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group sandplay therapy for children's anxiety decrease and ego-resilience promotion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불안감소와 자아탄력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was held to inquire the impact of children's anxiety reduction and ego-resilience enhancement of Group Sandplay Therapy. The Group Sandplay Therapy was consisted a touching sand, making personal tray and a making tray in group. The constructions of the group were three groups in total; The male and female mixed group with four children, the female(same sex group), the male(same sex group) in fourth grade. To study the anxiety and ego-resilience, used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RCMAS) and Korean Personality Rating for Children(KPRC) as a research tool. Analyzed the conditions of transitions by comparing negative and positive themes of sand tray treatment. The result of Group Sandplay Therapy had positive effections of reducing children's anxiety and improving children ego-resilence. By looking into the differences in the analysis of mixed sex and same sex group during the session, the male and female mixed group indicates more of negative factors than positive factors. They also appeared positive factors constantly, but it has not increased. On the contrary, more negative elements appear on the same sex group at the initial session. However as the session go along, the negative elements reduced and the positive element of the group appears more. When the group consisted with the same gender, children had a higher therapeutic effect.

본 연구는 아동의 불안감소와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하여 집단모래놀이치료를 구성하여 실시한 후 그 효과성을 검증한 것이다. 집단모래놀이치료는 모래만지기, 개인상자꾸미기, 집단상자꾸미기 전략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의 대상은 4학년 아동 남아 6명, 여아 6명씩 12명으로 남녀 혼성집단 1집단, 남아 동성집단 1집단, 여아 동성집단 1집단으로 구성되었다. 레이놀즈불안척도(RCMAS)와 한국아동인성검사(KPRC)로 불안과 자아탄력성의 사전 사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치료과정에서 나타난 모래상자를 긍정적 주제와 부정적 주제로 구분하여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집단모래놀이치료의 결과,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아탄력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상자 주제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 혼성집단과 동성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혼성집단의 경우에는 회기 초반부터 부정적 요소가 긍정적 요소에 비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회기가 진행되어도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는 모습이었다. 반면 동성집단의 경우에는 초기에 부정적인 주제가 많이 등장했지만 치료가 진행되어 갈수록 모래놀이상자에서 긍정적인 주제가 더 많이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주제가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모래놀이치료에서 동성집단일 경우 치유가 활발히 이루어진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민숙(2002). 자아탄력성, 의사결정유형 및 성패기인유형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 김보애(1994). 환각제 흡입 청소년 재활을 위한 모래상자놀이치료 활용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3. 김보애(2004). 신비스러운 모래놀이치료. 서울: 학지사
  4. 김보애(2006). 만남의 신비. 서울: 가톨릭 출판사
  5. 김보애(2008). 모래놀이여행. 서울: 가톨릭 출판사
  6. 김유숙(1996). 유치원 아동의 심리치료과정을 통한 모래상자놀이의 치료적 의의. 사회과학논총, 2, 291-305
  7. 김지혜, 홍창의, 황순택, 조선미(2006). 한국아동인성평정 척도(KPRC). 서울: 한국 가이던스.
  8. 김태련, 강우선, 김도연, 김은정, 김현정, 박랑규, 방희정, 신문자, 신민섭, 이계원, 이규미, 이정숙, 이종숙, 장은진, 조성원, 조숙자 공역. (2009). 모래놀이치료핸드북. Barbara, A. Turner(2005). The handbook of sandplay Therapy. 서울: 학지사
  9. 박지연(2008). 우울.불안과 위축행동을 보이는 유아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10. 서경희, 변찬석(1999).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아동의 외로움, 사회적 불안, 우울. 특수교육연구. 22. 77-98
  11. 배영란(2003). 알코올중독자 자녀 심리재활을 위한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림대학교 대학원.
  12. 서미화(2007).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정서지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3. 석혜선(2005). 모래놀이치료가 신체학대 받은 아동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14. 성영혜(2000). 치료놀이 I. 서울 : 형설출판사
  15. 송영혜, 이명희(1997). 유치원 부적응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 재활과학연구, 13(1), 59-75
  16. 송영혜, 이은진(2000). 유아기 아동의 모래놀이 표현 연구. 놀이치료연구, 4(2), 29-44
  17. 오세선(2009). 부부모래놀이치료가 부부 조망수용 증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18. 유미숙, 유재령, 우주영, 전정미 (역). (2009). 집단놀이치료핸드북. Daniel & Linda(1999). The handbook of group play therapy. 서울: 시그마프레스.
  19. 유영의(1994). 부적응행동 유아에 대한 모래상자놀이 적용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 이수경(2009). 노인들의 집단모래놀이치료 효과 : 우울, 고독감,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1. 이순정(2006).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시설아동의 자존감 향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22. 이정윤, 박중규 (역). (2002). 불안하고 걱정많은 아이, 어떻게 도와줄까?. Ronald, M. Rapee. Susan, H. Spence, Vanessa, Cobham, & Ann, Wignall(2000). Helping your anxious child: A step-by-step guide for parents. 서울: 시그마프레스.
  23. 천은영(2005). 모래놀이 활동에서 교사개입과 보조자료 활용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24. 최진숙, 조수철(1990). 소아불안의 측정. 신경정신의학, 29(3), 691-702
  25. 한지혜(2008).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 아동의 분노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대학원.
  26. 山中康裕, 김유숙(2005). 모래놀이치료의 본질. 서울: 학지사
  27. Block, J. H., & Block, J.(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s.), Minnesota Sympasia on Child Psychology, 13, 39-101
  28. Block, J., & Kremen, A. M.(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29. Carmichael, K. D.(1994). Sand Play as an elementary school strategy. Elementary School Guidance and Counseling, 28, 302-307.
  30. Crozier, W. R., & Lynn, E. A.(2001). International handbook of social anxiety. New York: John Wiley & Sons, Ltd.
  31. Graziano, A. M.(1979). Child without tomorrow. Henry Holt & Company
  32. Kalff, M.(1993). Twenty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interpretation of a snadplay. Journal of Sandplay Therapy, 2(2), 17-35.
  33. Keller, M. B., Labori, P. W., Endicott J., Coryell, W., & Klerman, G. L.(1983). "Double depression": Two-year follow-up.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0, 689-694. https://doi.org/10.1176/ajp.140.6.689
  34. Klohne, E. C.(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2, 1067-1079.
  35. Kumpfer, K. L.(2006). Resuience in adolescent: Kluwer academic. New York.
  36. LaCreca, A. M., & Stone, W. L.(1993).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revised: Factor structure and coccurrent validity. Jou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2, 17-27.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201_2
  37. Ollendick, T. H.(1983).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vised fear schedule for children (FSSC-R).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1, 685-692. https://doi.org/10.1016/0005-7967(83)90087-6
  38. Ollendick, T. H., & Yull, W.(1990). Depression in british and american children and its relation to anxiety and fea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8, 126-129. https://doi.org/10.1037/0022-006X.58.1.126
  39. Pine, D. S., Cohen, P., & Brook, J.(1998). Emotional Problems during youth as predictors of stature during early adulthood : Result from a prospective epidemilogic study. Pediatrics, 99, 499-500
  40. Stellard, P., Valleman, R., Langsford, J., & Baldwin, S.(2001). "coping and paychological distress in children involved in road traffic accident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0, 197-208. https://doi.org/10.1348/014466501163643
  41. Taylor, J. A.(1951). The relationship of anxiety to the conditioned evelid respons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42, 183-188, cited in Reynolds and Richmond(1978). https://doi.org/10.1037/h0061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