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Solitary Old Adult

원예활동이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Oh, Hyeon-Ja (Department of Horticulture,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University) ;
  • Yoo, Yong-Kweon (Department of Horticulture,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University)
  • 오현자 (목포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 유용권 (목포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Published : 2010.08.25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on the changes of th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solitary old adult. The 12 solitary old adults of welfare center for old adult participated in this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HAP). HAP were conducted one time per week from 27 March to 16 July. To examine the effects of HAP, social support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evaluated between before and after HAP. And it was carried out to observe by horticultural activity evaluation every times. In change of social support, 11 old adults among subjects increased, but 1 old adult decreased. Mean value of social support was 34.0 after HAP, but it was 15.4 before HAP. Self-esteem of twelve subjec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mean value of self-esteem scale was 25.4 after HAP, but it was 20.6 before HAP. In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means of participation, interest and assistance, verbal interaction ability, self-concept and identity, desire-drive adaptation,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exercise perceptivity, and life-tasks skills and vocational adjustment were improved after HAP than before HAP. Therefore, HAP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in solitary old adult.

본 연구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독거노인 12명을 선정하여 3월 27일부터 7월 16일까지 매주 1회 1시간씩 총 15회에 걸쳐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전과 후에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측정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매회기마다 원예활동평가표를 이용하여 평가한 후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대상자 12명 중에서 11명이 원예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 보다 실시 후에 증진되었고, 평균값도 프로그램 실시 전 15.4점에서 실시 후 34.0점으로 크게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여 주었다.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도 대상자 12명 모두 원예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 보다 실시 후에 향상되었고, 평균값에 있어서도 프로그램 실시 전 20.6점에서 실시 후 25.4점로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원예활동 평가에서도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언어소통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능력, 운동지각능력, 숙련도와 직업 적응력 등 9개 항목 모두에서 원예활동 프로그램 전반기보다 후반기에 평균값이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독거노인들의 사회적 지지를 증대 시켜주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며, 원예활동평가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효과적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희, 윤경은, 윤원숙, 허혜숙, 유주연, 장매희. 2003. 노인 주간보호센터에서의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6(3):39-46.
  2. 김영숙, 유용권. 2010. 원예치료가 뇌질환 노인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3(2):1-6.
  3. 김용석. 2008. 독거노인 냉, 난방 실태 조사 연구. 보건복지부 보고서.
  4. 서경현, 김영숙. 2003.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심리학회지 9(1):115-137.
  5. 유용권, 정효영. 2010.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3(3):7-15.
  6. 윤숙영, 김홍열. 2003. 원예치료가 노인의 우울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6(3):19-25.
  7. 윤숙영, 최병진, 김홍열. 2009. 꽃장식이 입원노인의 감정균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2(6):1-5.
  8. 이미애, 남기민. 2007. 스트레스 대처방안을 매개로 한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살 간의 관계. 사회복지연구 34:307-325.
  9. 이상훈, 임은애, 조문경, 손기철. 2007.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0(4):40-47.
  10. 이선자. 2000. 사회일탈자를 위한 화훼디자인의 치료적 효과-여성 수용자를 중심으로-장애인과 아동을 위한 원예 치료. 한국원예치료연구회. p.201-208.
  11. 이은숙, 심우경. 2004. 여가로서 그룹 원예활동이 독거 여성노인의 고독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7(3):31-37.
  12. 장인순. 2006. 일부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2):130-140.
  13. 전병재. 1974.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11:109-129.
  14. 정경희, 오영희, 석재은, 도세록, 김찬우, 이윤경. 2005.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 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정선희, 허무룡, 이병호, 박중춘. 2006. 원예치료가 노인성 질환자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9(4):79-87.
  16. 최영. 2005. 가구형태에 따른 노인의 건강상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지 29:123-149.
  17. 통계청. 2006. 장래 인구 추계. p.61-66.
  18. 한경희, 김형수, 서정근. 2004. 집단치료적 원예활동과 치매노인의 사회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7(3):53-58.
  19. 한경희, 이상미, 서정근. 2009. 집단원예치료가 노인의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2(4):1-12.
  20. Oseas, L. 1961. Therapeutic potentials in work.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622-631. https://doi.org/10.1001/archpsyc.1961.01710120092012
  2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ew Jersey: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Verghese, J., A. LeVallet, C. Derby, G. Kuslansky, M. Katz, H. Buschke, and R.B. Lipton. 2006. Leisure activities and the risk of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the elderly. Neurology 66(6):794-795. https://doi.org/10.1212/01.wnl.0000209497.38834.d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