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icrosatellite Alterations at Selected Tetranucleotide Repeats Are Associated with Morphologies of Colorectal Neoplasias

테트라뉴클레오티드 반복상의 현미부수체 변화와 대장 종양 형태 간의 연관성

Lee, Sun-Young
이선영

  • Published : 20101200

Abstract

대장 종양에서의 elevated microsatellite alterations at selected tetranucleotide repeats (EMAST) 발현율을 보여준 이 논문은 특정한 테트라뉴클레오티드 반복상의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현상이 대장 종양의 병리학적 소견뿐만 아니라 내시경적 소견과도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서는 대장 암화 과정에서의 EMAST 발현 시기를 보고, 임상심리학적 소견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총 24개의 대장 선종과 84개의 대장암을 대상으로 5개의 다형성 테트라뉴클레오티드 현미부수체 표지자(MYCL1, D9S242, D20S85, D8S321, D20S82)의 발현을 조사한 뒤, 임상병리학적 소견과 비교 분석하였다. EMAST의 진단은 5개의 테트라 뉴클레오티드 표지자 중 2개 이상에서 종양 조직과 정상 조직에서 불일치를 보일 때로 정의하였다. 그 결과, 108개의 종양 중 50%에서 EMAST 양성 소견을 보였다. 기존의 MSI 진단 기법을 이용하여 함께 조사한 결과, 6개의 종양이 MSI-high, 10개의 종양이 MSI-low, 92개의 종양이 microsatellite stable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MSI-high 소견을 보인 6개의 종양은 모두 EMAST 양성인 대장암이었다. 반면, 10개의 MSI-low 종양은 70%만이 EMAST 양성인 대장암이었다. 한편, 24개의 대장 선종은 모두 microsatellite stable 종양으로 판명되었다. EMAST의 발현율을 병리학적 소견별로 분석한 결과, 분화도가 중등도인 선암(56.9%)이나 분화도가 나쁜 선암(40.0%)의 경우가 분화가 좋은 선암(12.5%)이나 선종(33.3%)보다 높았다(P=0.040). 내시경 소견으로 분류한 결과, 궤양/침윤성 소견을 보이는 경우(52.3%)가 측방형이나(44.0%) 융기형(20.0%) 병변에 비해서 EMAST 발현율이 높았다(P=0.049). 나아가서 테트라뉴클레오티드 결손이 3개를 초과하는 경우에서는 모두 hMSH3 발현이 75% 이상 소실되어 있었으며, hMH3의 핵 다형성(nuclear heterogeneity)은 EMAST 양성(40.0%)인 경우가 EMAST 음성인 경우(13.2%)보다 높았다(P=0.010). 결론적으로 EMAST는 선종과 분화도가 좋은 암에서 분화도가 나쁜 암으로 진행할수록 높은 양성률을 보였으며, 이는 hMH3의 핵 다형성 및 hMSH3 발현 소실과 연관이 있었다. 테트라뉴클레오티드 결손의 수가 많을수록 hMSH3 소실률이 높은 것으로 보아, 궤양/침윤형 대장암에서의 높은 EMAST 발현율은 염증성 반응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Lee SY, Chung H, Devaraj B, et al. Microsatellite alterations at selected tetranucleotide repeats are associated with morphologies of colorectal neoplasias. Gastroenterology 2010;139:1519-1525. https://doi.org/10.1053/j.gastro.2010.08.001
  2. Boland CR, Thibodeau SN, Hamilton SR, et al. A National Cancer Institute Workshop on Microsatellite Instability for cancer detection and familial predisposition: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criteria for the determination of microsatellite instability in colorectal cancer. Cancer Res 1998;58:5248-5257.
  3. Grady WM, Carethers JM. Genomic and epigenetic instability in colorectal cancer pathogenesis. Gastroenterology 2008;135:1079-1099. https://doi.org/10.1053/j.gastro.2008.07.076
  4. Haugen AC, Goel A, Yamada K, et al. Genetic instability caused by loss of MutS homologue 3 in human colorectal cancer. Cancer Res 2008;68:8465-8472. https://doi.org/10.1158/0008-5472.CAN-08-0002
  5. Yamada K, Kanazawa S, Koike J, et al. Microsatellite instability at tetranucleotide repeats in sporadic colorectal cancer in Japan. Oncol Rep 2010;23:551-561.
  6. Devaraj B, Lee A, Cabrera BL, et al. Relationship of EMAST and microsatellite instability among patients with rectal cancer. J Gastrointest Surg 2010;14:1521-1528. https://doi.org/10.1007/s11605-010-1340-6
  7. Kudo SE, Takemura O, Ohtsuka K. Flat and depressed types of early colorectal cancers: from East to West. Gastrointest Endosc Clin N Am 2008;18:581-593. https://doi.org/10.1016/j.giec.2008.05.013
  8. Chang CL, Marra G, Chauhan DP, et al. Oxidative stress inactivates the human DNA mismatch repair system. Am J Physiol Cell Physiol 2002;283:C148-C154. https://doi.org/10.1152/ajpcell.00422.2001
  9. Gasche C, Chang CL, Rhees J, Goel A, Boland CR. Oxidative stress increases frameshift mutations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Cancer Res 2001;61:7444-7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