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Food Safety Education on Children's Food Safety Knowledge, Belief, Attitude, and Behavior

식품안전교육경험이 불량식품에 대한 아동소비자의 지식, 신념, 태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Park, Na-Rang;Sohn, Sang-Hee
박나랑;손상희

  • Published : 20100300

Abstract

Food safety is an emerging social issue especially affecting children who are vulnerable to attacks of substandard food. Consumer education is essential to protect child consumers by improving their competence, even though there have been some policy efforts to mitigate food risk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hildren's knowledge on food safety, belief and attitude toward substandard food, and the frequency of purchasing substandard food and then to identify how food safety education affects those variables.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consumer socialization theories and consumer behavior theories such as TRA(Theory of Reasoned Action)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education, knowledge, belief, attitude, and behavior concerned with substandard food. Path analysis using Amos16.0 was employ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Findings from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food safety educ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hildren's substandard food purchasing behavior but had indirect effects by affecting children's knowledge and belief. Food safety education by parents affected children's knowledge and belief toward substandard food, and education by media did affect children's knowledge on food safety. School education, howev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s. Thes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 education by parents and media effectively lowered the frequency of children's purchasing substandard food, while consumer education at school was ineffectiv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belief, attitude, and behavior was proved as it was theoretically derived in the research model.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consumer education for children should focus not only on children's knowledge but also on their belief and attitude in order to maximize its effectiveness on behavior change,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consumer education.

본 연구는 근래에 문제가 되었던 식품안전위해요소와 학교 주변 어린이 기호식품을 중심으로 아동의 식품안전에 대한 지식과 신념, 태도 및 행동이 어떤지 알아보았다. 또한 식품안전교육경험이 아동의 식품안전지식과 불량식품에 대한 신념과 태도, 불량식품 구매빈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적으로 문제시되었던 식품첨가물, 트랜스지방, GMO작물, 멜라민에 대한 아동의 식품안전 지식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불량식품에 대한 신념은 대부분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식품안전 및 건강위해 요소가 불량식품에 함유되어 있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불량식품 구매행동 수준은 전체적으로 낮은 편이었으나, 불량식품을 주기적으로 구매한다는 아동소비자도 1/3정도를 차지하였다. 둘째, 아동소비자의 식품안전교육경험은 불량식품 구매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었고, 지식이나 신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력이 있음이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부모로부터의 식품안전교육경험은 아동소비자의 식품안전지식과 불량식품에 대한 신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매체로부터의 식품안전교육경험은 아동소비자의 식품안전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로 인해 불량식품 구매행동에 대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반면, 학교로부터의 식품안전교육경험은 지식이나 신념, 태도, 행동 어느 변수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학교 식품안전교육이 비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식품안전지식과 신념, 태도, 구매행동 간의 관계는 연구모형에서 가정한대로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태도는 구매행동에 유일하게 직접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식품안전과 관련된 소비자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식뿐만 아니라 신념과 태도를 형성시키는데 초점을 맞춘 교육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 신현아, 이명희, 이영화, 조은미, 황혜진(1988). 아동의 소비자지식과 소비자행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가정관리학회, 가정관리연구, 7, 119-133.
  2. 김경자, 홍연금(1997). 아동소비자의 소비자지식 수준과 소비자문제. 생활과학연구논집, 17(1), 73-86
  3. 김미라, 김효정(2006). 아동소비자의 식품위생에 대한 지식과 행동의 인과관계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4(3), 143-151.
  4. 김영신(1995). 소비자 사회화 관점에서 본 청소년들의 강박적 구매성향. 충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충남생활과학연구지, 8, 40-58
  5. 김효정(2001). 초등학생의 용돈사용 실태 및 관리행동에 대한 연구. 인제논총, 16(1), 231-242
  6. 두경자(2008). 소비자교육 효과 척도 개발의 기초.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5, 1-13
  7. 문은숙(2007). 어린이 먹거리 안전 실태조사 및 교육․홍보, 식품의약품안전청연구보고서. http://www.kfda.go.kr/index.jsp
  8. 백병성(2005). 식품첨가물의 소비자 인식도 조사 및 교육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식품의약품 안전청연구보고서. http://www.kfda.go.kr/index.jsp
  9. 서성한, 김준석, 김웅연(2005). 소비자행동론, 박영사.
  10. 손상희(2009). 아동의 물질주의적 소비문화에 대한 관여: 부모, 친구, TV의 상대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12(4), 5-26.
  11. 윤현주, 윤기선(2007). 초등학생의 식품안전과 관련된 지식, 행동, 교육방법의 요구도에 관한 연구.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13(2), 169-182.
  12. 이기춘(1999). 소비자 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문사.
  13. 이송은, 송규혜(2009). 어린이 기호식품의 식품첨가물(합성착색료) 안전실태. 한국소비자원 안전보고서. http://www.kca.go.kr/
  14. 이학식, 김영(2000). 합리적 행동이론과 계획적 행동이론의 평가와 대안적 견해: 소비자 구매행동의 맥락에서. 소비자학연구, 11(4), 21-47.
  15.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2006). 소비자행동. 법문사.
  16. 제미경, 김영옥(2002). 소비자교육과 관련 변수가 초등학교 학생의 소비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4(3), 25-36.
  17. 제미경, 김영옥(2004). 소비자교육이 유아의 소비자지식과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2(2), 69-82.
  18. 제미경, 김효정(2001). 초등학생의 소비자교육 효과분석-소비자능력 평가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4(1), 25-44.
  19. 조윤희, 윤정혜(2000). 소비자사회화 작용인이 청소년소비자의 소비주의 성향에 미치는 영향: 인천광역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1(2), 61-76.
  20. 홍영기, 최선경(1988). 아동소비자문제연구: 아동소비자 능력개발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원 조사보고서. http://www.kca.go.kr/
  21. Ajzen, I., & Fishbein, M.(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2. Fouri, E.(1999). An integrated model of consumer materialism: Can economic socialization and maternal values predict materialistic attitudes in adolescents? Journal of Socio-Economics, 28(6), 707-725. https://doi.org/10.1016/S1053-5357(99)00053-0
  23. John, D.R.(1999). Consumer socialization of children: A retrospective look at twenty-five years of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6(3), 183-213. https://doi.org/10.1086/209559
  24. Shaw, D., & Clarke, I.(1999). Belief formation in ethical consumer groups: An exploratory study. Marketing Intelligence & Planning, 17(2), 109-119. https://doi.org/10.1108/02634509910260968
  25. Ward, S.(1974). Consumer socializ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September), 1-14.
  26. 광주드림(2008). 학교앞 문구점 가보셨나요?, 2008-10-7, http://gjdream.com/v2/week/view.html?news_type=405&mode=view&uid=391567
  27. 동아일보(2005). 다국적 불량식품 우리아이 노린다...초등학교 주변 식품안전 구멍, 2005-3-21,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503210264
  28. 두산백과사전. http://www.encyber.com/index.html
  29. 미즈내일. 학교 앞 문구점 과자, 길거리 간식, 식기...대체 멜라민 얼마나 먹는 거야!, 394, http://www.miznaeil.com/board/CenterNews_view.asp?sub_cate_id=18&uid=12249&GotoPage=1&search_type=T&search_key
  30. 오마이뉴스(2008). 엄마가 먹지 말라했지만 100원 밖에 안하잖아요, 2008-9-27,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985258
  31. 환경정의. http://www.eco.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