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Alcoholic Family's Family Resilience on Family Adaptation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 Ahn, Yeon-Sun (Graduate School of Human Environmental Sciences, Yonsei University) ;
  • Jun, Hey-Jung (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Yonsei University)
  • 안연선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
  • 전혜정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effect of the alcoholic family's family resilience on family adaptation. A survey was carried out on 100 wives of alcoholics. To measure family resilience, this paper used a measurement tool based on the theory of Walsh(1998). Family adaptation was measured using a 10-item scale on family adaptation from among FACES III(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III), a scale for evaluating family cohesion and adaptation developed by Olson(1991). To discover the effect family resilience(family belief systems, organizational patterns, communication processes) has on alcoholic family's family adapta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amily belief systems, organizational patterns, and communication processes were shown as sub-dimensions of family resilience that affected alcoholic family's family adaptation. Successful family adaptation of an alcoholic family requires enhancement of family resilience - namely, the positive outlook of alcoholic family's on adversity, good use of family's strengths, a sense of fellowship and closeness due to stable role division in family, flexible and effective use of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frank and positive communication among family.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원(2003). 소아암 환아 가족의 적응에 관한 연구 : 가족탄력성 개념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구정화(2005). 한 부모 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사회복지전공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경빈.한광수.이정국.이민규.김유광.김철규(1991). 한국형 알코올 중독 선별검사 제작을 위한 예비연구(III). 신경정신의학, 30, 569-581.
  4. 김경우(2007). 지역사회 알코올문제 실태와 사회복지적 접근. 한국사회복지학회, 3, 248-277.
  5. 김규수(2006). 알코올 중독자의 가족기능과 대처행동이 알코올 중독자의 병력에 미친 영향. 사회복지개발연구, 47, 101-125.
  6. 김미옥(2001).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 가족탄력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김성이(2002). 약물중독총론. 서울: 양서원.
  8. 김은지(2007). 정신분열 환자의 개인.사회적 기능과 가족스트레스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전공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혜련.전선영.김정희(2004).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자인 여성 ACOA의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가족기능, 부모와의 애착,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11, 317-343.
  10. 김혜림(2006). 자폐아동 가족탄력성과 가족적응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희국.현진희(2007). 알코올중독자 가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가족의 거부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9, 97-119.
  12. 미국정신의학회(1995).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4판 DSM-IV-TR. 하나의학사.
  13. 박병강(2000). 알코올리즘 선별검사 도구들의 진단 효율 비교. 충남대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박지헌(2009).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보건복지부(2006). 보건복지부 연구용역사업 보고서 :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16.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2008).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보고서.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17. 서혜선.양경숙.김나영.김희영.김미경(1999), SPSS를 활용한 회귀분석. SPSS 아카데미.
  18. 오무근(2009).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 가족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사회복지전공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우수명(2005). 마우스로 잡는 SPSS 12.0. 인간과 복지.
  20. 유용식(2007). 치매노인가족의 적응에 관한 연구 :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전공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윤명숙(1997). 알코올 중독 남편의 단주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윤수희(2004). 가족탄력성이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전공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선애(2004). 만성질환아동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은희.손정민(2008). 가족탄력성이 만성질환아 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7, 97-120.
  25. 이은희.구정화(2009). 가족탄력성이 한 부모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 61-80.
  26. 이종숙(2004). 알코올 중독자의 의미있는 가족원을 위한 대처기술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임완빈.김승팔.강병조(1986). 주정종독 환자 배우자의 불안과 우울 성향 및 가정생활. 신경정신의학, 25, 584-590.
  28. 정선영(2005).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공동의존 및 건강상태. 정신간호학회지, 14, 400-416.
  29. 정현주(2008), 자폐아동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이 자폐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경로 분석 :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 13, 89-110.
  30. 조흥식.김인숙.김혜란.김혜련.신은주 공저(2001). 가족복지학. 학지사.
  31. 최현정(2007). 뇌성마비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전공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현은민(2007). 한부모가족의 적응 : 가족탄력성의 완충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 107-126.
  33. 현은민(2008). 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여성 한부모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3, 59-84.
  34. 홍정남(2007). 알코올중독자가 지각하는 가족탄력성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전공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Epstein, N., Bishop, D., Byan, C., Miller, I., & Keitnor, G.(1993). The McMaster model: View of Healthy family functioning. In F. Walsh(Ed.), Nomal family Processes(2nd ed.). New York: Guilfard Press.
  36. Germain, C. B.(1999). Social Work Practice: People and Environment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37. Gray, M.(2000). Social cognition and social competence in adolescence. Development Psychology, 18, 323-340.
  38. Hawley, D. R., Dehaan, L.(1996), Toward adefinition of family resilience: Integrating life-span and family perspectives. Family Process, 35, 83-298. https://doi.org/10.1111/j.1545-5300.1996.00083.x
  39. Lazarus, R. S., Folkman, 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40. McCubbin, H. I., Balling, K., Possin, P., Frierdich, S., Bryne, B.(2002). Family Resiliency in Chilhfood Cancer. Family Relation, 51, 103-111.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2.00103.x
  41. McCubbin, H. I., McCubbin, H. I.(1988). Typologies of resilient families: Emerging roles of social class and ethnicity. Family Relations, 37, 247-254. https://doi.org/10.2307/584557
  42. McCubbin, H. I., McCubbin, M. A.(1993). "Families Coping with Illness: The Resiliency Model of Family Stress, Adjustment, and Adaptation." In C.B. Danielson, B.h. Bissell and P.W. Fry. Family Health and Illness: Perspective on Coping and Intervention. St. Louise: Mosby-Yrar Book, Inc.
  43. Olson, D. H.(1991). Commentary: Three-dimensional Circumplex model and revised scoring of FACES III. Family Process, 30, 74-79. https://doi.org/10.1111/j.1545-5300.1991.00074.x
  44. Olson, D. H.(1993).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In F. Walsh(Ed.), Nomal family Processes(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45. Patterson, J. M., Grarwick, A. W.(1994). Theoretical linkages: Family meaning and sense of coherence, In H. McCubbin, E. Thompson, & J. Fromer(Eds.). Sense of Coherence and Resilience: Stress, coping, and health. Madison: Center for Excellence in Family Studies. University of Wisconsin.
  46. Roosa, M. W.(2000). Some thoughts about resilience versus positive development, mail effects versus workshops. Journal of Divorce and Remarriage, 40, 55-68.
  47. Walsh Froma(1996). The Concept of Family Resilience: Crisis and Challenge. Family Process, 35(3), 261-281. https://doi.org/10.1111/j.1545-5300.1996.00261.x
  48. Walsh Froma(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Y: The Guilford Press.
  49. Walsh Froma(2002). A Family Resilience Framework: Innovative Practice Applications. Family Relations, 51(2), 130-137.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2.00130.x
  50. Yoon, M. S.(1997). A study of influence of alcoholic husband's sobriety on the marital relationship. Department of So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