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Dental Health Characteristics of Adult on the Status of Recogni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Dental Hygiene Devices

성인의 구강건강 특성이 구강위생용품의 인지도와 사용 실태에 미치는 영향

  • Lee, Eun-Ju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Busan College of Information Technology) ;
  • Lee, Mi-Oa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Jinju Health College)
  • 이은주 (부산정보대학 치위생과) ;
  • 이미옥 (진주보건대학 치위생과)
  • Received : 2010.06.17
  • Accepted : 2010.08.19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was processed from March $22^{nd}$ to April $9^{th}$ of 2010, was to figure out recognition, well-formed instruct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 about dental hygiene devices based on the dental health characteristics of 350 adults who dwell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s. Also, this study recommended the adults to use dental hygiene devices and provided such devices to help individuals take care of their dental health at home.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a statistics SPSS (Statistical Packages for Social Science 14.0. SPSS Inc. USA) program. First of all, in order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population statistics and that of the descriptive dat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tions of the dental health, Chi-squared test through Crosstabs was operated. According to the study, recogni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dental hygiene devices were very low. Therefore, public announcement about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such devices should be reinforced nationwide and instructions on choosing the right device and using of the dental hygiene devices based on patients' conditions by dental hygienic human efforts gathered from dental health organization should be carried out.

부산, 경남 지역 성인의 구강위생용품의 인지도, 사용법 숙지, 현재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구강위생용품을 권장하고 보급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가정에서의 구강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할 목적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임의로 선정한 부산, 경남 지역의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강건강 상태별로 구분하여 구강위생용품의 인지도, 사용법 숙지, 현재 사용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구대상자들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는 사용법 숙지와 현재 사용률 보다 높았으며, 사용법 숙지는 현재 사용률 보다 높았다. 특히, 이쑤시개 사용자율이 다른 구강위생용품의 인지도, 사용법 숙지, 현재 사용자율 보다 높았다. 2. 관심 관리 구강병인 치아우식증과 구강암은 치간칫솔을 가장 많이 인지하고 사용법을 숙지하고 현재 사용하고 있었고, 치주병은 치주환자용 칫솔을 가장 많이 인지하고 사용법을 숙지하고 치간칫솔을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교합은 교정용 칫솔을 가장 많이 인지하고 치간칫솔을 가장 많이 사용법을 숙지하고 현재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구강건강 중요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연구대상자의 46.9%가 의치세정제의 사용법을 가장 많이 숙지하고 있었고, 45.8%가 혀클리너를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구강건강 중요도가 '보통이다'고 생각하는 연구대상자의 48.4%가 의치용 칫솔의 사용법을 가장 많이 숙지하고 있었고, 50.0%가 첨단칫솔을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구강건강 상태가 '보통이다'라고 생각하는 연구대상자의 47.7%가 혀클리너의 사용법을 가장 많이 숙지하고 있었고, 42.9%가 워터픽을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구강건강 문제가 충치인 연구대상자의 33.3.%가 의치세정제를 가장 많이 인지하고 있었고, 39.1%가 지각과민둔화세치제의 사용법을 숙지하고 있었고, 45.8%가 혀클리너를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잇몸의 경우 96.0%가 고무치간자극기를 가장 많이 인지하고 있었고, 47.2%가 교정용 칫솔의 사용법을 가장 많이 숙지하고 있었으며, 50.0%가 고무치간자극기를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연구대상자들의 최대 관심 관리 구강병으로 치아우식증이 50.7%, 치주병이 34.1%, 부정교합이 12.2%, 구강암이 3.0%순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자 대부분이 최대 관심을 갖고 관리하고 있으며, 자신의 구강상태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반영한 것으로 사료된다. 7.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게 된 동기를 조사한 결과, '독자적인 판단으로 좋을 것 같아서'가 45.9%로 가장 많았으며,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적절한 구강위생용품을 몰라서'가 26.0%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 부산 경남 지역 성인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는 높았으나 사용법 숙지 및 현재 사용률이 매우 낮았다. 따라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구강위생용품의 효과 및 필요성 등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지고, 치과의료기관에서 구강보건인력들이 환자특성에 따른 적합한 구강위생용품의 선택과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인숙 외: 구강보건교육학. 고문사, pp.9, 2002.
  2. 김종배 외.: 공중구강보건학. 고문사, pp.13-68, 2000.
  3. 김종배 외.: 임상예방치학. 고문사, pp.85-159, 2000.
  4. 김수경: 치과병.의원 내원환자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2(2): 95-103, 2002.
  5. 김진, 우희선, 정문희: S대학 치위생과 실습실에 내원한 환자의 치아우식상태와 구강위생관리능력 구강건강행위 실태. 한국치위생과학회지 9(1): 145-151, 2009.
  6. 백대일: 한국인의 치아우식예방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관리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7(1): 1-12, 1993.
  7. 이재화, 나수정, 김진범: 대도시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가정주부의 구강보건지식과 행동.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4): 509-529, 1996.
  8. 장시덕: 구강보건관리에 따른 초등학생의 치아우식증 분석[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청원, 1997.
  9. 이영혜, 문혁수, 백대일, 김종배: 서울특별시 가정 구강보건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4(3): 239-257, 2000.
  10. 김주영, 정기옥: 치과병.의원 내원환자의 구강건강관리와 구강위생용품 인지와 사용실태. 한국치위생과학회지 15(2): 61-70, 2009.
  11. 서은주: 한국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천안, 2001.
  12. Horowitz HS et al.: Evaluation of a stannous fluoride dentifrice for use in dental public health programs. Basic findings J Am Dent Assoc 72(2): 408-422, 1966.
  13. Yaegaki K, Suetaka T: Periodontal disease and precursors of oral malodorus component. J Dental Health 39(4): 733-747, 1989.
  14. Tonzetich J: Reduction of malodor by oral cleaning procedure. Oral Surgery 42(3): 172-187, 1976.
  15. 양수정, 문혁수, 김종배: 칫솔질 및 혓솔질의 구취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7(2): 268-278, 1993.
  16. 박홍련: D중공업 근로자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실태 조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6(2): 93-99, 2006.
  17. 노인기외: 한국사람 치아 발거비중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2(2): 183-193, 1998.
  18. 최원철 외: 수도권 일차구강진료수령자의 영구치아 발거원인 비중에 관한 조사연구. 치대논문집 22(1): 296-317,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