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PBL model and Analysis of its Effect in Engineering Design Instruction

공학설계수업에서의 PBL 모형 개발 및 효과 분석

  • 김성봉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
  • 홍효정 (제주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 Received : 2010.09.15
  • Accepted : 2010.11.19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In 21th century moving rapidly up to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are preferentially required to engineers. Though there may be various approaches to develop such abilities, PBL instruction method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develop such abilities. Recognizing this, one 'JPBL' model was constructed and introduced in this study. The model was developed independently based general existing PBL models and applied to university students to analyze its effectiveness in the aspect of class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results,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the model development were discussed.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진전이 가속화 되는 21세기에 공학도들에게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이 무엇보다 강조되고 있는데, 이러한 능력 개발을 위한 접근방식은 다양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이 그러한 접근방식에 있어 하나의 효과적인 대안으로 인식하고, 기존의 PBL모형에 기초하지만 대학 공학설계수업에 적합하도록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그 효과를 수업현장에서 검증해 본 'JPBL' 모형을 소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효과분석 결과, JPBL 수업을 받기 전과 후의 수업만족도와 조직몰입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양적인 결과는 질적자료 분석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터해 JPBL 모형 개발의 의미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우리시대의 구성주의, 서울: 문음사, 2003.
  2. 강인애, 정준환, 정득년, PBL의 실천적 이해, 서울: 문음사, 2007.
  3. 김민경, PBL상황에서 조직몰입이 학습성과 및 수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006.
  4. 김병제, 공과대학생을 위한 창의설계입문, 서울: 인터비젼, pp. 1-11, 2004.
  5. 박민정, 의학교육과정에서 PBL 수업의 적용 효과 연구: 수업후기와 자기평가 및 수업과정 평가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제6권, 제28호, pp. 225-252, 2010.
  6. 봉현철, 액션러닝 교수법 워크숍, 제주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2009.
  7. 설승기. 공학교육사례: 창의적 공학설계, 공학교육연구, 제8권, 제1호, pp. 9-13, 2001.
  8. 송동주, 창의적, 체계적인 공학설계교육의 필요성, 공학교육, 제17권, 제1호, p. 17, 2010.
  9. 신좌섭, PBL 수업적용 워크숍, 숙명여자대학교 교수학습센터, 2006.
  10. 윤관식, 이병철, 공학설계교육에서 학습과 전이간의 관계성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제12권, 제3호, pp. 3-12, 2009.
  11. 이태식, 전영준, 이동욱, 박은수, 공과대학 캡스톤 디자인(창의적 공학설계)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학습 만족도 조사, 한국공학교육학회, 제12권, 제2호, pp. 36-50, 2009.
  12. 장경원, 공학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실행을 위한 사례연구, 공학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pp. 96-106, 2009.
  13. 장정아(2005), 문제기반학습 실행을 위한 교수자 역할에 대한 이론적 탐색, 교육발전연구, 제21권, 제1호, pp. 102-124, 2005.
  14. 최정임, 대학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1: 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23권, 제2호, pp. 35-61, 2007.
  15. 한국공학교육인증원. 공학인증기준 2005 (KEC 2005), ABEEK-2006-AB-020, 2006.
  16. 홍효정, 웹기반 협력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고 학습스타일에 따른 이질적인 팀 구성방법이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006.
  17. 홍효정, 문제기반학습을 활용한 공학설계입문 운영사례, 한국공학교육학회추계학술대회, p. 103, 2007.
  18. 황선영, 성찰일지에 기초한 간호학생의 문제중심학습 경험,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1호, pp. 65-76, 2005.
  19. ABET, Engineering Accreditation Commission, ABET, Inc, 2007.
  20. Barrows, H. S.,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m for the preclinical years. New York: Springer, 1985.
  21. Barrows, H. S., Practice-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springfield,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994.
  22. Stepien. W., & Gallagher. S. Problem-based learning: As authentic as it gets. Educational Leadership, Vol.50, No.7, pp. 25-28, 1993.
  23. Torp, L., & Sage. S., Problems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2 education(1st Ed), Alexandria,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ASCE), 1998.
  24. Torp, L., & Sage. S., Problems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6 education(2nd Ed).Alexandria,Virginia:Association of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2.
  25. Savin-Baden, M. & Major, C. H., Foundations of problem-based learning. Society for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 NY: Open University Press, 2004.
  26. Smith K.A., Teamwork and project management, 2nd edition. McGraw Hill, New York, NY, 2004.

Cited by

  1. Mode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lass Design for Family and Resource Management Using Problem-Based Learning: Focusing on Case Study of “Leisure Culture and Life Management” Class vol.52, pp.6, 2014, https://doi.org/10.6115/fer.2014.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