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on Model Verification of Interpersonal Skills on Impulsivity, Aggression and Game Addiction: Comparative analysis on School levels

충동성, 공격성과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모형검증: 중고등학교급별 비교

  • Received : 2010.09.09
  • Accepted : 2010.10.02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is study was to verify a related model between among Impulsivity, Aggression, Gam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ggression was selected as prerequisite variables. And Interpersonal Skills was selected as a mediated variable. Which affected Game Addictio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ath coefficients of (Impulsivity$\rightarrow$Interpersonal Skills), (Impulsivity$\rightarrow$Game Addiction), (Aggression$\rightarrow$Skills), (Aggression$\rightarrow$Game Addiction), (Interpersonal Skills$\rightarrow$Game Addiction) were all significant. Second, it was proved that Impulsivity and Aggression played as inducting factors to their Game Addiction tendencies, and perceived Interpersonal Skills played as inhibiting factors which leads to decrease their Game Addiction tendencies. Third, the mediator effect of perceived Interpersonal Skills in the relation between Impulsivity, Aggression and Game Addiction was significant. Fourth, divided in school levels by and the result which analyzes,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terpersonal skills did not affect in game addiction. So there was not also a mediating effect. The high student the interpersonal skills which listens influences in game addiction. And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s was. Therefore for the prevention and a treatment of game addiction the method to raise a interpersonal skills will be effective in the high students.

본 연구는 충동성, 공격성과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중고등학교급별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연구모형에 제시된 5개의 경로[(충동성$\rightarrow$대인관계기술), (충동성$\rightarrow$게임중독), (공격성$\rightarrow$대인관계기술), (공격성$\rightarrow$게임중독), (대인관계기술$\rightarrow$게임중독)]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행변인인 충동성과 공격성은 청소년의 게임중독 경향성을 증가시키는 유발요인 역할을 하며, 대인관계기술은 청소년의 게임중독 경향성을 감소시키는 억제요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동성, 공격성과 게임중독 간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급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중학생들은 대인관계기술의 높고 낮음이 게임중독에 인과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따라서 매개효과도 입증되지 않은 반면, 고등학생들은 대인관계기술이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 기술의 매개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게임중독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하여 대인관계기술을 증진해주는 개입방안은 고등학생들에게 특히 효과적일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시형, 이세용, 김은정, 오승근,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과 자녀교육," 서울: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2000년.
  2. 권순희, 권순녀, "부모의 양육태도, 학습된 무기력이 컴퓨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3권, 제 4호, 59-69쪽, 2008년 7월.
  3. M. D. Griffiths., "Amusement machine playing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 comparative analysis of video games and fruit machines," Journal of Adolescences, Vol. 14, pp. 53-73. 1991. https://doi.org/10.1016/0140-1971(91)90045-S
  4. V. Brenner,, "Update on the internet usage survey," Paper presented at the 105th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ugust 15 1997, Chicago, Illinois. 1997.
  5. 송수민, 박승민, "인터넷중독 유형별 개입 프로그램 개발 연구보고서," 청소년상담연구.143,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08년 12월.
  6. 오윤선,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이 우울, 공격성,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환경시설학회논문집, 제6권, 제 4호, 3-15쪽, 2008년 11월.
  7. 이수진,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문제행동성향과의 관계: 자기 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을 이용한 성별간 다집단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 15권, 제 3호, 237-257쪽, 2008년 6월.
  8. 한상훈, 왕소정,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과 공격성에 관련된 조절변수의 효과 검증," 교육종합연구, 제 7권, 제3호, 51-72쪽, 2009년 12월.
  9. D. D. Buchman,, "Video and computer games in the 90's: Children's time commitment & game preference," Children today, Vol, 24, No. 1, pp. 12-15, 1996.
  10. J. Colwell., & J. Payne,, "Negative correlates of computer game play in adolescent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 91, No. 3, pp. 295-313, 2000. https://doi.org/10.1348/000712600161844
  11. 권영길, 이영선,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이 인터넷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 17권, 127-135쪽, 2009년 6월.
  12. K. Roe., & D. Muijs., "Children and computer games: A profile of the heavy user," European, 1998.
  13. 김교정, 서상현, "청소년 인터넷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환경적 변인의 경로모형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 17권, 제 1호, 149-179쪽. 2006년 6월.
  14. 신준섭, 이충환,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자기 통제력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 17권, 제 8호, 105-128쪽, 2010년 8월.
  15. 오대연,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종류별 게임중독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년 12월.
  16. J. Chumbley., & M. Griffiths., "Affect and the computer game player: the effect of gender, personality and game reinforcement structure on affective responses to computer game play,"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 9, pp. 308-316, 2006. https://doi.org/10.1089/cpb.2006.9.308
  17. 이형초, "인터넷게임중독의 진단척도 개발과 인지행동치료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년 12월.
  18. 김유정,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 개발 및 심리사회적 취약성 요인,"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년 8월.
  19. C. E. Sanders., T. M. Field., M. Diego,, & M. Kaplan., "The relationship of internet use to depression and social isolation among adolescents,", dolescence, Vol. 35, No. 2, pp. 237-242. 2000.
  20. S. Turkle,, "Virtuality and its discontents: Searching for community in cyberspace," The American Prospect, Vol. 24, pp. 50-57, 1996.
  21. J. E. Katz,, & P. Aspden., "A nation of stranger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0, No. 12, pp. 81-86, 1997. https://doi.org/10.1145/265563.265575
  22. R. Kraut., V. Lundmark,, M. Patterson., S. Kiesler., D. Mukopadhyay., & W. Scherlis., "Internet paradox: A social technology that reduces social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American Psychologist, Vol. 53, No. 9, pp. 1017-1031, 1998. https://doi.org/10.1037/0003-066X.53.9.1017
  23. R. A. Davis.,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17, No. 2, pp. 187-195, 2001년. https://doi.org/10.1016/S0747-5632(00)00041-8
  24. 김동욱, "인터넷 이용충족, 플로우 및 개인적 성향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년 12월.
  25. 김교헌, "인터넷 게임중독: 자기조절모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 13권, 제 3호, 551-569쪽, 2008년 9월.
  26. L. Armstrong, J. Phillips. L., & Saling. "Potential Determinants of Heavier Internet Usag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53: 537-550. Feb. 2005.
  27. 조해연,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과 성격특성변인 연구 -자기효능감, 자기통제감, 공격성, 충동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년 12월.
  28. 박은리, "PC게임과 공격특성이 공격의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년 12월.
  29. 조춘범,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이 폭력비행에 미치는 영향과 현실지각의 조절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제 17권, 제 8호, 129-155쪽, 2010년 8월.
  30. R. D. Peters,, & G. A. Bernfeld,, "Reflectionimpulsivity and social reasoning,"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19, pp. 78-81, 1983. https://doi.org/10.1037/0012-1649.19.1.78
  31. N. G. Guerra,, & R. G. Slaby,, "Cognitive mediators of aggression in adolescent offender: 2. Interven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26, pp. 269-277, 1990. https://doi.org/10.1037/0012-1649.26.2.269
  32. R. G. Slaby,, & N. G. Guerra,, "Cognitive mediators of aggression in adolescent offender: 1. Assess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24, pp. 580-588, 1988. https://doi.org/10.1037/0012-1649.24.4.580
  33. J. R. Asrnow,, & J. W. Callan,, "Boys with peer adjustment problems: Social cognitive process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53, pp. 80-87, 1985. https://doi.org/10.1037/0022-006X.53.1.80
  34. J. E. Lochman., & L. B. Lampron., "Situational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and self-esteem of aggressive and nonaggressive boy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 14, pp. 605-617, 1986. https://doi.org/10.1007/BF01260527
  35. K. S. Young,, & R. C. Rodgers., "Internet addiction: Personality Traits Associated with Its Development," http://netaddiction.com/articles/ personality_correlates.html.
  36. H. Rheingold., "The virtual community home steading on the electronic frontier reading," MA Addison-Wesley, 1993.
  37. 하지현, "청소년 PC중독의 원인분석," 청소년상담문제 연구보고서.39, 한국청소년상담원, 14-25쪽, 2000년 5월.
  38. M. D. Griffiths., "Internet Addiction: Time to be taken seriously?," Addiction Research, Vol. 8, No. 5, pp. 413-418, 2000. https://doi.org/10.3109/16066350009005587
  39. 이현수, "충동성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1992년.
  40. A. H. Buss., & M. Perry.,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63, No. 1, pp. 452-459, 1992. https://doi.org/10.1037/0022-3514.63.3.452
  41. 김현진, "인터넷 중독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년, 7월.
  42. D. G. Perry,, J. C. Williard,, & L. C. Perry,, "Peer's perception of the consequences that victimized children provide aggressors," Child Development, Vol. 61, pp. 1310-1325, 1990. https://doi.org/10.2307/1130744
  43. 박정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적 사용 및 영향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년, 12월.
  44. 정은희, "인터넷 채팅중독 청소년의 공격성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대인문제해결능력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년, 6월.
  45. R. L. Selman., L. N. Schultz., M. Nakkula., D. Barr., C. Watts., & J. Richmond., "Friendship and fighting: A developmental approach to the study of risk and prevention of violenc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 4, pp. 529-558, 1992.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4867
  46. 정혜명, 이동수, "인터넷 게임 사용실태에 따른 게임중독 경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제 13권, 제 2호, 2008년 3월.

Cited by

  1. Effects of Self Esteem, Impulsive Behavior and Mental Health on Cellular 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vol.14, pp.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200
  2.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A Meta-Analysis of Empirical Studies in Korea vol.55, pp.6, 2014, https://doi.org/10.3349/ymj.2014.55.6.1691
  3. A Preliminary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eer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 Adolescents at Risk for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vol.29, pp.2, 2018, https://doi.org/10.5765/jkacap.2018.29.2.40
  4. 온라인 게임 사용자의 위험지각과 자기효능감에 따른 게임 중독 예방행위 간 차이분석 :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위험지각태도 프레임웍을 기반으로 vol.22, pp.2, 2010, https://doi.org/10.21219/jitam.2015.22.2.019
  5. 게임중독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사적 자의식의 매개모형검증 vol.16, pp.4,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250
  6. 청소년 게임중독의 보호요인으로서 청소년과 부모 및 학교·학원 교사와의 관계의 영향: 초·중·고 학교급별 비교분석 vol.20, pp.8, 201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8.298
  7. The Effect of Stress on Compulsive Sexual Behavior Disorder: Active Coping Strategy and Self-Control as Mediators vol.18, pp.10, 2021, https://doi.org/10.30773/pi.2021.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