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f Interior Landscape Type for Developing Wellbeing Trend Product of Construction Enterprise

건설사 웰빙트랜드 상품개발을 위한 실내조경 타입 비교분석

  • 김수연 (나사렛대학교 에코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10.08.25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mmarize the concept of well-being and to find out the factor of interior landscape design for well-being product. Primarily, literature research were to summarize the concept of well-being and well-being interior landscape design factor. We find out wellbeing trend design guidelines and check-list items.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at the D&C interior landscape plaza to investigate the consumer preferences. As a result, Type of the design were analyzed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e wellbeing product. When w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wellbeing factor according to design type, 8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factors consist of that design type, green ratio, amenity, reduce pollution, consumer's interest, lower energy, recycling materials and movable convenience. But sustainable desig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vities a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It is a design type that consumers consider important when they purchase well-being products. therefore, we need to focus on developing design type of interior landscape. Wellbeing strategy which is suitable for construction enterprise is the small garden design that is economical to consumer, free to use space and universal.

웰빙 트랜드에 맞는 실내조경 상품을 개발할 때 중요시하는 요소는 디자인 형태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우선, 문헌조사를 통하여 웰빙 개념을 정의하고 웰빙 디자인 변수를 도출하였다. 다음, 도출된 웰빙 요소에 대한 실내조경 유형별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였을 때 디자인형태, 공기 정화능, 에너지 효율성, 심리적 아늑함, 적정한 식재, 공간 효율성, 재활용성, 관리의 자동화 등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친환경적 활동에 대하여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형태별 차이는 대부분의 웰빙 요소와 관련이 되지만 지속가능성이나 친환경적 활동과 같은 환경기술적 요소와 프로그램과는 관련이 적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소비자가 웰빙 상품을 구매 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디자인 형태라고 밝혀졌으므로 실내조경 디자인형태 개발에 주력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또 소비자의 디자인 유형별 선호도 분석에서 소품형이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므로 경제적이고 부담이 적은 형태를 소비자들이 선호함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이 적으며 이동과 공간 활용이 자유롭고 범용적인 디자인으로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한 소품형의 실내조경 상품개발이 건설사 웰빙 전략으로 적합함을 분석해 낼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연. 1999. 상업공간 실내조경이 경영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수연, 이종석. 2001. 주거공간의 실내조경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조경협회학술지 3(2):69-74.
  3. 김지우, 하미경. 2009. 공간디자인에서의 웰빙요소에 의한 업무환경 평가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1(2):153-156.
  4. 김지현. 2003. 우리나라 실내조경의 경향과 공간적용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노정실. 1995. 실내공간에서의 시각적 선호도 결정인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문선애. 2004. 아파트 거주자의 실내녹지에 대한 의식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백성진. 2003. 아파트 발코니 공간의 활성화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서병기. 1987. 아파트 실내조경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송선경. 1995. 아파트 실내조경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신제문, 윤지영. 2006.아파트 실내디자인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8(2):81-85.
  11. 신혜진. 1994. 아파트 실내공간의 식물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유지현. 1999. 아파트 실내조경 선호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왕금옥. 2004. 실내조경 공간의 자동관수 시스템 도입의 경제적 효과.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남현. 1995. 실내조경에 있어서 식물의 시각량이 시각선호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미숙. 2004. 생활양식으로서의 웰빙. 한국생활과학회지 13(3):22-28.
  16. 이월순. 1993. 실내조경의 설계요소에 대한 선호도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종석, 방광자. 2002. 신실내조경학. 서울:환경과 조경사.
  18. 이진희. 2003. 식물의 음이온 방출에 의한 실내공기질 개선 효과. 한국실내조경협회학술지 5(1):89-98.
  19. 장혜원, 황은경. 2009. 노인복지관 개선 요구도 조사. 대한 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9(1):49-52.
  20. 정미숙. 1992. 실내조경 설계기법의 정립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최경옥. 1996. 실내조경식물의 이미지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최상설. 2006. 아파트 발코니 실내조경의 모듈시스템 개발. 고려대학교 생명환경 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최송희. 2004. Well-being 의 본질.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춘계학술발표 대회 논문집 6:12-15
  24. 최윤정. 2006. 웰빙아파트 계획요소의 도입현황과 선호도.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8(1):49-52.
  25. 한경희. 2005. 생태적 디자인 전략에 의거한 가구 디자인 방향 제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4(6):202-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