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the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on reducing problematic behaviors and improving social skills of the ADHD children

심리운동놀이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과 사회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for ADHD children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improving ADHD children's social skills and reducing children's ADHD symptoms. Subjects were 11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have ADHD characteristic and low social skill from 00 elementary school in Deagu. 5 children of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and 6 children of control group have any treatment. The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was consisted of the twelve sessions(sixty minutes per session) that included four phases which are building an rapport, cognition of oneself and others, solving problem and improving social skills and re-education.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ocial Skill test and ADHD child scale. The date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of nonparametric statistic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for ADHD children has significant consequences. The consequences showed that the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for ADHD children improved ADHD children's social skills and reduced ADHD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The contoral group has no significant consequences.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과 사회기술 향상을 위한 심리운동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ADHD 특성을 가진 초등학생 11명이고 이를 5명은 실험집단, 6명은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의 아동에게 매회 60분씩 12회기에 걸쳐 심리운동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자료분석은 각 집단별로 사전-사후-추후검사를 분류해서 채점한 후 비모수 검정의 Wilcoxon 부호-서열 검증과 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심리운동놀이치료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집단은 ADHD 아동의 문제행동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고, 사회기술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4주 후에 실시한 추후검사에서도 효과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은 아무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주, 이효신(2002). 미술활동을 통한 ADHD 특성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4(2), 1-16.
  2. 구본훈(1999). 과잉행동장애 아동에 있어서 연속수행검사의 진단적 유용성. 신경정신의학, 38(6), 1432-1446.
  3. 김명희(1989). 과잉행동증과 관련변인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4. 김봉희(2003). 종이 조형활동이 ADHD 아동의 주의력 결핍과 충동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5. 김하정(1998).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나 교사간의 평정일치도.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6. 김희영(1999). 감성지능에 입각한 자기 통제 프로그램이 아동의 충동성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7. 류문화(1996). 자기교시 훈련이 주의집중결함 과잉행동아동의 문제행동 수정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8. 류장훈(2008). ADHD 약물 오남용 우려, 오히려 치료율 낮춘다. 국민일보 2008. 6. 2 기사.
  9. 박난숙(1992). Methylphenidate 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아의 인지, 행동 및 사회, 학습,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0. 박소연, 신혜경, 이부진, 이선아, 이선영, 이숙희, 이윤경, 임호정, 정미림(1994).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아동과 어머니간의 상호작용. 연세대학교 생활과학 대학학술지, 27, 95-97.
  11. 설경임(2003).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주의력 결핍과 충동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2. 송동호, 신동원, 육기환, 전덕인, 김경희, 김성길(1998).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남아에서 중추신경자극제가 주의력과제 수행 중의 대뇌 기능적 국소화에 미치는 효과.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9(2), 218-226.
  13. 송현주, 권미경, 오경자, 김민식, 하은혜, 송동호, 신민섭(2004). ADHD 아동의 회귀억제 결함.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1), 243-251.
  14. 신태영(2003). 독서지도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ADHD 아동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15. 양명희(1998). 아동의 충동적 행동에 대한 인지적 행동주의 치료의 효과. 정서․학습장애 연구, 14(2), 195-214.
  16. 오경자, 이혜련(1989).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증 평가도구로서의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의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8(1), 15-142.
  17. 오경자, 이혜련(1990).아동청소년 문제행동 평가척도의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29(2), 452-462.
  18. 온싱글, 김은정(2003).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사회적 이해와 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793-813.
  19. 유지영, 김춘경(2008). 음악치료기법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과 사회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서학습장애연구, 24(2), 255-274.
  20. 이리라(199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의 또래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1. 이정은(2000). ADHD 아동의 사회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22. 이정은, 김춘경(2002). 사회기술향상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사회기술과 ADHD 주요증상 변화에 미치는 효과. 정서학습장애연구, 19(2), 207-223.
  23. 정선주(200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평가척도에 대한 규준 연구(교사 평정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4. 정종진, 김영화(2002).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충동성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15(2), 403-424.
  25. 정현옥(1999). 비행청소년에서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특성에 관한 연구: 소년원의 절도범과 폭력범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6. 최중옥, 김주창(2002). 주의력 결핍 아동의 행동변화를 위한 원예: 합화프로그램 구성과 실험설계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4(2), 179-200.
  27. 영실, 이은자(2008). 심리운동이 학령 전 아동의 자아 개념, 사회성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14(4), 379-387.
  28. 하은혜(1991).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아의 약물치료에 따른 모-자 상호행동과 인지적․행동적 증상의 변화.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9. 홍강의, 오경자(1980). 소아정신과 외래환자의 과잉운동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 23(8), 85-91.
  30. Barkley, R. A.(1988). The effects of methylphenidate on the interactions preschool ADHD children with their mothe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7(3), 336-341. https://doi.org/10.1097/00004583-198805000-00012
  31. Colleen, A. R.(1995). ADHD and Teens: A parent's guide to making it through the Tough Years. Taylor Publishing Company Dallas, Texas.
  32. Gresham, F. M., & Elliott, S. N. (1990). Social Skills rating system.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ivce.
  33. Guilford, J. P., & Fruchter, B.(1981). Fundamental statistics in psychology and education. New York: Mcgraw-Hill.
  34. Hinshaw, S. P., Henker, B., & Whalen, C. K.(1984). Self-control in hyperactive boys in anger-inducing situations: Effets of congnitive-behavioral training and methylphenidat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2(1), 55-77. https://doi.org/10.1007/BF00913461
  35. Kiphard, E. J.(1995). Mothothopaedagogik. Modernes lernen.
  36. Kiphart, E. J., & Schilling, F.(1997), Koerperkoordinationstest fuer Kinder (KTK), Manuel, Beltz Test.
  37. Schilling, F.(2002). Motodignostisches konzept zur plannung von psychomotorischer foerderung und behandlung. In; Motorik, Verlag Hofmann Schorndorf, Heft 2.
  38. Seewald, J.(2001). Der verstehen-erklaeren in der motologie. In; Mosaikstein der Motologie, Klaus Fischer/Holger Holland Moritz (Red.), Reihe Motorik Band 24, Verlage Karl Hofmann Schorndorf.
  39. Shaywitz, S. E., Schnell, C., Shaywitz B. A., & Towle, V. R.(1986). Yale childrens inventory : an instrument ot assess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s and learning disabilities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4, 347-364. https://doi.org/10.1007/BF00915431
  40. Weiss, G., & Hechtman, I. T.(1993). Hyperactive children grown up(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