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Acculturation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Interna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Lee, Sun-Ja (Dept. of Horticultural therapy, Graduate School, Dankook Univ.) ;
  • Lee, Sang-Mi (Dept. of Horticultural therapy, Graduate School, Dankook Univ.) ;
  • Suh, Jeung-Keun (Dept. of Horticultural therapy, Graduate School, Dankook Univ.)
  • 이선자 (단국대학교 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 이상미 (단국대학교 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 서정근 (단국대학교 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Published : 2010.08.25

Abstract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acculturation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interna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Horticultural activities in this study were set the goals to help reduce stress. It is based on how to relieve stress of physical, psychological emotional, and destructive by young sook, Kim(2004). and plant materials used on horticultural activities in this study were selected for reduce depression in accordance with Personal preference. From the result, the mean value of the Acculturation Stress was that pr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62.86 and pos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48.71,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z=-2.20^a$, $p=0.03^\ast$). The mean value of Depression was that pr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26.71 and pos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18.14,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z=-1.78^a$, p=0.06).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국제 결혼한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스트레스 감소를 돕기 위하여 스트레스 대처방안인 신체적, 심리 정서적, 파괴적 방법들에 도달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우울 감소를 위하여 개인이 선호하는 원에소재의 종류와 색을 조사하여 활동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수행 전 대상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평균은 62.86점에서 수행 후 48.71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고 ($z=-2.20^a$, $p=0.03^\ast$), 원예치료 프로그램 수행 전 우울의 평균은 26.71점에서 수행 후 18.14점으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z=-1.78^a$, p=0.06).

Keywords

References

  1. 강정식. 2004. 원예치료가 여대생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은주. 2009. 결혼이주 여성의 문화적 적응 스트레스, 가정폭력,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외상후 스트레스와 심리건강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유경. 2009. 집단미술치료가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루비. 2007. 홀리스틱 원예치료가 문제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영숙. 2004. 간병인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해소방안.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영옥. 2001. 원예치료가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오남. 2005.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정아. 2009.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지영. 2009. 원예치료가 농촌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미화. 2010. 집단음악치료가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1. 박시연. 2010.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우울과 '빗속의 사람' 그림 반응특성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석창원. 2007. 원예치료가 국제결혼 이민여성의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손기철, 박석근, 부희옥, 배공영, 백기엽, 이상훈, 허북구. 1997. 원예치료. 서울. 서원출판사.
  14. 신경애. 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안현주. 2006. 한국남성과 국제 결혼한 이주여성의 가정폭력 경험과 대응 : 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상미. 2006. 대상자별 원예치료의 효과와 수익접근법적 경제가치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승종. 1995. 문화이입과정 스트레스와 유학생의 신념체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윤호. 2007. 베트남 국제결혼 가정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지혜, 김혜지, 이상미, 이애경, 서정근. 2009. 원예치료에서 치료 및 재활영역 논문의 원예활동 분석.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2(3): 25-30
  20. 장화선. 2010. 결혼 이주여성의 무용 참여가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신체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조맹제, 김계희. 1993. 주요우울증환자 예비평가에서 CES-D 진단적 타당성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32(3):381-399.
  22. 통계청. 2008. 2008년 혼인통계결과 http://www.nso.go.kr.
  23. 하순엽. 2005. 화훼장식 활동이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절망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홍기혜. 2000. 중국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Nakamura, R. and E. Fujii. 1990.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encephalogram. especially of alpha rhythm inspecting plants of pelargonium hortorum baily 'Sprinter Red' and Begonia evansiana ander. J. Jap. Soc. land. Archit 53(5): 287-292.
  26. Relf. D. 1981. Dynamics of horticulture therapy. Rehabl Lit. 42(5): 147-150.
  27. Williams, C.L. and J.W. Berry. 1991. Primary prevention of acculturatives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46(6): 63-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