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cultural adjustment, peer relationship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적응, 또래관계 및 이중문화수용 간의 관계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examining explanatory power about bicultural adjustment on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The research subjects are 174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t elementary schools where are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icultural adjustment stress has difference according to mother's native country. The positive peer relationship has difference between school years. The negative peer relationship has difference according to dwelling area. Second, the bicultural adjustment stress ha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peer relationship,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peer relationship.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has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peer relationship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peer relationship. Third, the bicultural adjustment stress and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explained the positive/negative peer relationship. This study has limitation of having insufficient research subjects, and of being restricted regionally. However, the bicultural adjustment could be known to be main variables of predicting peer relationship, through confirming explanatory power of positive peer relationship, negative peer relationship and sub-factor for each.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또래관계에 대한 이중문화 적응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 소재 초등학교의 다문화가정 아동 174명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문화 적응 스트레스는 모의 출신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고, 긍정적 또래관계는 학년 간에, 부정적 또래관계는 거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둘째, 이중문화 적응 스트레스는 긍정적 또래관계와 부적상관, 부정적 또래관계와는 정적상관이 있고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긍정적 또래관계와 정적상관, 부정적 또래관계는 부적상관이 있다. 셋째, 이중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긍정적/부정적 또래관계를 설명하였다. 연구대상이 지역적으로 국한되어 있다는 제한점이 있으나, 긍정적 또래관계와 부정적 또래관계, 이들의 각 하위요인별 설명력의 확인을 통해 이중문화 적응이 또래관계를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임이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률(2009). 가족 및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위덕대학교 대학원.
  2. 고아라(2005). 수도권 초등학생의 인종 편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3. 교육과학기술부(2008). 다문화가정 자녀 현황.
  4. 김민정(2008). 국제결혼 가족과 자녀의 성장: '여러 종류' 의 한국인이 가족으로 살아가기. 한국문화인류학, 41(1), 51-59.
  5. 김윤나(2008).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유연성에 관한 통합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6. 남선혜(2009). 전래동화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7. 노경란, 방희정(2009). 다문화시대 한국 초등학생의 인종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발달과 태도변화. 한국심학회, 15(1), 49-79.
  8. 노충래, 홍진주(2006).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사회 적응실태 연구: 서울경기지역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를 중심으로. 아동복지학, 22, 127-159.
  9. 도경숙(2004). 부모-자녀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대인지능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0. 박샤론(2009). 여성 결혼이민자 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11. 박선희(2009).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 스트레스 완화와 또래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12. 박순희(2009). 다문화가족 아동의 특성과 사회적응. 한국아동복지학, 29, 125-154.
  13. 박정원(2007). 초등학생의 국제결혼자녀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손한나(2007). 유학생의 자기결정적 동기, 문화적응, 정신건강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5. 손혜진(2010). 다문화가족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정체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16. 신혜정(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7. 안은미(2007). 농어촌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8. 오성배(2005). 한국 사회의 소수 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Kosian)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6(4), 137-157.
  19. 은선경(2010).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기능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 이경은(2008). 집단미술치료가 이주노동자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1. 이영주(2007). 국제 결혼한 여성의 자녀에 대한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83-105.
  22. 인봉숙(2001). 한일 국제결혼가정 2세의 한국생활 적응 실태조사 연구: 천안시 거주 통일교인 가정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3. 정하성, 우룡(2007).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실태 및 사회적응 프로그램 개발 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4. 천숙향(2009).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관계와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결대학교 대학원.
  25. 최선화(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전 충남.북 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26. 통계청(2010). 2009년 혼인통계 결과.
  27. 한정애(2009).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정분석.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28. 황매향, 고홍월(2010). 초등교사를 위한 다문화상담 길잡이. 학지사.
  29. Berry, J. W.(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 5-34.
  30. Berry, J. W., & Kim, U.(1987). Acculturative and mental health, cross-cultural psychology and health: Towards applications. In P. Dasen, J. W. Berry & N. Sartorius. London: Sage.
  31. Bierman, K. L., & Welsh, J. A.(1997). Social relationship deficits. In E. J. Mash, & L. G. Terdal (Eds.), Assessment of childhood disorders. (3rd Edition)(pp.328-365).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2. Furman, W., & Buhrmester. D.(1985).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1016-1024. https://doi.org/10.1037/0012-1649.21.6.1016
  33. Hovey, J. D., & King, C. A.(1996).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nicidal ideation among immigrant and second generation Latino adolescents.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elescents Psychiatry, 35(9), 1183-1192. https://doi.org/10.1097/00004583-199609000-00016
  34. Kosic, A., Mametti, L., & Sam, D. L.(2005). Self-monitoring: A moderating role between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adaptation of immigr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0, 141-157.
  35. Kuo, W. H., & Tsai, Y.(1986). Social networking, hardiness and immigrant's mental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7(2), 133-149. https://doi.org/10.2307/2136312
  36. Rumbaut, R. G.(1994). The crucible within: Ethnic identity, self-esteem and segmented assimilation among children of immigrants.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4(2), 748-794.
  37. Sam, D. L.(2000). Psychological adaptation of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0(1), 5-25. https://doi.org/10.1080/00224540009600442
  38. William, C. L., & Berry, J. W.(1991). Primary prevention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refugees: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theory and practice. American Psychologist, 46(6), 632-642. https://doi.org/10.1037/0003-066X.46.6.632
  39. Wright, A. M.(1998). I'm Chocolate, You're Vanilla. San Francisco: Jossey-b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