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erience and Confidence on Clinical Nursing Performance in Delivery Room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 Clinical Practice Settings

간호대학생의 분만실 실습기관별 간호수행 경험과 간호수행 자신감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experience and confidence on clinical nursing activities in delivery room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settings. The research tools were 49 items with clinical nursing activities of delivary room. Data were collected from 337 college students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K and I city from September to October, 2008.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PC WIN 14.0 program. The clinical nursing activities which over 80% of students had performance experiences with were 3 items(hospital-practice setting group), 5 items(women's care hospital-practice setting group) practiced frequent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wo group(women's care hospital-practice group, hospital-practice group) were no significantly in the confidence on clinical nursing activities. The performance group was significantly better in the confidence on clinical nursing activities than two other group(no experience group, only observation group). As a conclusion, there were many clinical nursing activities only to observe or not to perform. Therefore, the college of nursing students need to practice in women's care hospital setting for improvement of performance on clinical nursing activities.

본 연구는 분만실 실습기관에 따른 간호수행 경험 정도와 간호수행 자신감의 차이를 확인하여 모성간호학 임상실습 교육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분만실 임상실습을 경험한 3년제 간호대학 재학생 337명이며, 실습기관은 대학 종합병원 실습군 50.4%, 여성전문병원 실습군 49.6% 이었다. 분만실 실습기관별 간호수행 경험은 총 49항목 중 수행 빈도가 80%이상인 간호활동은 대학 종합병원은 3항목, 여성전문병원은 5항목이었다. 수행 빈도가 20%이하인 간호활동은 대학 종합병원은 22항목, 여성전문병원은 21항목이었다. 분만실 실습기관별 간호수행 자신감은 대학 종합병원은 평균 3.49${\pm}$.87점, 여성전문병원은 평균 3.62${\pm}$.92점으로 수행 자신감이 중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간호수행 경험에 따른 수행 자신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44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간호수행 경험을 많이 할수록 수행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모성간호학 임상실습 교육을 위해 다양한 실습기관을 선별하여 실습영역을 확대하고, 직접간호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실습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숙, 조희, 노영숙, 부은희, 안금희 (2006). 학교-병원 협력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임상실무능력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 13, No. 2, pp. 143-154.
  2. 강인애, 이성아, 김원옥, 석소현, 황지인 (2008). m-learning 수업개발과 적용사례 : 간호대학 임상 실습 과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 14, No. 1, pp. 63-72.
  3. 권인수 (2002). 간호학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연구논문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Vol. 32, No. 5, pp. 706-715.
  4. 김계숙, 이남희, 최양자 (2005). 여성건강간호학 임상 메뉴얼, 수문사.
  5. 김연아, 최소영 (2009). 결혼이민여성의 산후 자가간호 지식과 신생아 양육 지식 정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1, No. 4(B), pp. 1883-1894.
  6. 김연하 (2002). 임상실습 종료 후 간호학생의 기본간호술 수행정도와 자신감 - 수행빈도가 낮은 기본간호술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영희, 이윤미 (2009).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1, No. 4, pp. 1939-1951.
  8. 김일옥, 박재순 (2006). 모성간호학 실습교육의 현황 - 4년제 간호대학(학과)을 중심으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 13, No. 2, pp. 143-154.
  9. 김지희, 문대영, 박정현 (2008). 건강-의료계통 관련 전공자를 위한 해부학 교육에서 Blended Learning의 적용 및 효과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0, No. 3, pp. 1431-1447.
  10. 박미영, 김순이 (2000). 전문대 간호학생들의 첫 임상체험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 6, No. 1, pp. 23-35.
  11. 박선남, 이선경 (2008). 간호대학생의 기본간호수기 수행능력의 영향요인, 기본간호학회지, Vol. 15, No. 1, pp. 6-13.
  12. 박영숙, 허명행, 강남미, 김증임, 김혜원, 이숙희, 이은희, 이혜경 (2003). 모성/여성건강간호학 임상실습교재, 현문사.
  13. 송정희, 문명자 (2008). 신규간호사와 간호학생의 간호직무수행도 및 중요도의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Vol. 15, No. 1, pp. 22-33.
  14. 안혜경 (2006).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8, No. 6, pp. 2249-2263.
  15. 이선옥, 엄미란, 이주희 (2007).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 13, No. 1, pp. 90-94.
  16. 이성은 (2001). 일 대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실습경험 분석 및 개선방향 제시 - 모성간호학 임상실습 중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 7, No. 2, pp. 333-348.
  17. 이정희, 성영희, 정연이, 김정숙 (1998).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간호활동시간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 4, No. 2, pp. 249-263.
  18. 조미혜 (2005). 간호학생의 간호활동 경험과 수행자신감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주숙남, 윤미선 (2007). 질식분만 산모와 간호사의 간호요구도 비교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 14, No. 2, pp. 131-142.
  20. Feingold, C. E., Calaluce, M., & Kallen, M. A. (2004). Computerized patient model and simulated clinical experiences: Evaluation with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Nursing Education, Vol. 43, No. 4, pp. 156-163.
  21. Kneebone, R.(2003). Simulation in surgical training: Educational issues and practical implication, Medical Education, Vol. 37, No. 3, pp. 267-275. https://doi.org/10.1046/j.1365-2923.2003.0144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