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 among social anxiety, internet use, social support and peer relationship in early adolescents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인터넷 사용, 사회적 지지 및 또래관계 간의 관계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social anxiety, internet use, social support and peer relationship in early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1361 1st and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and Gyeonggi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Chi-square 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adolescents' social anxiety, internet use, social support and peer relationship differed by their gender. Second, early adolescents' internet use, social support and peer relationship differed by their social anxiety levels. Adolescents with higher levels of social anxiety were more likely to show high frequency of internet use, low social support and poor peer relationships. Third, early adolescents' internet use according to their social anxiety levels had an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peer relationship. Internet use of the middle-level social anxiety group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ocial support, emotional stability, and help in peer relations. In contrast, internet use of the high-level social anxiety group decreased conflict and competition in peer rel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인터넷 사용, 사회적 지지 및 또래관계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천과 경기 소재의 5개 중학교 1,2학년생 총 13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acute{e}$ 사후검증, ${\chi}2$검증, 단순선형회귀분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사회불안, 인터넷 사용, 사회적 지지 및 또래관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수준에 따라 인터넷 사용, 사회적 지지 및 또래관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회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 사용 수준은 높은 반면 사회적 지지와 또래관계는 낮았다. 셋째, 사회불안 수준에 따라 인터넷 사용이 사회적 지지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불안 중집단의 인터넷 사용은 또래관계의 정서적 안정과 도움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낮게 지각하도록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사회불안 상집단의 인터넷 사용은 또래관계의 갈등과 경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민, 이정희(2008). 또래수용, 우정의 질 및 학업수행이 청소년의 사회불안과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지, 9(4), 1747-1767.
  2. 김종범, 한종철(2001). 인터넷 중독 하위 집단의 특성 연구-자존감, 공격성, 외로움,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207-219.
  3. 남영옥(2005).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성비교. 청소년학연구, 12(3), 363-388.
  4. 문혜신(2001). 또래 괴롭힘이 청소년기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5. 문혜신, 오경자(2002).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29-443.
  6. 박지원(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7. 송숙자, 심희옥(2003). 아동의 컴퓨터 게임몰두성향과 심리사회 및 행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4(3), 109-134.
  8. 오경자, 양윤란(2003).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의 심리적 기제 I: 행동억제기질, 부모의 양육태도 및 외상경험의 영향.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22(3), 557-576.
  9. 이소영(2000). 게임의 중독적 사용에 따른 청소년들의 문제해결능력 및 의사소통.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10. 이영자(1995).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11. 이은주(1998).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9(2), 115-137.
  12. 이은해, 고윤주(1999). 학령기 아동을 위한 친구관계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2(2), 225-242.
  13. 정유정, 이숙(2001). 남자청소년의 컴퓨터게임이용과 게임 중독성 및 공격성. 대한가정학회지, 39(8), 67-80.
  14. 최영숙, 김정민(2008). 비합리적 신념과 사회적지지가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103-114.
  15.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3). 인터넷 중독자가 진단검사 (K-척도)와 예방교육프로그램.
  16.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7). 2007년 상반기 정보화 실태조사.
  1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PA.
  18. Anderson, C. A., & Dill, K. E.(2000). Video games and aggressive thoughts, feelings, and behavior in the laboratory and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 772-790. https://doi.org/10.1037/0022-3514.78.4.772
  19. Beidel, D. C.(1998). Social Anxiety Disorder: Etiology and clinical presentation.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59, 27-31.
  20. Bell-Dolan, D. J., Foster S. L., & Christopher, J. S.(1995). Girls' peer relations and internalizing problems: socially neglected, rejected, and withdrawn girl, at risk?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4, 463-473.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404_10
  21. Costello, E, J., Egger, H, L., & Angold, A.(2004). Developmental epidimiology of anxiety disorders. In: Ollendick, T. H., March, J. S. (Eds.), Phobic and anxiety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61-91). N.Y.: Oxford University.
  22. Dewit, D. J., Ogborne, A., Offord, D. R., & MacDonald, K.(1999). Antecedents of the risk of recovery from DSM-III-R social phobia. Psychological Medicine, 29, 569-582. https://doi.org/10.1017/S0033291799008399
  23. Erath, S. A., Flanagan, K. S., & Bierman, K. L.(2007). Social anxiety and peer relations in early adolescence: Behavioral and cognitive factor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5(3), 405-416. https://doi.org/10.1007/s10802-007-9099-2
  24. Garnefski, N., & Diekstra, R.(1996).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family, school, and peers: relationship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5(12), 1657-1664. https://doi.org/10.1097/00004583-199612000-00018
  25. Greco, L. A., & Morris, T. L.(2005). Factors influencing the link between social anxiety and peer acceptance: Contributions of social skills and close friendships during middle childhood. Behavior Therapy, 36, 197-205. https://doi.org/10.1016/S0005-7894(05)80068-1
  26. Greenfield, M. D.(1984). Mind and media: The effects of television, video games, and computer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27. Helsen, M., Vollebergh, W., & Meeus, W. (2000). Social support from parents and friends and emotional problems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3), 319-335. https://doi.org/10.1023/A:1005147708827
  28. Johnson, H. S., Inderbitzen-Nolan, H. M., & Schapman, A. M.(2005). A comparison between socially anxious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youth: A focus on perceived family environment. Anxiety Disorders, 19(4), 423-442. https://doi.org/10.1016/j.janxdis.2004.04.004
  29. Katz. E.(1959). Mass Communication Research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Studies in Public Communication.
  30. Krahe, B., & Moller, I.(2004). Playing violent electronic games, hostile attributional style and aggression related norms in German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27, 53-69.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03.10.006
  31. LaGreca, A. M.(1998). Manual for the social anxiety scal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 Miami, FL: Author.
  32. Newman, B. M., Newman, P. R., Griffen, Sarah, O'connor, Kerry, Spas, & Jayson.(2007). Adolescence, 2(167), 441-459.
  33. Stein, M. B., Fuetsch, M., Muller, N., Hofler, M., Lieb, R., & Wittchen, H. U.(2001). Social anxiety disorder and the risk of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8, 251-256. https://doi.org/10.1001/archpsyc.58.3.251
  34. Subrahmanyam, K., Greenfild, P., Kraut, R., & Gross, E.(2001). The impact of computer use on children's and adolescents' development.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2, 7-30. https://doi.org/10.1016/S0193-3973(00)00063-0
  35. Wittchen, H. U., & Fehm, L.(2001). Epidemiology, patterns of development.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2, 7-30. https://doi.org/10.1016/S0193-3973(00)00063-0
  36. Wittchen, H. U., & Fehm, L.(2001). Epidemiology, patterns of comorbidity, and associated disabilities of social phobia. The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24, 617-624. https://doi.org/10.1016/S0193-953X(05)70254-9
  37. Young, K.(2009). Understanding online gaming addiction and treatment issues for adolescent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37(5), 355-372. https://doi.org/10.1080/01926180902942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