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emic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교배 조합 토종닭의 이화학적 성상 및 육질 특성

  • 박미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홍의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강보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학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재홍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나승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채현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서옥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한재용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
  • 정재홍 (안산공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호텔조리과) ;
  • 황보종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Received : 2010.11.17
  • Accepted : 2010.12.15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emic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Ninety 1-d male chicks were used in this work and were divided into 4 groups as A: (KNC egg-meat type C strains $\times$ KNC meat type S strains) (female) $\times$ KNC meat type H strains (male), B: (KNC egg-meat type C strains $\times$ KNC meat type H strains) (female) $\times$ KNC meat type S strains (male), C: (KNC native R strains $\times$ KNC meat type S strains) (female) $\times$ KNC meat type H strains (male), D: (KNC native L strains $\times$ KNC meat type H strains) (female) $\times$ Ross broiler (male) strains. They were fed the broiler diets for 12 weeks at the flat house and twenty seven chickens were slaughtered at week 5 and 10. Chicken thigh and breast were weighed and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Physical compositions of meats have no difference among strains at 5 week, and B strains differed from other strains at 10 week (P<0.05). The pH, moisture, and collagen content of meat from B strains were lower than other strains at 5 week. Ash and collagen of A strains were the lowest at 10 week (P<0.05), but others have no difference among strains. In sensory test, juiciness of D strains was the highest at 5 week, and tenderness of B strains was the lowest at 10 week (P<0.05). In conclusion, the crossbreeding of KNC did not affect physical traits but affecte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hicken meat slaughtered at 5 week.

본 시험은 토종닭의 교배 조합이 계육의 이화학적 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계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토종닭(적갈색, 흑색)과 육용계의 교배 조합으로 발생된 4계통의 병아리 수컷을 A, B, C, D계통으로 구분하여 이용하였다. 각 계통에서 90수씩 선별하여 12주령까지 준육용계 사료를 이용하여 평사에서 사육하고, 일정 주령(5주, 10주)에 도달하였을 때 각 계통에서 27수씩 선별하여 개체별 생체중을 측정하고, diethyl ether로 마취시킨 후 도계하여 시험에 이용하였다. 도계된 닭들은 부분육(가슴, 다리)의 무게를 측정하고, 비율을 산출한 후 이화학적 성상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계육의 물리적 성상은 5주령에는 모든 항목에서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10주령에는 B계통이 명도, 가열 감량 및 보수력에서 다른 계통에 비해 차이가 있었다(P<0.05). 화학적 성상에서는 5주령에 B계통이 다른 계통에 비해 pH, 수분 함량 및 콜라겐 함량이 낮았으며,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았다. 회분 함량은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다. 10주령에는 A계통이 회분과 콜라겐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P<0.05), 그 외 항목은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에서, 5주령에서 D계통이 다즙성에서 가장 높았고, 10주령에서 B계통이 연도에서 가장낮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토종닭의 교배 조합은 계육의 물리적 성상에는 크게 영향이 없지만, 5주령에서 화학적 성상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수분과 지방 함량은 다즙성과 연도와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hn DH, Park SY 2002 Studies on components related to taste such as free amino acids and nucleotides in Korean native chicken me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547-552. https://doi.org/10.3746/jkfn.2002.31.4.547
  2. Ahn DH, Park SY, Kwon YJ, Sung SK 1997 Postmortem changes in myofibrillar protein in muscle of Korean native chicken. Korean J Anim Sci 39:577-586.
  3. Carlin AF, Harrison DL 1978 Cooking and sensory methods used in experimental studies on meat. Natl Livestock and Meat Board Chicago, Illinois.
  4.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https://doi.org/10.2307/3001478
  5. Kurt K 1990 Colorimeteric determination of hydroxyproline as measure of collagen content in meat and products: NMKL Collaborative Study. J Assoc Off Anal Chem 73(1):55.
  6. Lawrie RA 1985 Meat Science. 4th ed Pergamon Press p. 61.
  7. Mottram DS, Edwards DS 1983 The role of triglycerides and phospholipids in the aroma of cooked beef. J Sci Food Agric 34:517-522. https://doi.org/10.1002/jsfa.2740340513
  8. SAS 1999 SAS/STAT Software for PC. SAS Institute, Cary, NC, USA.
  9. Takahashi K, Fukazawa T, Yasui T 1967 Formation of myofibrillar fragments and reversible contraction of sarcomeres in chicken pectoral muscle. J Food Sci 32:409-413. https://doi.org/10.1111/j.1365-2621.1967.tb09697.x
  10. Varadarajulu P, Cunningham FE 1971 A histological study of turkey meat as related to sensory characteristics. Poultry Sci 50:1144. https://doi.org/10.3382/ps.0501144
  11. Wangen RM, Skala JH 1968 Tenderness and maturity in relation to certain muscle components of white Leghorn fowl. J Food Sci 33:613-616. https://doi.org/10.1111/j.1365-2621.1968.tb09085.x
  12. 강보석 김종대 양창범 정일정 정선부 1993 한국 재래닭과재래닭 교잡종의 발육 및 도체특성 비교 연구. 농업논문집 35(2):549-553.
  13. 강보석 이상진 김상호 서옥석 나재천 장병귀 박범영 이종문오봉국 1998 한국재래닭과 육용실용계의 발육 및 육질특성 구명 연구. 한국가금학회지 25(3):137-145.
  14. 국립축산과학원2007 FTA 대응토종닭산업의발전방안. 2007토종닭 심포지엄. pp 19-30.
  15. 국립축산과학원 2008 토종닭 사육 및 인증기준 설정 연구.가금수급안정위원회.
  16. 권연주 여정수 성삼경 1995 한국산 토종 닭고기의 품질 특성. 한국가금학회지 22(4):223-231.
  17. 김대곤 권연주 성삼경 1997 한국토종닭과 교잡종의 나이와성에 따른 근섬유의 조직화확적 특성 비교. 한국축산학회지 39(5):587-598.
  18. 김병기 김영직 2001 쑥 및 게 분말의 급여가 재래종 계육의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3(4):535-544.
  19. 김병기 황인업 김영직 황영현 배만종 김수민 안종호 2002인삼, 산약, 한약 부산물의 급여가 재래종 계육의 이화학적 특성에미치는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2(2):122-129.
  20. 김영호 민중석 황성규 이상옥 김일석 박형일 이무하 1999 실용재래닭의 지방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1(4):964-970.
  21. 류경선 송근섭 1999 당귀 부산물의 급여가 재래닭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6(4):261-265.
  22. 성삼경 권연주 김대곤 1998 저장기간에 따른 한국산 토종닭고기의 품질특성. 한국가금학회지 25:55-64.
  23. 성삼경 양태민 권연주 최종동 김대곤 2000 한국토종닭고기의 성장단계별 품질 특성.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2(5):693-702.
  24. 채현석 유영모 안종남 김동훈 함준상 정석근 이종문 최양일 2005 출하 일령에 따른 오리육의 수율, 물리적 특성 및지방산 조상 변화.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5(3):304-309.
  25. 축산기술연구소 2001 표준사료성분분석법.
  26. 한국가금사양표준 2007 농림부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27. 山之上捻1987 熟成中に起る骨格筋筋原線維構造の脆弱化の畜種別比較. 食肉に關する助成硏究調査成果報告書 5:243.

Cited by

  1.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Egg-Type Male Growing Chicken and White-Mini Broiler in Comparison with Commercial Broiler (Ross 308) vol.34, pp.5, 2014, https://doi.org/10.5851/kosfa.2014.34.5.622
  2. Quality Comparison of Chuncheon Dakgalbi Made from Korean Native Chickens and Broilers vol.31, pp.5, 2011, https://doi.org/10.5851/kosfa.2011.31.5.731
  3.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Three-Crossbre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vol.38, pp.4, 2011, https://doi.org/10.5536/KJPS.2011.38.4.293
  4. Genetic Variations of Chicken MC1R Gene and Associations with Feather Color of Korean Native Chicken (KNC) 'Woorimatdag' vol.40, pp.2, 2013, https://doi.org/10.5536/KJPS.2013.40.2.139
  5.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Chicken Plumage Pigmentation vol.26, pp.11, 2013, https://doi.org/10.5713/ajas.2013.13413
  6. Discrimination of the commercial Korean native chicken population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vol.57, pp.1, 2015, https://doi.org/10.1186/s40781-015-0044-6
  7.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Korean Local Chickens and Silky Fowl vol.27, pp.3, 2014, https://doi.org/10.5713/ajas.2013.13638