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bles Associated with Employment Barri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장벽과 관련 변인

  • Lee, Ji-Hy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yung, Chyul-Young (Department of Vocational Education & Workforce Development /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vels of employment barri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barriers and its variable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2,243 senior-yea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of which 850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sample. The survey instrument was used in the research for data collection. The survey instrument includes the following scales; employment barriers scale, student characteristic scale, job-seeking efficacy scale, educational aspiration scale, career indecision scale, school-life characteristic scale and family characteristic scale. The data was collected between 19 Oct and 5 Nov 2009 through mail responses or interviews. A total of 1,038 results were collected and a total return rate of 87.2% was achieved. From the 1,038 results, 767 were filtered out for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the analysis: 1)employment barriers of Korea's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ay be considered relatively high because of discrimination and lack of preparation. 2)the employment barriers shows the diversity under the sex and major of students. 3)job-seeking efficacy, educational aspiration, career indecision, high school records, work experience,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number, education level of parents, level of household incom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urned out to be less relevant. 4) employment barriers th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were all except from educational aspiration,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number, and education level of mother. 5)the four factors that explain the employment barri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career indecision, job-seeking efficacy, high school records, and work experience. 6)Support for various work experience 7)Form policies that will help male students not to worry about military service once they get a job. 8)Carry out special sessions that address topics such as the way to write resumes, interview preparation, and image making, especially to improve male students' job-seeking efficacy. 9)Build systematic career education, career advice center and job experience to help students make decisions to choose jobs.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취업장벽 수준을 측정하고, 취업장벽과 관련된 변인과 그들의 설명력을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초 중등교육법시행령 제91조에 근거한 시 도 교육청에 지정된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들이고, 모집단은 총 125개교의 특성화 고등학교의 3학년 학생 22,243명이었으며, 유층화 군집표집과 유층화 비율표집을 활용하여 총 850명을 표본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우편 및 방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고, 불성실 및 무응답 질문지를 제외한 767부가 최종 분석에서 사용되었으며, 회수율은 87.2%였다. 자료의 분석은 기 술 통계 및 추리통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장벽 수준은 보통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며, 차별, 취업준비 부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 및 계열에 따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장벽 수준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남학생>여학생, 그리고 공업 > 상업 관광 > 가사보건 > 농업 계열 순으로 취업장벽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구직효능감, 교육포부, 진로미결정, 학교성적, 취업관련경험, 자격증 수, 부모의 교육수준, 가구소득 수준은 다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취업장벽은 교육포부, 자격증 수, 어머니의 교육수준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0.01의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구직효능감과 취업장벽은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진로미결정 변인과 취업장벽간 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장벽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으로는 진로미결정, 구직효능감, 성적, 취업관련경험으로 총 4개의 변인이었으며, 특히 진로미결정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월영. (2006). 중.고령실업자의 취업장벽이 취업의식저해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향자. (1992).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고형일. (1978). 고등학교 학생의 교육포부를 결정하는 사회심리학적 요인의 탐색.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교육인적자원부. (2007). '희망을 실현하는' 실업계고 육성 전략. 교육인적자원부.
  5. 교육과학기술부. (2008). 전문계고 발전을 선도하는 한국형 마이스터고 육성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 (2009). 특성화 고등학교 현황. 교육과학기술부 내부자료.
  7. 김경근, 변수용. (2006). 한국 사회에서의 상급학교 진학 선택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6(4), 1-27.
  8. 김근옥. (1996). 실업계 여고생의 학업성적과 취업전략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득제. (2009). 장중년 실업자의 취업장벽과 행동유형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병숙. (2009). 인간과 직업 I, II. 서울: 시그마프레스.
  11. 김선중. (2004).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진로장벽의 관계유형과 진로자기효능감, 희망, 삶의 의미와의 관계. 학생생활연구, 18(4), 75-99.
  12. 김은영. (2001).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D)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정숙, 황여정. (2007). 일반계고등학생의 직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3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4. 김혜정. (2005). 청년층의 취업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희수. (2004).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효과연구. 진로교육연구, 17(1), 185-197.
  16. 나승일.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고 육성.지원 프로그램 개발. 교육인적자원부.
  17. 나승일, 정철영, 김진모, 안강현, 한홍진, 김기용 등 (2008). 광주광역시 전문계 고등학교 특성화 및 종합발전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1), 83-117.
  18. 나승일. (2009). 정부부처 위탁지원 특성화고 운영 활성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19. 배주윤. (2008).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손은령. (2001).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송달용. (2007). 특성화 고등학교 평가준거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오세규. (2003). 대졸자의 취업확률 결정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오혜은. (2000). 실업자의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옥준필. (1998). 고등학교의 특성화 방안. 고등학교 직업교육 방향 설정을 위한 심포지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5. 윤창호. (2005). 직업훈련자가 지각하는 취업장벽요인에 대한 반응분석.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성식. (2007).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이숙. (1999).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계획사례에 의한 교육요소의 특성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이지혜. (2010).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장벽과 관련 변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임천순 외. (1996). 실업계 고등학교 발전방안 연구: 고등학교 특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교육부.
  30. 장기영. (2008). 대학 졸업자의 첫 노동시장 이행 성과 결정요인: 사회경제적 배경, 교육특성 및 이행준비 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전하람. (2006). 학교 내 의미있는 타인이 교육포부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정철영. (1997). 실업계고등학교의 성격 규정. 직업교육연구, 16(2), 35-50.
  33. 정철영, 김진모, 최홍영, 이광호, 장영, 이명훈 등. (2008). 울산광역시 전문계고등학교 종합발전방안. 울산광역시 교육청.
  34. 정철영 외. (2009). 특성화 전문계고 1:1 맞춤형 컨설팅 결과 보고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35. 중소기업청. (2009). 중소기업청 내부자료.
  36. 채창균. (2006). 전문계 고교 졸업생의 진로 선택. 제2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7. 학교알리미. (2009). 초.중등 교육정보 공시서비스. Retrieved June 18, 2009, from http://www.schoolinfo.go.kr
  38. 황매향, 이은설, 유성경. (2005).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 타당도 검증. 상담학연구, 6(4), 1205-1223.
  39. Corbiere, M., Mercier, C., & Lesage, A. (2004). Perceptions of barriers to employment, coping efficacy, and career search efficacy in people with mental illnes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2(4), 460-478. https://doi.org/10.1177/1069072704267738
  40. Crites, J. O. (1969).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41. Hoffmann, L. L., Jackson, A. P., & Smith, S. A. (2005). Career barriers among Native American students living on reservation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2(1), 31-45. https://doi.org/10.1177/0894845305277038
  42. Kenny, M. E., Gualdron, L., Scanlon, D., Sparks, E., Blustein, D. L., & Jernigan, M. (2007). Urban adolescents' constructions of supports and barriers to educational and career attain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4(3), 336-343. https://doi.org/10.1037/0022-0167.54.3.336
  43. Lent, R. W., & Brown, S. D. (2000).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1), 36-49. https://doi.org/10.1037/0022-0167.47.1.36
  44. Luzzo, D. A. (1993). Ethnic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Development, 21, 227-236. https://doi.org/10.1002/j.2161-1912.1993.tb00233.x
  45. Luzzo, D. A. (1996).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barriers and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2(4), 239-248. https://doi.org/10.1177/089484539602200402
  46. Luzzo, D. A., & Hutcheson, K. G. (1996). Causal attributions and sex differences associated with perceptions of occupational barrier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5, 124-130. https://doi.org/10.1002/j.1556-6676.1996.tb02322.x
  47. McWhirter, E. H. (1997). Perceived barriers to education and career: Ethnic and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0(1), 124-140. https://doi.org/10.1006/jvbe.1995.1536
  48. McWhirter, E. H., Rasheed, S., & Crothers, M. (2000). The effects of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on social-cognitive variabl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3), 330-341. https://doi.org/10.1037/0022-0167.47.3.330
  49. Osipow, S. H., Carney, G. C., & Barack, A. (1976). A scale of educational vocational undecidedness: A typological approa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9(2), 233-243. https://doi.org/10.1016/0001-8791(76)90081-6
  50. Swanson, J. L.. & Tokar, D. M. (1991).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8(1), 92-106. https://doi.org/10.1016/0001-8791(91)90020-M
  51. Swanson, J. L., & Daniels, K. K. (1995).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Revised. Unpublished manuscrip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Carbondale.
  52. Swanson, J. L., Daniels, K. K., & Tokar, D. M. (1996). Assessing perceptions of career-related barriers: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219-244.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207
  53. Tien, H. S., Wang, Y., & Liu, L. (2009). The role of career barriers i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choice behavior in Taiwan.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7(3), 274-288. https://doi.org/10.1002/j.2161-0045.2009.tb00112.x
  54. Wanberg, C, R., Watt, J. D., & Rumsey, D. J. (1996). Individuals without jobs: An empirical study of job-seeking behavior and reemploy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 76-87. https://doi.org/10.1037/0021-9010.81.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