE, Dolan TA: Comparison of oral health ratings by dentists and dentate elders. J Public Health Dent 53: 223-230, 1993. https://doi.org/10.1111/j.1752-7325.1993.tb02708.x
  16. 백인경: 노인의 자원봉사활동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서울, 2008.
  17. McGrath C, Bedi R, Gilthorpe M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views of the public in the United Kingdom. Community Dent Health 17(1): 3-7, 2000.
  18. 이가령: 일부 농촌 노인들의 구강건강영향지수(Oral Health Impact Profile)14 평가. 한국치위생과학회지 10(2): 109-116, 2010.
  19. 김숙영: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영향요인: 자기효능, 사회적지지, 우울을 중심으로. 노인간호학회지 5(2): 171-181, 2003.
  20. 배지영: 노인의 구강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대구, 2008.
  21. 김남희, 문옥륜: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산업구강보건학술지 12(1): 33-41, 2003.
  22. 송경희: 한국 성인의 건강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7.
  23. 원영숙, 김지현, 김수경: 서울 일부지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증상과의 관련성. 한국치위생과학회지 9(4): 375-380, 2009.
  24. 김성혜: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연구[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1993.
  25. 김종숙: 한국노인의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987.
  26. 이현옥, 김 진: 노인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관리행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 8(2): 57-63,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